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의 언어재활을 위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분석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재활을 위해 음악의 다양한 요소들을 사용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분야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연구의 초점 중 연구대상은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언어능력향상에 관한 16편의 논문이다. 선행연구 분석은 연구대상, 음악치료회기, 연구방법, 연구도구, 음악활동, 종속변인으로 6가지 영역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대상자의 연령은 6세가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은 22, 30,32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은 단일사례연구...
Saved in:
Published in | 공공정책연구 Vol. 37; no. 1; pp. 241 - 26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30.06.2020
지방자치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439 2671-8472 |
DOI | 10.33471/ILA.37.1.10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재활을 위해 음악의 다양한 요소들을 사용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분야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연구의 초점 중 연구대상은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언어능력향상에 관한 16편의 논문이다. 선행연구 분석은 연구대상, 음악치료회기, 연구방법, 연구도구, 음악활동, 종속변인으로 6가지 영역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대상자의 연령은 6세가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은 22, 30,32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은 단일사례연구 12편, 단일대상연구와 실험연구 각 2편이다. 평가도구는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를 많이 사용하였다. 언어능력 향상을 위해 사용된 음악활동은 노래 부르기, 노래듣기, 악기연주 등의 순이었다. 음악활동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수용언어(이해력)와 표현언어(발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었으며 악기활동 등 역동적 경험은 사회성이 부족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의 언어재활에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using various elements of music for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related fields. Among the focus of analysis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6 research articles on improving the language skills of autistic children from 2000 to 2019 years. The majority of subjects were 6 years old children with autism. The program of 22, 30, and 32 sessions was the largest number. The evaluation tools used a lot of scales for autism in childhood, and scales for pre-school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on language development. The musical activities used to improve language skills were in the order of singing, listening to music, playing musical instruments, etc., and sing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music activities can be a tool to improve the abilit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 to understand language and express languag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
Bibliography: | Institute for Local Goverment, Dong-Eui University |
ISSN: | 2384-0439 2671-8472 |
DOI: | 10.33471/ILA.37.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