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유도 선수들의 저항트레이닝 방법에 따른 신체구성,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 심폐기능,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목적] 본 연구는 트레이닝 방법에 따라 여자 유도 선수의 신체구성,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 심폐기능,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여자 유도 선수를 대상으로 12주간 10개의 운동 동작으로 구성된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n=10)과 웨이트 트레이닝(n=10)을 실시하였다.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신체구성,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 심폐기능, 무산소성 파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WT 집단과 CWT 집단의 신체구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집단과 기간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0; no. 1; pp. 178 - 188
Main Authors 최동훈, Dong-hun Choi, 염동철, Dong-chul Yeom, 조민선, Min-sun Cho, 조준용, Joon-yong C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1.03.2019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9.30.1.17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트레이닝 방법에 따라 여자 유도 선수의 신체구성,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 심폐기능,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여자 유도 선수를 대상으로 12주간 10개의 운동 동작으로 구성된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n=10)과 웨이트 트레이닝(n=10)을 실시하였다.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신체구성,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 심폐기능, 무산소성 파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WT 집단과 CWT 집단의 신체구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집단과 기간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체중: F=1082.694, p=.001; 체지방량: F=199.999, p=.001; 골격근량: F=2481.698, p=.001; 체지방률: F=496.246, p=.001). 둘째, 견관절 근력과 슬관절 근지구력에서 집단과 기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EPTL: F=6.598, p=.019; EAPL: F=12.860, p=.002).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훈련 방법에 따라 기간과 집단 간에 상호 작용 효과가 대부분 나타나지 않았지만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 집단이 웨이트트레이닝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12주간의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은 여자 유도선수들에 있어 신체구성, 근력 및 근지구력, 심폐기능 및 무산소성 파워의 향상으로 경기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ining methods o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naerobic power in female judo players. [Methods] Subjects performed weight training (n=10) and circuit weight training (n=10) consisting of 10 sports items for 12 week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ining, body composition, isokinetic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naerobic power were measured and the effect of training was verified. [Results] First, the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between WT and CWT groups showed tha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period was found in all variables (weight: F=1082.694, p=.001, body fat mass F=199.999, p=.001; skeletal muscle mass F=2481.698, p=.001, and percentage body fat: F=496.246, p=.001).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duration in shoulder muscle strength and knee endurance (EPTL: F=6.598, p=.019; EAPL: F=12.860, p=.002).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eriod and group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training method but the overall effect of the circuit weight training group was more positive than the weight training group.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12 weeks circuit weight training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female Judo players by improving body composition,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naerobic power.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19.30.1.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