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關 데이터로 본 1870年代 長江의 洋船 交易 -九江의 事例를 中心으로

본 논문은 청말 통상항체제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1870년대 구강의 해관자료를 분석하여 양선 교역의 실제적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강의 양선 교역은 상해를 중심으로 한 간접 수입과 수·이출의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장강의 통상항이 지닌 지정학적 성격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양선으로 이입된 외국상품과 내지산품의 대부분이 구강 및 주변 내지에서 소비되었다는 점에서 내지 수요와의 연동 가능성을 시사한다. 교역 구조는 몇몇 주요 품목에 집중되는 단순한 형태였으며, 상품의 품목별 이입 비율과 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史叢(사총), 0(112) Vol. 112; pp. 59 - 105
Main Authors 김현정, Kim Hyun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30.05.2024
역사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446
2671-583X

Cover

Abstract 본 논문은 청말 통상항체제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1870년대 구강의 해관자료를 분석하여 양선 교역의 실제적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강의 양선 교역은 상해를 중심으로 한 간접 수입과 수·이출의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장강의 통상항이 지닌 지정학적 성격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양선으로 이입된 외국상품과 내지산품의 대부분이 구강 및 주변 내지에서 소비되었다는 점에서 내지 수요와의 연동 가능성을 시사한다. 교역 구조는 몇몇 주요 품목에 집중되는 단순한 형태였으며, 상품의 품목별 이입 비율과 이입 추이의 변동은 내지산품에서 더 두드러졌다. 이는 특정 품목의 생산량 증가, 지역적 경기, 기후 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였으며, 국제교역의 흐름과는 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지산품 이출 교역에서는 내지자본의 영향력과 내지 수요에 기반한 지역적 교역의 성격이 확인되었으며, 민선에서 양선으로의 운송 수단 및 통상항 간 교역 루트의 전환도 일부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전환은 절대적이지 않았으며, 상품의 특성이나 세금 회피 등의 이유로 기존 운송 수단 및 교역 루트가 유지되는 현상도 병존하였다. 마지막으로, 1877년 무호의 개항이 구강의 양선교역에 미친 단기적 영향은 크지 않았으나, 장기적 영향력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vessel trade in the yangzi River during the late Qing period by analyzing the 1870s Jiujiang Customs data.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foreign vessel trade in Jiujiang was characterized by indirect imports and exports, with Shanghai serving as the main hub. The geographical nature of the yangzi River treaty por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is trading pattern. The majority of foreign and native goods imported through foreign vessels were consumed in Jiujiang and its surrounding regions, suggesting a potential link to domestic demand. The trade structure was simplistic, with a few key commodities dominating the market. Fluctuations in the proportion and trends of imported goods were more prominent for native products, which can be attributed to various factors such as changes in production volume, regional economic conditions, and climate, rather than international trade flows. The export trade of native products revealed the influence of domestic capital and the nature of regional trade based on domestic demand. Additionally, there was a partial shift in transportation methods and trade routes from native boats to foreign vessels and between treaty ports. However, this transition was not absolute, as existing transportation methods and trade routes were maintained due to factors such as product characteristics and tax avoidance. The short-term impact of the opening of Wuhu in 1877 on Jiujiang's foreign vessel trade was limited,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ssess its long-term influence.
AbstractList 본 논문은 청말 통상항체제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1870년대 구강의 해관자료를 분석하여 양선 교역의 실제적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강의 양선 교역은 상해를 중심으로 한 간접 수입과 수·이출의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장강의 통상항이 지닌 지정학적 성격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양선으로 이입된 외국상품과 내지산품의 대부분이 구강 및 주변 내지에서 소비되었다는 점에서 내지 수요와의 연동 가능성을 시사한다. 교역 구조는 몇몇 주요 품목에 집중되는 단순한 형태였으며, 상품의 품목별 이입 비율과 이입 추이의 변동은 내지산품에서 더 두드러졌다. 이는 특정 품목의 생산량 증가, 지역적 경기, 기후 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였으며, 국제교역의 흐름과는 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지산품 이출 교역에서는 내지자본의 영향력과 내지 수요에 기반한 지역적 교역의 성격이 확인되었으며, 민선에서 양선으로의 운송 수단 및 통상항 간 교역 루트의 전환도 일부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전환은 절대적이지 않았으며, 상품의 특성이나 세금 회피 등의 이유로 기존 운송 수단 및 교역 루트가 유지되는 현상도 병존하였다. 마지막으로, 1877년 무호의 개항이 구강의 양선교역에 미친 단기적 영향은 크지 않았으나, 장기적 영향력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vessel trade in the yangzi River during the late Qing period by analyzing the 1870s Jiujiang Customs data.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foreign vessel trade in Jiujiang was characterized by indirect imports and exports, with Shanghai serving as the main hub. The geographical nature of the yangzi River treaty por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is trading pattern. The majority of foreign and native goods imported through foreign vessels were consumed in Jiujiang and its surrounding regions, suggesting a potential link to domestic demand. The trade structure was simplistic, with a few key commodities dominating the market. Fluctuations in the proportion and trends of imported goods were more prominent for native products, which can be attributed to various factors such as changes in production volume, regional economic conditions, and climate, rather than international trade flows. The export trade of native products revealed the influence of domestic capital and the nature of regional trade based on domestic demand. Additionally, there was a partial shift in transportation methods and trade routes from native boats to foreign vessels and between treaty ports. However, this transition was not absolute, as existing transportation methods and trade routes were maintained due to factors such as product characteristics and tax avoidance. The short-term impact of the opening of Wuhu in 1877 on Jiujiang's foreign vessel trade was limited,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ssess its long-term influence.
