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IO 분석을 통한 대한민국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쟁 우위 비교 연구

[목적] 본 연구는 VRIO(Value, Rarity, Imitability, Organization) 모델을 활용하여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과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쟁 우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축구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그리고 축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일본 축구는 체계적인 유소년 육성 시스템, 데이터 기반 전략, 클럽과 대표팀 간의 조직적 연계를 통해 VRIO의 모든 요소를 충족시키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6; no. 2; pp. 183 - 194
Main Authors 김진국, Jin Kook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0.06.2025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25.36.2.183

Cover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VRIO(Value, Rarity, Imitability, Organization) 모델을 활용하여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과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쟁 우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축구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그리고 축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일본 축구는 체계적인 유소년 육성 시스템, 데이터 기반 전략, 클럽과 대표팀 간의 조직적 연계를 통해 VRIO의 모든 요소를 충족시키며 국제 대회에서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반면, 한국 축구는 뛰어난 개인 선수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유소년 시스템의 지역적 불균형과 데이터 활용의 미흡, 클럽과 국가대표팀 간 협력 부족으로 인해 VRIO 요소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결론] 한국 축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장기적 마스터 플랜 구축, 유소년 시스템의 강화, 데이터 기반 접근법의 도입, 클럽과 국가대표팀 간의 협력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는 VRIO 모델을 활용한 국가대표 축구팀의 전략적 경쟁력 분석 사례로서, 한국 축구가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Japanese and South Korean national football teams using the value, rarity, imitability, and organization (VRIO) model. Based on the results, it proposes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football.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ootball experts. RESULTS The Japanese football system meets all criteria of the VRIO model through its systematic youth development system, data-driven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linkage between clubs and the national team, which has led to consistent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tournaments. In contrast, while South Korean football possesses excellent individual player resources, it fails to fully meet the criteria of the VRIO due to a regional imbalance in the youth system, insufficient use of data, and lack of cooperation between clubs and the national team. CONCLUSIONS The interview data indicate that strengthening the youth system, adopting a data-driven approach, and improving the collaborative structure between clubs and the national team are necessary components of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football. This study provides specific directions for the long-ter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football by analyzing the strategic competitiveness of national football teams in other countries using the VRIO model.
AbstractList [목적] 본 연구는 VRIO(Value, Rarity, Imitability, Organization) 모델을 활용하여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과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쟁 우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축구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그리고 축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일본 축구는 체계적인 유소년 육성 시스템, 데이터 기반 전략, 클럽과 대표팀 간의 조직적 연계를 통해 VRIO의 모든 요소를 충족시키며 국제 대회에서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반면, 한국 축구는 뛰어난 개인 선수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유소년 시스템의 지역적 불균형과 데이터 활용의 미흡, 클럽과 국가대표팀 간 협력 부족으로 인해 VRIO 요소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결론] 한국 축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장기적 마스터 플랜 구축, 유소년 시스템의 강화, 데이터 기반 접근법의 도입, 클럽과 국가대표팀 간의 협력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는 VRIO 모델을 활용한 국가대표 축구팀의 전략적 경쟁력 분석 사례로서, 한국 축구가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Japanese and South Korean national football teams using the value, rarity, imitability, and organization (VRIO) model. Based on the results, it proposes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football.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ootball experts. RESULTS The Japanese football system meets all criteria of the VRIO model through its systematic youth development system, data-driven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linkage between clubs and the national team, which has led to consistent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tournaments. In contrast, while South Korean football possesses excellent individual player resources, it fails to fully meet the criteria of the VRIO due to a regional imbalance in the youth system, insufficient use of data, and lack of cooperation between clubs and the national team. CONCLUSIONS The interview data indicate that strengthening the youth system, adopting a data-driven approach, and improving the collaborative structure between clubs and the national team are necessary components of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football. This study provides specific directions for the long-ter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football by analyzing the strategic competitiveness of national football teams in other countries using the VRIO model.
