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 71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아동영역, 부모영역,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사회성숙도 검사, 유아행동평가척도, Beck 우울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증상, 문제행동, 어머니의 우울증상은 양육스트레스와 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22; no. 3; pp. 301 - 318
Main Authors 엄유진, Eom You-jin, 하은혜, Ha Eun-hy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1.08.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2.3.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만 1-5세 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 71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아동영역, 부모영역,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사회성숙도 검사, 유아행동평가척도, Beck 우울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증상, 문제행동, 어머니의 우울증상은 양육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성숙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양육스트레스 아동영역에 대한 자폐증상, 사회성숙도, 문제행동과 어머니 우울증상의 설명력은 약 32%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외현화 문제행동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양육스트레스 부모영역과 총점에 대한 설명력은 약 43%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 우울증상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폐증상을 통제하고도 사회성숙도와 문제행동은 증분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우울증상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ASD 영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ism severity, social maturity,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impact on the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infants with ASD. The subjects were 71 mothers of infants age 1-5 with ASD. The K-PSI, CARS, SMS, CBCL 1.5-5, and BDI were used as the measuring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social matur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ing stress. Second,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in parenting stress. Among thes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predicted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 problems explained additional variance, controlling for autism severity. Moreover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explained additional variance, controlling for other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infants with ASD.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