본 논문은 청말 통상항체제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1870년대 구강의 해관자료를 분석하여 양선 교역의 실제적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강의 양선 교역은 상해를 중심으로 한 간접 수입과 수・이출의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장강의 통상항이 지닌 지정학적 성격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양선으로 이입된 외국상품과 내지산품의 대부분이 구강 및 주변 내지에서 소비되었다는 점에서 내지 수요와의 연동 가능성을 시사한다. 교역 구조는 몇몇 주요 품목에 집중되는 단순한 형태였으며, 상품의 품목별 이입 비율과 이입 추이의 변동은 내지산품에서 더 두드러졌다. 이는 특정 품목의 생산량 증가, 지역적 경기, 기후 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였으며, 국제교역의 흐름과는 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지산품 이출 교역에서는 내지자본의 영향력과 내지 수요에 기반한 지역적 교역의 성격이 확인되었으며, 민선에서 양선으로의 운송 수단 및 통상항 간 교역 루트의 전환도 일부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전환은 절대적이지 않았으며, 상품의 특성이나 세금 회피 등의 이유로 기존 운송 수단 및 교역 루트가 유지되는 현상도 병존하였다. 마지막으로, 1877년 무호의 개항이 구강의 양선 교역에 미친 단기적 영향은 크지 않았으나, 장기적 영향력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vessel trade in the yangzi River during the late Qing period by analyzing the 1870s Jiujiang Customs data.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foreign vessel trade in Jiujiang was characterized by indirect imports and exports, with Shanghai serving as the main hub. The geographical nature of the yangzi River treaty por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is trading pattern. The majority of foreign and native goods imported through foreign vessels were consumed in Jiujiang and its surrounding regions, suggesting a potential link to domestic demand. The trade structure was simplistic, with a few key commodities dominating the market. Fluctuations in the proportion and trends of imported goods were more prominent for native products, which can be attributed to various factors such as changes in production volume, regional economic conditions, and climate, rather than international trade flows. The export trade of native products revealed the influence of domestic capital and the nature of regional trade based on domestic demand. Additionally, there was a partial shift in transportation methods and trade routes from native boats to foreign vessels and between treaty ports. However, this transition was not absolute, as existing transportation methods and trade routes were maintained due to factors such as product characteristics and tax avoidance. The short-term impact of the opening of Wuhu in 1877 on Jiujiang's foreign vessel trade was limited,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ssess its long-term influence.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김현정
Kim Hyunju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현정
– sequence: 2
  fullname: Kim Hyunju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8313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E1LAkEch4coyMxP0GXOwcLM7H_WmaNIL4IQhIdODfsyG8uWxu6pcx0C8RSRByWiOgZGhi9JfZl1STT6Ckl6evjxe3g20Gq1VtUrKMOsPDW4MI9WUYYyJg0AsNZRLo4DhzAqLGkRyKDj9L03uWvhaaMza3d_rjrTh_l462Mq8mQ86CYfj3hy20tf72ftJk679e_rAU6GT2nzBv-OGsmgvbySYT35rE-fRzjpv4y_Lmet0Ty1idZ8-zTWuSWzqLK7UynuG-WDvVKxUDZCzonhMckdxweQ0qUaiKaUeIzkbeDCdrhnWh64kjlcS8mJaxPL1qbwtQBuSmmBmUXbi2w18lXoBqpmB_88qakwUoXDSklRAgKEJHN5ayGHQRyr8yg4s6MLBUSC4MT8A8SDeNM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海關 데이터로 본 1870年代 長江의 洋船 交易 -九江의 事例를 中心으로
The foreign vessels trade on the Yangzi in the 1870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Jiujiang Maritime Customs data in late Qing period
EISSN 2671-583X
EndPage 10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484890
4094850
GroupedDBID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50-d295bbf4499c1e40e110d207a458ab5d36d4c92b5e9950ca06ae38fe845399643
ISSN 1229-4446
IngestDate Sat Jun 01 03:13:11 EDT 2024
Sat Feb 15 02:11:20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0-d295bbf4499c1e40e110d207a458ab5d36d4c92b5e9950ca06ae38fe845399643
Notes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History
http://dx.doi.org/10.16957/sa..112.202405.59
PageCount 4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484890
kiss_primary_409485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5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5-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24
  text: 202405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史叢(사총), 0(112)
PublicationTitleAlternate 사총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name: 역사연구소
SSID ssib021869604
ssib030194366
ssib044760111
ssib052471820
ssib007556300
ssib022230201
ssib010782664
Score 1.870974
Snippet 본 논문은 청말 통상항체제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1870년대 구강의 해관자료를 분석하여 양선 교역의 실제적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강의 양선 교역은 상해를 중심으로 한 간접 수입과 수·이출의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장강의 통상항이 지닌 지정학적 성격에...
