도시공원의 회복적 환경 요소에 대한 선호와 가치평가: 선택실험법을 중심으로
현대 도시화는 녹지 공간과 자연환경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도시민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시공원은 방문자들에게 자연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적 회복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회복적 환경 요소가 방문자 선호도와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택실험법(Choice Experiments)을 활용하였다. 연구는 회복환경의 네 가지 요인인 벗어남, 매력성, 규모성 혹은 조화, 적합성을 기반으로 속성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나무 및...
Saved in:
Published in | 환경정책 Vol. 33; no. 1; pp. 59 - 9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환경연구원
30.03.2025
한국환경정책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35X 2714-0601 |
DOI | 10.15301/jepa.2025.33.1.59 |
Cover
Abstract | 현대 도시화는 녹지 공간과 자연환경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도시민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시공원은 방문자들에게 자연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적 회복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회복적 환경 요소가 방문자 선호도와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택실험법(Choice Experiments)을 활용하였다. 연구는 회복환경의 네 가지 요인인 벗어남, 매력성, 규모성 혹은 조화, 적합성을 기반으로 속성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나무 및 관목의 분포, 산책로 유형, 생태다양성, 수경시설 여부, 경관의 일관성, 공원 내 시설, 공원 관리기금의 7가지 주요 속성을 설정하여 방문자들의 선호와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나무와 관목의 밀집된 배치, 친환경적인 산책로, 수경시설의 존재, 혼합 경관, 운동시설 등은 방문자 선호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가치 분석에서 많은 나무와 관목(5,863원), 친환경 우레탄 산책로(1,678원), 소규모 분수의 설치(1,694원), 인공과 자연의 혼합 경관(2,235원), 운동시설 확충(1,727원) 등이 방문자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공원의 설계 및 관리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회복적 환경 요소가 방문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Modern urbanization restricts access to green spaces and natural environments, negatively affecting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urban residents. Urban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nnect with nature, alleviating stress, and supporting emotional recovery. This study employed the choice experiments method to analyze the effects of restorative environmental features in urban parks on visitor preferences and economic values. The study used attributes based on four factor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being away, fascination, extent or coherence, and compatibility. Seven key attributes were identified to evaluate visitor preferences and economic value: the distribution of trees and shrubs, types of walking paths, biodiversity, the presence of water features, landscape consistency, park facilities, and park management funds. The results revealed that densely arranged trees and shrubs, eco-friendly walking paths, the presence of water features, mixed landscapes, and exercise faciliti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visitor preferences. Regarding economic valuation, attributes such as dense trees and shrubs (5,863 KRW), eco-friendly urethane walking paths (1,678 KRW), small-scale fountains (1,694 KRW), mixed artificial and natural landscapes (2,235 KRW), and expanded exercise facilities (1,727 KRW) positively influenced visitor preference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for urban park design and management strategies, demonstrating that restorative environmental features contribute to enhancing visitors’ quality of life. |
---|---|
AbstractList | 현대 도시화는 녹지 공간과 자연환경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도시민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시공원은 방문자들에게 자연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적 회복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회복적 환경 요소가 방문자 선호도와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택실험법(Choice Experiments)을 활용하였다. 연구는 회복환경의 네 가지 요인인 벗어남, 매력성, 규모성 혹은 조화, 적합성을 기반으로 속성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나무 및 관목의 분포, 산책로 유형, 생태다양성, 수경시설 여부, 경관의 일관성, 공원 내 시설, 공원 관리 기금의 7가지 주요 속성을 설정하여 방문자들의 선호와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나무와 관목의 밀집된 배치, 친환경적인 산책로, 수경시설의 존재, 혼합 경관, 운동시설 등은 방문자 선호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가치 분석에서 많은 나무와 관목(5,863원), 친환경 우레탄 산책로(1,678원), 소규모 분수의 설치(1,694원), 인공과 자연의 혼합 경관(2,235원), 운동시설 확충(1,727원) 등이 방문자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공원의 설계 및 관리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회복적 환경 요소가 방문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Modern urbanization restricts access to green spaces and natural environments, negatively affecting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urban