[목적] 본 연구는 VRIO(Value, Rarity, Imitability, Organization) 모델을 활용하여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과 한국 축구국가대표팀의 경쟁 우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축구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그리고 축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주요 결과는다음과 같다. [결과] 일본 축구는 체계적인 유소년 육성 시스템, 데이터 기반 전략, 클럽과 대표팀 간의 조직적 연계를 통해 VRIO의 모든요소를 충족시키며 국제 대회에서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반면, 한국 축구는 뛰어난 개인 선수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유소년 시스템의 지역적 불균형과 데이터 활용의 미흡, 클럽과 국가대표팀 간 협력 부족으로 인해 VRIO 요소를 충분히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결론] 한국 축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장기적 마스터 플랜 구축, 유소년 시스템의 강화, 데이터 기반 접근법의 도입, 클럽과국가대표팀 간의 협력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는 VRIO 모델을 활용한 국가대표 축구팀의 전략적 경쟁력 분석 사례로서, 한국 축구가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Japanese and South Korean national football teams using the value, rarity, imitability, and organization (VRIO) model. Based on the results, it proposes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football.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ootball experts. RESULTS The Japanese football system meets all criteria of the VRIO model through its systematic youth development system, data-driven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linkage between clubs and the national team, which has led to consistent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tournaments. In contrast, while South Korean football possesses excellent individual player resources, it fails to fully meet the criteria of the VRIO due to a regional imbalance in the youth system, insufficient use of data, and lack of cooperation between clubs and the national team. CONCLUSIONS The interview data indicate that strengthening the youth system, adopting a data-driven approach, and improving the collaborative structure between clubs and the national team are necessary components of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football. This study provides specific directions for the long-ter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football by analyzing the strategic competitiveness of national football teams in other countries using the VRIO model. KCI Citation Count: 0
Author Jin Kook Kim
김진국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진국
– sequence: 2
  fullname: Jin Kook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2607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MtKw0AYhuFBKlhrr6CbWQuJk5nMIctSPBQKhVLchkyaSIy2kqzcVQiuutBFUaTBG1AslhSFekPJ9B5Mrf_mhZ-Hbx9UhqOhB0DDQDo2LUGPwss41jHCVCdMx7ohyA6oYkyIxi0iKqBqUEto2MJoD9TjOJAIcUoZYaQK5Hmv3YXFMlFJqtIEru-z9XQGi8m4TPGxyrP3fLGCKl0Viy-oltM8e4Ob53y8MY-z9WSs0meYf_6o1zuoXuZqlsDiO8mzB6ie5iU_ALu-cxV79f_WQP_kuN860zrd03ar2dFCSpHGXO4PfOoJ03G5YARJblDJTIkMj5gCe5bvMDZAhEvkEOJKxDGT2Pdc7jGLc1IDh9vZYeTboRvYIyf468XIDiO72eu3bQNxwjhGJW5scRjEsX0TBddOdGubhsDlkV9xFIEx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4985/kjss.2025.36.2.183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Recreation & Sports
DocumentTitleAlternate VRIO 분석을 통한 대한민국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쟁 우위 비교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South Korean and Japanese National Football Teams Using the VRIO Model
EISSN 2233-7938
EndPage 19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36720
4182222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GROUPED_DOAJ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50-6c7fdf5e84ac78630b715b64b01e3482e9fa66d037b0a33cb0726b2fec7e69773
ISSN 1598-2920
IngestDate Sun Jul 20 03:10:25 EDT 2025
Tue Jul 29 02:10:18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0-6c7fdf5e84ac78630b715b64b01e3482e9fa66d037b0a33cb0726b2fec7e6977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26077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36720