본 논문은 청말 통상항체제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1870년대 구강의 해관자료를 분석하여 양선 교역의 실제적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강의 양선 교역은 상해를 중심으로 한 간접 수입과 수・이출의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장강의 통상항이 지닌 지정학적 성격에...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9
SubjectTerms foreign vessels trade
Jiujiang
Maritime Customs
treaty ports
Yangzi River
九江
洋船交易
海關
通商港
長江
구강
양선 교역
역사학
장강
통상항
해관
Title 海關 데이터로 본 1870年代 長江의 洋船 交易 -九江의 事例를 中心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09485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83130
Volume 11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史叢(사총), 2024, 0(112), , pp.59-10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nryIUsX6RUDfKUQmk0l25phks1ShnlbYg7Dka0UWWqntxYMXPQiLJxF76CKiHoWKK_2w6D-zXSytf4O-maS7UYpUL9nZN--9mcybvPzeJHlDyHVP2m7H6WRWlkgMUHieW7HkzModqZ8iZSxRSwMLt735O_xWy21NTf2svLW0upLcSB8d-13J_1gVaWhX9ZXsP1h2rBQJWEb74hEtjMcT2RgiDwIXghpEEmQNZGhCFICoQ0AhCkFigUNUB8E1JQDfPmIKHAiEaeOFBBGqkJoT2ZDHMbW-QjG2gDKNUp0UpiYhAg0gEiAEippa0AefqzopQDqmpWlSyRynQvMrFViIdAHbxQbDok6AX9fdaoBwtFyIdeMTqCJqxSYaELCy4DPEzEpEMPBDVcDOYrNMqtlEVV4qm1XWPyDyVT8FVeOEfcehQhmfQrEr59GKCOP6YT4dz2Hdq5ruZ6UtpKiB9pVZCorwQIQV18-YxMlaLojmmsa8mq2-S2tVXHyZwLwACzZ1JzfSo5cH_ri__pbJu5veb99baneX2xiv3GxjMCy4kHSaTDu2ctMLj6OxO6zp5G1jd2orNFfZDEDvJlZJrYOuWnJngs45V-87Tdy3yxQQ0YlKx-eKQATjlIcIrBaXOxVg1TxDTpcRkeEX0_ssmeouzZK7o8-b-6_WjYPnG4f9wY-nGwdv8M-nLUNN2L3twfDLW2P_5ebo4-vD_poxGvS-P9s2hjvvRmsvDGu43S8rhju94dfewftdY7j1Ye_bk8P1XVR0jjQbUTOct8qNQKwuBtBWxqSbJB2OwXlq55zmCFkzRmsxd0WcuJnjZTyVLHFzKV2axtSLc0d0csFV2mWE3OfJzOLSYn6BGCmPKc9imqhfilo9kaFHyjOW8czuJHNkVo1H-0GR6qWtVj-ES-fINRwfbby_GPHiibgukVOTSXuZzKwsr-ZXENiuJFe1-X8B0KuGg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6%B5%B7%E9%97%9C+%EB%8D%B0%EC%9D%B4%ED%84%B0%EB%A1%9C+%EB%B3%B8+1870%E5%B9%B4%E4%BB%A3+%E9%95%B7%E6%B1%9F%EC%9D%98+%E6%B4%8B%E8%88%B9+%E4%BA%A4%E6%98%93+-%E4%B9%9D%E6%B1%9F%EC%9D%98+%E4%BA%8B%E4%BE%8B%EB%A5%BC+%E4%B8%AD%E5%BF%83%EC%9C%BC%EB%A1%9C&rft.jtitle=%E5%8F%B2%E5%8F%A2%28%EC%82%AC%EC%B4%9D%29%2C+0%28112%29&rft.au=%EA%B9%80%ED%98%84%EC%A0%95&rft.date=2024-05-30&rft.pub=%EC%97%AD%EC%82%AC%EC%97%B0%EA%B5%AC%EC%86%8C&rft.issn=1229-4446&rft.eissn=2671-583X&rft.spage=59&rft.epage=10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48489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44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44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44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