residents. Urban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nnect with nature, alleviating stress, and supporting emotional recovery. This study employed the choice experiments method to analyze the effects of restorative environmental features in urban parks on visitor preferences and economic values. The study used attributes based on four factor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being away, fascination, extent or coherence, and compatibility. Seven key attributes were identified to evaluate visitor preferences and economic value: the distribution of trees and shrubs, types of walking paths, biodiversity, the presence of water features, landscape consistency, park facilities, and park management funds. The results revealed that densely arranged trees and shrubs, eco-friendly walking paths, the presence of water features, mixed landscapes, and exercise faciliti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visitor preferences. Regarding economic valuation, attributes such as dense trees and shrubs (5,863 KRW), eco-friendly urethane walking paths (1,678 KRW), small-scale fountains (1,694 KRW), mixed artificial and natural landscapes (2,235 KRW), and expanded exercise facilities (1,727 KRW) positively influenced visitor preference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for urban park design and management strategies, demonstrating that restorative environmental features contribute to enhancing visitors’ quality of life. KCI Citation Count: 0 현대 도시화는 녹지 공간과 자연환경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도시민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시공원은 방문자들에게 자연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적 회복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회복적 환경 요소가 방문자 선호도와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택실험법(Choice Experiments)을 활용하였다. 연구는 회복환경의 네 가지 요인인 벗어남, 매력성, 규모성 혹은 조화, 적합성을 기반으로 속성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나무 및 관목의 분포, 산책로 유형, 생태다양성, 수경시설 여부, 경관의 일관성, 공원 내 시설, 공원 관리기금의 7가지 주요 속성을 설정하여 방문자들의 선호와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나무와 관목의 밀집된 배치, 친환경적인 산책로, 수경시설의 존재, 혼합 경관, 운동시설 등은 방문자 선호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가치 분석에서 많은 나무와 관목(5,863원), 친환경 우레탄 산책로(1,678원), 소규모 분수의 설치(1,694원), 인공과 자연의 혼합 경관(2,235원), 운동시설 확충(1,727원) 등이 방문자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공원의 설계 및 관리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회복적 환경 요소가 방문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Modern urbanization restricts access to green spaces and natural environments, negatively affecting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urban residents. Urban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nnect with nature, alleviating stress, and supporting emotional recovery. This study employed the choice experiments method to analyze the effects of restorative environmental features in urban parks on visitor preferences and economic values. The study used attributes based on four factor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being away, fascination, extent or coherence, and compatibility. Seven key attributes were identified to evaluate visitor preferences and economic value: the distribution of trees and shrubs, types of walking paths, biodiversity, the presence of water features, landscape consistency, park facilities, and park management funds. The results revealed that densely arranged trees and shrubs, eco-friendly walking paths, the presence of water features, mixed landscapes, and exercise faciliti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visitor preferences. Regarding economic valuation, attributes such as dense trees and shrubs (5,863 KRW), eco-friendly urethane walking paths (1,678 KRW), small-scale fountains (1,694 KRW), mixed artificial and natural landscapes (2,235 KRW), and expanded exercise facilities (1,727 KRW) positively influenced visitor preference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for urban park design and management strategies, demonstrating that restorative environmental features contribute to enhancing visitors’ quality of life. |
