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호캐릭터의 감성평가

연구배경 캐릭터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캐릭터산업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어릴 때 경험한 캐릭터를 성인이 된 후 다시 소비하면서 어릴 적 향수를 느끼는 키덜트 세대의 등장으로 캐릭터를 소비하는 연령층이 넓어졌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을 대상으로 선호캐릭터 조사를 바탕으로 캐릭터 경험 연령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주요 선호 캐릭터에 대한 색채분석과 SD 법을 통한 감성평가를 시행하여 캐릭터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선호캐릭터와 가장 연관이 깊은 산업은 애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62; pp. 81 - 90
Main Authors 한혜진, Hyejin 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2.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19.24.1.007

Cover

Abstract 연구배경 캐릭터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캐릭터산업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어릴 때 경험한 캐릭터를 성인이 된 후 다시 소비하면서 어릴 적 향수를 느끼는 키덜트 세대의 등장으로 캐릭터를 소비하는 연령층이 넓어졌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을 대상으로 선호캐릭터 조사를 바탕으로 캐릭터 경험 연령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주요 선호 캐릭터에 대한 색채분석과 SD 법을 통한 감성평가를 시행하여 캐릭터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선호캐릭터와 가장 연관이 깊은 산업은 애니메이션으로 일본의 캐릭터가 가장 많이 선호되었고, 3세 때 접한 캐릭터의 경험이 선호캐릭터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선호캐릭터에는 고명도의 따뜻한 색채가 많이 쓰였고, 친근감과 낯익음과 같은 시대성 인자가 캐릭터 감성평가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자분석을 통해 친근성과 선호성이 선호캐릭터를 평가하는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국산 애플리케이션 캐릭터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2015년도의 캐릭터 조사와 비교하여, 애플리케이션 캐릭터가 높은 선호순위로 등장하고 있어 향후 조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 industry of characters is receiving attention again according to increase consuming characters. The kidult, who is consumer of preferred characters in childhood, makes widen generation of customers. Method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ges on the character’s experience were investigated by subjects between the end of teenagers and the middle of twenties. Moreover, the color analysis and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the preferred characters were researched for defining the feature of the characters. Result In results, the animation is the most related industry of preferred characters. And, Japanese characters were preferred. The experience of character when they were three years old plays role for selecting the preferred characters. It showed strong connection with kidults, the main consumer of characters. As a result of color analysis, high lightness and warm colors were used for the characters. The trend of the time (close, familia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preferred characters. Moreover, familiarity and preference were the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ng preferred characte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character survey of 2015, application characters were appeared in this results as a higher ranking order, so the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AbstractList 연구배경 캐릭터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캐릭터산업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어릴 때 경험한 캐릭터를 성인이 된 후 다시 소비하면서 어릴 적 향수를 느끼는 키덜트 세대의 등장으로 캐릭터를 소비하는 연령층이 넓어졌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을 대상으로 선호캐릭터 조사를 바탕으로 캐릭터 경험 연령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주요 선호 캐릭터에 대한 색채분석과 SD 법을 통한 감성평가를 시행하여 캐릭터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선호캐릭터와 가장 연관이 깊은 산업은 애니메이션으로 일본의 캐릭터가 가장 많이 선호되었고, 3세 때 접한 캐릭터의 경험이 선호캐릭터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선호캐릭터에는 고명도의 따뜻한 색채가 많이 쓰였고, 친근감과 낯익음과 같은 시대성 인자가 캐릭터 감성평가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자분석을 통해 친근성과 선호성이 선호캐릭터를 평가하는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국산 애플리케이션 캐릭터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2015년도의 캐릭터 조사와 비교하여, 애플리케이션 캐릭터가 높은 선호순위로 등장하고 있어 향후 조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 industry of characters is receiving attention again according to increase consuming characters. The kidult, who is consumer of preferred characters in childhood, makes widen generation of customers. Method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ges on the character’s experience were investigated by subjects between the end of teenagers and the middle of twenties. Moreover, the color analysis and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the preferred characters were researched for defining the feature of the characters. Result In results, the animation is the most related industry of preferred characters. And, Japanese characters were preferred. The experience of character when they were three years old plays role for selecting the preferred characters. It showed strong connection with kidults, the main consumer of characters. As a result of color analysis, high lightness and warm colors were used for the characters. The trend of the time (close, familia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preferred characters. Moreover, familiarity and preference were the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ng preferred characte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character survey of 2015, application characters were appeared in this results as a higher ranking order, so the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연구배경 캐릭터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캐릭터산업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어릴 때 경험한 캐릭터를 성인이 된 후 다시 소비하면서 어릴 적 향수를 느끼는 키덜트 세대의 등장으로 캐릭터를 소비하는 연령층이 넓어졌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을 대상으로 선호캐릭터 조사를 바탕으로 캐릭터 경험 연령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주요 선호캐릭터에 대한 색채분석과 