kiss_primary_418222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5
  text: 2025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Ch'eyuk kwahak yŏn'gu
PublicationTitleAlternate 체육과학연구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스포츠과학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Publisher_xml – name: 한국스포츠과학원
– name: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SSID ssib007556363
ssib051641522
ssj0002911496
Score 2.2917101
Snippet [목적] 본 연구는 VRIO(Value, Rarity, Imitability, Organization) 모델을 활용하여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과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쟁 우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축구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목적] 본 연구는 VRIO(Value, Rarity, Imitability, Organization) 모델을 활용하여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과 한국 축구국가대표팀의 경쟁 우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축구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83
SubjectTerms Competitive advantage
Japanese national football team
South Korean national football team
Strategic management
VRIO analysis
VRIO 분석
경쟁 우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전략 경영
체육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
Title VRIO 분석을 통한 대한민국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쟁 우위 비교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8222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26077
Volume 3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체육과학연구, 2025, 36(2), 142, pp.183-19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R1da9RAMLT1xRfRVvGbBV1fjpzJJrvZPCa5O1qhClqlb0eSS1oNtNL2kPogFQ6f-qAPRZEe_gHFYrmiUH-Gf-Iu_Q_Obj4uVhEVXzbL3OzM7Ex2dya3O6so15nB_A4PQ5X6oaWaMWFqAOueSjuRGcShTTuhOJw8f5vN3jdvLdLFiclvlV1L3Y2gHj795bmSf7EqwMCu4pTsX1i2JAoAqIN9oQQLQ_lHNn5wd-5ODTdd7DLMTdz0RGk3RAVKbsJv8GDYpaJiU2x7Ep17YoNDARIQp4VdqDgC1WnIigGQWk7KlUgCxCUI-EHTHF1gVRtqkniViy65NAqIJGnzrBnBbiZwC5zajJ-kISpe1gfgbMv-SS62lmFZEisXoepje8uYWNFmN6klT_xlP6ltYo9i3hKXxyx1izdMNrVzeRxrTB96QXhFOWXXQBoHO6bsSAt4SkVw7GiluopWthTQxdkVpcVHFUKLHYD5MKjQLi3gSY2YefcdvSJdQ6jNoQU3KnUMDXntv0qbr1C2ODZDMlAkYeDiGSpMtLyyEunZ_UC5U6NnN0kfXy8h9uYit0jyaF2krie0brA6qZdtq9nJj3kNP-QnT8KH7aXVdrLWhihsrq3DusEsok0qJ4hlyd0T88-a5TRviaR046xvFCJ28CJJ-WmUwAJsypv1ys5m-cKkuDd_FhbcKYi21sE9XFmLK-7hwmnlVB7XIScbpGeUiWR1WpkeB2XoBron_52bUQIxbNHooJf2-mm_h45eDI52dtFoewseo4-Hw8GH4f4hSvuHo_3PKD3YGQ7eIwHc2xI4r3aPtrfS_hs0_PQ1ffccpW_30t0eGn3pDQcvUfp6D9DPKgut5oI3q-ZXnagJpZrKQivuxDTiJsyYnBlaYOk0YGag6ZHIPhXZsc9YRzOsQPMNIww0i7CAxFFoRQwiOOOcMrWyuhKdV5DPaBAGoM9YJPc0uW3SSOQLBmfY5oySC8qM0FX7cZbMpm3qIkQA8DXQnTTkbwx68Y-wLiknx2PqsjK1sdaNroDrvhFclS_Cd5K6wg8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VRIO+%EB%B6%84%EC%84%9D%EC%9D%84+%ED%86%B5%ED%95%9C+%EB%8C%80%ED%95%9C%EB%AF%BC%EA%B5%AD%EA%B3%BC+%EC%9D%BC%EB%B3%B8+%EC%B6%95%EA%B5%AC+%EA%B5%AD%EA%B0%80%EB%8C%80%ED%91%9C%ED%8C%80%EC%9D%98+%EA%B2%BD%EC%9F%81+%EC%9A%B0%EC%9C%84+%EB%B9%84%EA%B5%90+%EC%97%B0%EA%B5%AC&rft.jtitle=Ch%27eyuk+kwahak+y%C5%8Fn%27gu&rft.au=%EA%B9%80%EC%A7%84%EA%B5%AD%28%ED%95%9C%EA%B5%AD%EC%8A%A4%ED%8F%AC%EC%B8%A0%EA%B3%BC%ED%95%99%EC%9B%90&rft.date=2025-06-30&rft.pub=%EA%B5%AD%EB%AF%BC%EC%B2%B4%EC%9C%A1%EC%A7%84%ED%9D%A5%EA%B3%B5%EB%8B%A8+%ED%95%9C%EA%B5%AD%EC%8A%A4%ED%8F%AC%EC%B8%A0%EA%B3%BC%ED%95%99%EC%9B%90&rft.issn=1598-2920&rft.eissn=2233-7938&rft.spage=183&rft.epage=194&rft_id=info:doi/10.24985%2Fkjss.2025.36.2.18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3672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2920&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2920&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2920&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