Author | 오치옥 Eui-young Jeong Chi-ok Oh 정의영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정의영 – sequence: 2 fullname: Eui-young Jeong – sequence: 3 fullname: 오치옥 – sequence: 4 fullname: Chi-ok Oh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9300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jE1LAkEch4coyMwvUJc9B7vNf2dnd6abSC-CEISHbsuqs7FtqbinbkYShIIGiautYOCxQxhBQX0hd_Y7ZNrp98LDs4XWq7WqQGgHsAaUYNi_FHVH07FONUI00ChfQyndAkPFJoZ1lALKmcoIPd9EmSDwShgzwKYBLIW8uNuS7Wj-_iGfe3IcKsmoEy_G5FZJhuF89qPI0ZO878hBT4k7zaQfKbI1ScJPOWwq87em_AqT7sOiHCz_u7FsT5NBGM_6ctxS5PRRtl9l9B2_RNtow3WuApH5zzQqHh0Wcydq4fQ4n8sWVJ9SopYYISXGiCsccHTgmFbABWyZwi2bnBkVbjJu6cKomLrFBBeWq3ODOcwqAxUuIWm0t9JWG67tlz275njLvKjZfsPOnhXz9sKHgcIfvLuCfS8I7HrDu3YaN7YBFmbUIL-oP4ZS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ACYCR |
DOI | 10.15301/jepa.2025.33.1.59 |
DatabaseName |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도시공원의 회복적 환경 요소에 대한 선호와 가치평가: 선택실험법을 중심으로 Preferences and Valuation of Restorative Environmental Attributes in Urban Parks: Applying the Choice Experiment Method |
EISSN | 2714-0601 |
EndPage | 96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701513 4170854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
ID | FETCH-LOGICAL-k553-b833b883fea1a21905d1f1076efc6984d968972e4d6278e9e7f2948a87c15ef33 |
ISSN | 1598-835X |
IngestDate | Sat Apr 12 03:11:26 EDT 2025 Sat May 31 02:14:38 EDT 2025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1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553-b833b883fea1a21905d1f1076efc6984d968972e4d6278e9e7f2948a87c15ef33 |
Notes |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PageCount | 38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01513 kiss_primary_4170854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503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5-03-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3 year: 2025 text: 202503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환경정책 |
PublicationTitleAlternate | 환경정책 |
PublicationYear | 2025 |
Publisher | 한국환경연구원 한국환경정책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환경연구원 – name: 한국환경정책학회 |
SSID | ssib008106418 ssib044744278 ssib029853697 ssib023393631 |
Score | 1.9024372 |
Snippet | 현대 도시화는 녹지 공간과 자연환경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도시민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시공원은 방문자들에게 자연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적 회복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회복적 환경... |
SourceID | nrf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59 |
SubjectTerms | Choice Experiments Restorative Environments Urban Park Valuation 가치평가 도시공원 선택실험법 정책학 회복환경 |
Title | 도시공원의 회복적 환경 요소에 대한 선호와 가치평가: 선택실험법을 중심으로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7085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93008 |
Volume | 33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환경정책, 2025, 33(1), , pp.59-96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axQxFB_aevEiShXrPwY0p2XWzSSZJN5mdrdUoZ4q9LbMzs5IWehKbS8epGIRpIVWsHRbt1ChRw9SERT0C3Wz38GXZLo7tSLVy2z2zXsvL-9NJr_MTF4c5x6jhMSEE0-2qO_RVFJPiCTzADljobO3tMyL9tnHwcwT-miezY-Nbxe-WlpZbpaTF39cV_I_UQUaxFWvkv2HyA6VAgHKEF84QoTheK4Yo3qExDQSFNWrSERIVlE9RBFBEdMUCZSKKdSQFCVUh58QiaoWGzKFFQCT9pwELqPAR1GtZARDJK3ywMgBhYPOkqm4qr-S0HIMKjbsYEhoSQJFwrBLYCoZpRXDXkWRraZmLJejUyQ8rUMQbbdtWEiNVm4kI22gZHnDBDViwCHxCbe1FKoyTQ0xlIsg_Gxjc0dYpRFGgulLTz-FFrjwrOQUm3GqKQgkcJEFCCEtNNVSWPEBi8_MisPKsEsMHWlsYiisncvKXEoOY1scZKTwAPnO2zHY0HyOqadz4xQGkzxVuoUldt_fMwMeI3anBWAqa-PLhJRx-USymF38t1H_VH7xdrLQeNpptJcaMIt62MAwDgASJOPOBZ9z8_XD7Mv68DYtMODYEaTxCZEkGL1M9iVAwGD0cppSTvWGLiZzcd7yfPmatv7-GdsBHcHk6TmgvcWlrID25i47l_JpmhvaPnfFGWt3Jp2F_uaaWu8df_mqPmyp_a472Nvow5-DV-5gt3t89NNVe-_Vmw21s-X2N1YH2z1XrR0Mut_U7qp7_HlVfe8ONt9C4YGhv95X64eDnW7_aFvtr7nq8J1a_6R6P_ofe1eduen6XHXGy7cq8dqMEa8pCGkKQbI0xjFggApr4Qy8GKRZEkhBWzIQkvspbQXgiFSmPPMlFbHgCWZpRsg1Z2Kxs5hed1y_QuI4ZiJLeJPq7eCzuJUkCYZ5v-S4SaacSe2cxjObjKZBMYdZE51y7oKzTCD_EtAb5-K66Vwc9YNbzsTy0kp6G6D3cvOOuRB-AcF0sVU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F%84%EC%8B%9C%EA%B3%B5%EC%9B%90%EC%9D%98+%ED%9A%8C%EB%B3%B5%EC%A0%81+%ED%99%98%EA%B2%BD+%EC%9A%94%EC%86%8C%EC%97%90+%EB%8C%80%ED%95%9C+%EC%84%A0%ED%98%B8%EC%99%80+%EA%B0%80%EC%B9%98%ED%8F%89%EA%B0%80%3A+%EC%84%A0%ED%83%9D%EC%8B%A4%ED%97%98%EB%B2%95%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D%99%98%EA%B2%BD%EC%A0%95%EC%B1%85%2C+33%281%29&rft.au=%EC%A0%95%EC%9D%98%EC%98%81&rft.au=%EC%98%A4%EC%B9%98%EC%98%A5&rft.date=2025-03-30&rft.pub=%ED%95%9C%EA%B5%AD%ED%99%98%EA%B2%BD%EC%A0%95%EC%B1%85%ED%95%99%ED%9A%8C&rft.issn=1598-835X&rft.eissn=2714-0601&rft.spage=59&rft.epage=96&rft_id=info:doi/10.15301%2Fjepa.2025.33.1.5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01513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35X&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35X&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35X&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