SD 법을 통한 감성평가를 시행하여 캐릭터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선호캐릭터와 가장 연관이 깊은 산업은 애니메이션으로 일본의 캐릭터가 가장 많이 선호되었고, 3세 때 접한 캐릭터의 경험이 선호캐릭터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선호캐릭터에는 고명도의 따뜻한 색채가 많이 쓰였고, 친근감과 낯익음과 같은 시대성 인자가 캐릭터 감성평가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자분석을 통해 친근성과 선호성이 선호캐릭터를 평가하는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국산 애플리케이션 캐릭터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2015년도의 캐릭터 조사와 비교하여, 애플리케이션 캐릭터가 높은 선호순위로 등장하고 있어 향후 조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 industry of characters is receiving attention again according to increase consuming characters. The kidult, who is consumer of preferred characters in childhood, makes widen generation of customers. Method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ges on the character’s experience were investigated by subjects between the end of teenagers and the middle of twenties. Moreover, the color analysis and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the preferred characters were researched for defining the feature of the characters. Result In results, the animation is the most related industry of preferred characters. And, Japanese characters were preferred. The experience of character when they were three years old plays role for selecting the preferred characters. It showed strong connection with kidults, the main consumer of characters. As a result of color analysis, high lightness and warm colors were used for the characters. The trend of the time (close, familia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preferred characters. Moreover, familiarity and preference were the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ng preferred characte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character survey of 2015, application characters were appeared in this results as a higher ranking order, so the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KCI Citation Count: 4
Author Hyejin Han
한혜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한혜진
– sequence: 2
  fullname: Hyejin Ha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3764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1Lw0Achw-pYK39BB10dUi8-__vJTeW4kuhIEj2I7kkEqKJ5FzcHLo42bFLwclNiJv4kWryHQzW6fnx4-E5JIOyKlNCJoz6wBDkWeGSRx8o0z5wn_mUqj0yBBFIjyulBv0GRE8DFQdk7FweU84VBoAwJMft8q1bf7Xfq5_3j27ZtJv1ybZZtcvP7vVl2zwfkf0sunPp-J8jEl6ch7Mrb3F9OZ9NF14huPSQBTZDlmqbcORJTJWKLYrYZlrGaQwaIgv9CRpFZBMrmLUJzUAzy4RQCY7I6S5b1pkpbG6qKP_jbWWK2kxvwrnhoKnisncnO7fInTMPdX4f1U8GpexTEn8BRV9Xf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1326/ksdt.2019.24.1.007
DatabaseNam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선호캐릭터의 감성평가
The Affective Estimation of Preferred Characters
EISSN 2586-4777
EndPage 9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290746
3661556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46-318cf31e9cd434db077bc35bcf96beb292ac20772935acdc51ccd0f291c1557d3
ISSN 2233-9205
IngestDate Tue Nov 21 21:43:12 EST 2023
Thu Aug 21 02:14:07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46-318cf31e9cd434db077bc35bcf96beb292ac20772935acdc51ccd0f291c1557d3
Note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290746
kiss_primary_366155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90225
PublicationDateYYYYMMDD 2019-02-25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19
  text: 20190225
  day: 25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Year 2019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SSID ssib044738232
ssib027980826
Score 1.6796064
Snippet 연구배경 캐릭터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캐릭터산업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어릴 때 경험한 캐릭터를 성인이 된 후 다시 소비하면서 어릴 적 향수를 느끼는 키덜트 세대의 등장으로 캐릭터를 소비하는 연령층이 넓어졌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을 대상으로...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81
SubjectTerms Affective Estimation
Kidult
Preferred Character
감성평가
디자인
선호캐릭터
키덜트
Title 선호캐릭터의 감성평가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66155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37645
Volume 6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디자인포럼, 2019, 24(1), 62, pp.81-9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CrjwgUNDcRgQIXwCaUk8Vd8TLJUA2mcirRb1DgJQpVa1HUXDohDL5zYcRckTtyQyg3xJ_gfo_0PvGenaxkgbUhV5D47L89-lt97tt97hDyqWCWDQpUeq0rp8UJwT9dgpRihlJK8qGuOzsn7z-XeC_7sQBy0Wj_Wbi0dTYqOefNXv5L_4SrAgK_oJXsJzp4hBQCUgb_wBA7D80I8pllKI05jn2a7VEc0iRCSxFQDJKGxpPEuVkGbxMcqjc0e0yzG_9pv3k8C26hLI91UubRHS6XVYhdUp7ZWWKQJ1Rx_iDRrUAF2pMCiilPbpkuTFLkYcgwItbbtsIbTko6FlMaKulRuy40I9H0KPee0bKfO5WmJbSHBUYocUWz5WcCjbSGGqtWSCLoM83Tou69WDiYimGSqSQbjlmGXBaYR6C4d6XlREYIZjtsWg8MSr9QGuhPyToCR1FeScXkb4JzA_C0098C8yl-O8sE4BwPkaQ7iHTO4XCFXQ6XsvYH9t9lygQuVjvw1e45zhceweNJ11jMXGctS9-RP2kBxALviEBSh4bheU4R6m-R6Y8G0Yzcdb5DWYLRFHsynnxYn3-bfj39-_rKYzuYfT9qns-P59Oviw_vT2bubpNfNeume1-Te8AaCS_SpNzULKm1KznhZ-EoVhonC1FoWVRHqEEN7omXGRN-URgTGlH4d6sCAgqpKdotsDEfD6jZpG0DQD2QFL6NUZlFf8rKqYR2Qsq9EuU22sEv5axddJWcSj8rlNnkIXbTD--9hvnORRnfJtdV03SEbk_FRdQ80yUlx33LnF-jWUvU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4%A0%ED%98%B8%EC%BA%90%EB%A6%AD%ED%84%B0%EC%9D%98+%EA%B0%90%EC%84%B1%ED%8F%89%EA%B0%80&rft.jtitle=%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F%AC%EB%9F%BC%2C+24%281%29&rft.au=%ED%95%9C%ED%98%9C%EC%A7%84&rft.date=2019-02-25&rft.pub=%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A%B8%EB%A0%8C%EB%93%9C%ED%95%99%ED%9A%8C&rft.issn=2233-9205&rft.eissn=2586-4777&rft.spage=81&rft.epage=90&rft_id=info:doi/10.21326%2Fksdt.2019.24.1.00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429074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33-920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