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윤리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윤리에 관한 국내 연구에 대하여 고찰하고, 앞으로의 인공지능 윤리 연구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는 것에 있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으로 181편의 연구물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야별 비율은 법학 33.1%, 윤리학 22.6%, 교육학 13.4%, 정책학 9.9%, 철학 6.6%, 과학기술학 5.5%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윤리 연구 내용을 분야별로 범주화하여 살펴보면 철학적 측면의 연구들은 인공지능이라는 존재에 관심을 두고, 제도적 측면의 연구들은 인공지능의 규제 및 관리 방안을 모색하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135) Vol. 135; pp. 47 - 66
Main Authors 임미가, Lim Mik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1.1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35.202112.4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윤리에 관한 국내 연구에 대하여 고찰하고, 앞으로의 인공지능 윤리 연구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는 것에 있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으로 181편의 연구물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야별 비율은 법학 33.1%, 윤리학 22.6%, 교육학 13.4%, 정책학 9.9%, 철학 6.6%, 과학기술학 5.5%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윤리 연구 내용을 분야별로 범주화하여 살펴보면 철학적 측면의 연구들은 인공지능이라는 존재에 관심을 두고, 제도적 측면의 연구들은 인공지능의 규제 및 관리 방안을 모색하며, 교육적 측면의 연구들은 구성원들의 인공지능 윤리 의식의 함양에 관심을 두었다. 추후 인공지능 윤리 연구가 광범위한 영역에서 진행될 것과, 규범 윤리학으로써의 인공지능 윤리 연구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것을 제언한다. 또한 추후 우리나라에서 인공지능의 윤리적 활용을 실현할 구체적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to obtain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utur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research. For this purpose, 181 studies were analyzed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The ratio by research topic was 33.1% in Law, 22.6% in Ethics, 13.4% in Education, 9.9% in Policy Studies, 6.6% in Philosophy, and 5.5%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contents of this study's AI ethics research were reviewed by subject. Studies in the philosophical aspect focus on the exist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udies in the institutional aspect look for ways to regulate and manag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tudies in the educational aspect pay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ethical awareness of AI among members. It is suggested that AI ethics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a wide area, and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I ethics research as a normative ethic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follow-up research on specific ways to realize the ethic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Korea is carried out in the future.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35.2021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