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 71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아동영역, 부모영역,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사회성숙도 검사, 유아행동평가척도, Beck 우울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증상, 문제행동, 어머니의 우울증상은 양육스트레스와 정...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22; no. 3; pp. 301 - 31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31.08.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0858 2384-0153 |
DOI | 10.17641/KAPT.22.3.4 |
Cover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 71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아동영역, 부모영역,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사회성숙도 검사, 유아행동평가척도, Beck 우울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증상, 문제행동, 어머니의 우울증상은 양육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성숙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양육스트레스 아동영역에 대한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문제행동과 어머니 우울증상의 설명력은 약 32%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외현화 문제행동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양육스트레스 부모영역과 총점에 대한 설명력은 약 43%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 우울증상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폐증상을 통제하고도 사회성숙도와 문제행동은 증분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우울증상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ASD 영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ism severity, social maturity,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impact on the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infants with ASD. The subjects were 71 mothers of infants age 1-5 with ASD. The K-PSI, CARS, SMS, CBCL 1.5-5, and BDI were used as the measuring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social matur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ing stress. Second,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in parenting stress. Among thes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predicted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 problems explained additional variance, controlling for autism severity. Moreover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explained additional variance, controlling for other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infants with ASD. |
---|---|
AbstractList | 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 71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아동영역, 부모영역,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사회성숙도 검사, 유아행동평가척도, Beck 우울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증상, 문제행동, 어머니의 우울증상은 양육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성숙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양육스트레스 아동영역에 대한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문제행동과 어머니 우울증상의 설명력은 약 32%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외현화 문제행동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양육스트레스 부모영역과 총점에 대한 설명력은 약 43%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 우울증상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폐증상을 통제하고도 사회성숙도와 문제행동은 증분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우울증상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ASD 영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ism severity, social maturity,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impact on the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infants with ASD. The subjects were 71 mothers of infants age 1-5 with ASD. The K-PSI, CARS, SMS, CBCL 1.5-5, and BDI were used as the measuring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social matur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ing stress. Second,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in parenting stress. Among thes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predicted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 problems explained additional variance, controlling for autism severity. Moreover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explained additional variance, controlling for other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infants with ASD. 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 71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아동영역, 부모영역,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사회성숙도 검사, 유아행동평가척도, Beck 우울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증상, 문제행동, 어머니의 우울증상은 양육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성숙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양육스트레스 아동영역에 대한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문제행동과 어머니 우울증상의 설명력은 약 32%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외현화 문제행동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양육스트레스 부모영역과 총점에 대한 설명력은 약 43%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 우울증상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폐증상을 통제하고도 사회성숙도와 문제행동은 증분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우울증상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ism severity, social maturity,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impact on the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infants with ASD. The subjects were 71 mothers of infants age 1-5 with ASD. The K-PSI, CARS, SMS, CBCL 1.5-5, and BDI were used as the measuring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social matur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ing stress. Second,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in parenting stress. Among thes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predicted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 problems explained additional variance, controlling for autism severity. Moreover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explained additional variance, controlling for other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infants with ASD.