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트 공격 방어의 시각 차단: 펜싱 숙련성과 공간 차단 영역에 따른 예측 정확성과 확신도의 차이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펜싱 숙련성과 공간차단영역에 따라서 예측 정확성과 반응 선택 확신도에 미치는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 숙련성에 따라서 두 집단(숙련자 6명과 비숙련자 6명)으로 구분하여 펜싱 공격 기술 팡트 동작에 따른 예측 능력을 평가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펜싱 장비를 모두 착용한 상태로 스크린에 제시되는 공격 장면이 담긴 공간 차단 영상을 보고 최대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격 부위(몸통, 허벅지, 발끝)를 예측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공간 차단 영상은 상대 공격수 움직임에...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29; no. 4; pp. 716 - 726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1.12.2018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8.29.4.716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펜싱 숙련성과 공간차단영역에 따라서 예측 정확성과 반응 선택 확신도에 미치는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 숙련성에 따라서 두 집단(숙련자 6명과 비숙련자 6명)으로 구분하여 펜싱 공격 기술 팡트 동작에 따른 예측 능력을 평가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펜싱 장비를 모두 착용한 상태로 스크린에 제시되는 공격 장면이 담긴 공간 차단 영상을 보고 최대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격 부위(몸통, 허벅지, 발끝)를 예측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공간 차단 영상은 상대 공격수 움직임에서 6가지 영역(손목+칼, 어깨/팔, 머리, 몸통, 앞다리, 뒷다리)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공간을 차단하지 않은 조건 포함하여 공격 부위와 신체 영역에 따른 총 60번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은 독립 표본 T-검정과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예측 정확성 측면에서는 숙련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머리, 뒷다리, 칼, 팔 영역을 차단하는 과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시각을 차단하지 않은 상황과 비교하였을 때, 팔과 칼 영역을 차단하는 상황에서 가장 낮은 예측 정확성이 나타났다. 예측 확신도 측면에서는 숙련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세부적인 공간차단영역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도 없었다. [결론] 펜싱 경기에서 상대 선수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는 칼과 팔/어깨 영역의 시각 단서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특히 팔과 칼 영역의 운동학적 정보를 통해 팡트 공격 방향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differences of anticipating accuracy and confidence according to fencing expertise and spatial occlusion region.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nticipation ability of 6 high-level fencing players and 6 low-level fencing players were analyzed. All subjects performed the 60 tasks of anticipating the attack positions(thorax, thigh, toe) from observing the fencing video screen using spatial occlusion technique. The spatial occlusion technique was used in 6 particular body of opponent’s movement. For statistic analysis, data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measure. Moreover, Paired t-test were used as follow-up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accuracy anticipation, the main effect of experti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Specifically, when the spatial occlusion technique was applied in head, left leg, arm, and a foil, the accuracy of anticip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Moreover, comparing with no-occlusion condition, anticipation accuracy decreased when spatial occlusion technique was applied in arm and foil. In terms of confid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 of expertise. [Conclusions] In order to effectively anticipate the opponent’s movement in fencing sport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visual cues of arm/shoulder, and the foil. Especially, focusing on the foil movement might provide the core informations on anticipation ability. |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8.29.4.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