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Ha Eun-hye Eom You-jin 하은혜 엄유진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엄유진 – sequence: 2 fullname: Eom You-jin – sequence: 3 fullname: 하은혜 – sequence: 4 fullname: Ha Eun-hye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9638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pFUM1LwmAcfomCzLp167Jr4Oz92N69O4r0RUIR3sfmZgxLw506Vh7MIg3KVNQsKjoIFXlY4F_UfvsfWhl0eh54vn785tB0sVR0EFokOEk0rpCVrdRONklpkiWVKRSjTCgyJiqbRjFCqS5joYpZtOB5roWxUFQiMI6hB-g3wnoDao_hZTus-cHdGPpPcDOQoHUM3QHcVKDXkv5czz04PU5IcDIMOxdQeYdqO6hXElIw9GHQDZtnQb399TGWoDkKXvzgvPqb7bxBx59koTf6FyN2Bd37n-1oeFCNCNw2pODVh89WULv-OSFsPs2jmby57zkLfxhH2bXVbHpDzmyvb6ZTGbmgKlzOUUaJKjRLZZpOHNtkWs7UuWpbzMSYCsGJrtuqY1sadSgnJslxR5h29CIFWw5hcbQ8qS2W80Yh5xol0_3FvZJRKBup3eymwaMirvPIuzTxFlzPMw7L7oFZPjJYJOmcsG8ug6uj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ACYCR |
DOI | 10.17641/KAPT.22.3.4 |
DatabaseName |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utism Severity, Social Maturity,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on the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EISSN | 2384-0153 |
EndPage | 318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6028696 3696961 |
GroupedDBID | HZB M~E Q5X ACYCR |
ID | FETCH-LOGICAL-k546-c2321587b53791eda37ca965db3a002886199d5edb72e261a1c6e8ad01540be13 |
ISSN | 1229-0858 |
IngestDate | Sun Mar 09 07:50:53 EDT 2025 Tue Mar 25 02:13:24 EDT 2025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Issue | 3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546-c2321587b53791eda37ca965db3a002886199d5edb72e261a1c6e8ad01540be13 |
Notes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
PageCount | 18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6028696 kiss_primary_3696961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90831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9-08-3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8 year: 2019 text: 20190831 day: 31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
PublicationTitleAlternate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
PublicationYear | 2019 |
Publisher | 한국놀이치료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놀이치료학회 |
SSID | ssib008451800 ssib044754638 ssib001148766 ssib002820852 |
Score | 2.0755126 |
Snippet | 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 71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아동영역, 부모영역,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아동기... |
SourceID | nrf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301 |
SubjectTerms | autism severity autism spectrum disorder behavior problems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parenting stress social maturity 문제행동 사회성숙도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어머니 우울증상 자폐스펙트럼장애 자폐증상 정신과학 |
Title |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69696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96387 |
Volume | 22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019, 22(3), , pp.301-318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R1NT9RAtEG8eDEaNOJXGuOcYNd-TNuZY7vsBjUYD2vCbbPdtsZsAgbh4sEE5YBoBBNBIICrEeOBRI0c1oRfZGf_g-9NW7arq0HjpXmdeV_zXtv33mRmqihXce9U5DdoQWtEJhQoUVDgNAoLQaTpEYR80w9xN_LELXv8Dr0xaU0ODAa5VUtzs36x8bDvvpJ_8Sq0gV9xl-xfePaQKTQADP6FK3gYrkfyMSmXCC8TrpHyGGEVCZQIc4lLZQt0cQm4xGOk7BFeIV4ppXItCVjE1UYkxCCrlEAJmtI-RiUwBr0j_aW5NnajWBPpwWPyxiBuCfG4S5iUCJw8yZ4xqZWHLKBREniIjSpK0TyhtAnL8JAAxmCC9okaNvGoJGPpyJiHjHt1BQotA1gfXRNsj_6JZdbHD02j99o4My3onSiQdgGyAyZKBldJFfA4mhl5u4TTvNnleF0rXyvIRktaA4SAn8YkpY2LUzLVe5i6prR1QsV7rO86SAW2NgwoKfKz66mmqaMz1yM-7aIkLDP7MvkEwC0v5SeNcJ8ay6Itvub_awC5wGkYKCQ5hr8YyjbIBnGFk2XmAqSZTl0luZaZxN5fwrhjU4zjN93b1aJhFM0i7aYr2RKNn7KYnvPSm417tbvTteZMDarC6zUbkmib28eU44bjyMUcE4_K3aJBh6I9P4nB8L-13aSfUUtn3UMs8YRMClELZ3KyQac7alDtazmlIc2DKvABpK1TM1Euba2eUk6m9abqJh-P08pAc3pIeSd2VjrLK2LpfefFRmepHb85EDu7YrWlivV5sdUSqwtie11NsT5siyfzo6p4vNfZfC4WvojFjXh5YVSN99qitdVZexovb3z_eqCKtf34Yzt-tihpNz-LzXZCK7b3u50AvRRbb1E2CG4tAiBer6jxp7b4th4vvUIVOmu7Z5RqpVwtjRfSn7UUmmCOQgMqM91ijm-ZDtfDoG46jTq3rcA362hSZuucB1YY-I4RGrZe1xt2yOoBlnCaH-rmWWVwanoqPKeoJuQVYUQjYONQx6z7mm_oNNR4GAQBZCDDyhBatXY_OY6nhn8k5bY-rFwBK0vX__4ROH8UpAvKie47c1EZnJ2ZCy9B6THrX5ZPzg_ulwLI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E%90%ED%8F%90%EC%8A%A4%ED%8E%99%ED%8A%B8%EB%9F%BC%EC%9E%A5%EC%95%A0+%EC%98%81%EC%9C%A0%EC%95%84%EC%9D%98+%EC%9E%90%ED%8F%90%EC%A6%9D%EC%83%81%2C+%EC%82%AC%ED%9A%8C%EC%84%B1%EC%88%99%EB%8F%84%2C+%EB%AC%B8%EC%A0%9C%ED%96%89%EB%8F%99%EA%B3%BC+%EC%96%B4%EB%A8%B8%EB%8B%88%EC%9D%98+%EC%9A%B0%EC%9A%B8%EC%A6%9D%EC%83%81%EC%9D%B4+%EC%96%B4%EB%A8%B8%EB%8B%88+%EC%96%91%EC%9C%A1%EC%8A%A4%ED%8A%B8%EB%A0%88%EC%8A%A4%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ED%95%9C%EA%B5%AD%EB%86%80%EC%9D%B4%EC%B9%98%EB%A3%8C%ED%95%99%ED%9A%8C%EC%A7%80%2C+22%283%29&rft.au=%EC%97%84%EC%9C%A0%EC%A7%84&rft.au=%ED%95%98%EC%9D%80%ED%98%9C&rft.date=2019-08-31&rft.pub=%ED%95%9C%EA%B5%AD%EB%86%80%EC%9D%B4%EC%B9%98%EB%A3%8C%ED%95%99%ED%9A%8C&rft.issn=1229-0858&rft.eissn=2384-0153&rft.spage=301&rft.epage=318&rft_id=info:doi/10.17641%2FKAPT.22.3.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6028696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0858&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0858&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085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