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 3성 개발계획과 중국의 국경지역 안보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계획의 본질과 이를 통하여 추구하는 중국측의 의도를 국경지역 안보차원에서 규명하여 이에 따른 우리정부의 대응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긴 국경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며 가장 많은 접경국가를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중국은 접경국가들과의 관계에서 국경안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국경과 인접한 자국의 변경지역은 지역간 소득격차, 저개발 문제, 소수민족 문제 등 내적인 안보에 위협을 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접경국가와의 국경안보와 국내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글로벌정치연구 Vol. 4; no. 1; pp. 167 - 197
Main Authors 유현정, Hyun Chung Y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30.06.2011
글로벌정치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1352
2671-8499

Cov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계획의 본질과 이를 통하여 추구하는 중국측의 의도를 국경지역 안보차원에서 규명하여 이에 따른 우리정부의 대응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긴 국경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며 가장 많은 접경국가를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중국은 접경국가들과의 관계에서 국경안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국경과 인접한 자국의 변경지역은 지역간 소득격차, 저개발 문제, 소수민족 문제 등 내적인 안보에 위협을 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접경국가와의 국경안보와 국내의 변경지역 안보를 국경지역 안보라는 개념으로 포괄하여, 중국이 지역개발 사업과 국경지역 안보를 어떻게 연계시켜 해결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최근 중국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동북지역 개발사업의 본질과 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의 서부대개발 사업과 동북지역 개발사업을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국은 동북지역 개발사업을 통해 동북 변경지역의 경제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지역간, 계층간 소득격차를 해소하고 이 지역에서의 소수민족 문제를 해결하여 국내의 변경지역 안보를 강화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접경국가들과의 관계에서 국경안보를 강화한다는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계획이 공세적 팽창주의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자국의 국경지역 안보, 동북아지역의 안정을 추구하기 위한 다목적 사업임을 감안할 때, 이 지역 개발사업에 대한 우리 정부의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여의 시기와 규모에 대한 신중한 고려와 함께 최대한의 수익창출이라는 경제적 관점에서의 투자, 민간경제 주도의 투자 등 일정한 기준과 원칙을 마련하고 치밀한 전략적 계획에 따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ses the China`s intention to develop eastern Chinese area in the view of national security around the border area. It also consider the correspondence of South Korea against China government`s policies. As China well known as having the longest borderline in the world, as well as sharing them with the neighbor countries. Most of all, it is the geopolitical essential core for China about the security to keep these areas peaceful.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 the conception of border security, which is not only including the China`s national security in the boundaries against the neighbors, but also the Chinese domestic security problems in the frontier areas against the neighboring countries. And to search the intention of the policies for developing the eastern China, it will be examined as the way to compare and analyse the developing enterprises between the eastern China and the western China, in this paper.
AbstractLis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계획의 본질과 이를 통하여 추구하는 중국측의 의도를 국경지역 안보차원에서 규명하여 이에 따른 우리정부의 대응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긴 국경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며 가장 많은 접경국가를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중국은 접경국가들과의 관계에서 국경안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국경과 인접한 자국의 변경지역은 지역간 소득격차, 저개발 문제, 소수민족 문제 등 내적인 안보에 위협을 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접경국가와의 국경안보와 국내의 변경지역 안보를 국경지역 안보라는 개념으로 포괄하여, 중국이 지역개발 사업과 국경지역 안보를 어떻게 연계시켜 해결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최근 중국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동북지역 개발사업의 본질과 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의 서부대개발 사업과 동북지역 개발사업을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국은 동북지역 개발사업을 통해 동북 변경지역의 경제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지역간, 계층간 소득격차를 해소하고 이 지역에서의 소수민족 문제를 해결하여 국내의 변경지역 안보를 강화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접경국가들과의 관계에서 국경안보를 강화한다는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계획이 공세적 팽창주의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자국의 국경지역 안보, 동북아지역의 안정을 추구하기 위한 다목적 사업임을 감안할 때, 이 지역 개발사업에 대한 우리 정부의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여의 시기와 규모에 대한 신중한 고려와 함께 최대한의 수익창출이라는 경제적 관점에서의 투자, 민간경제 주도의 투자 등 일정한 기준과 원칙을 마련하고 치밀한 전략적 계획에 따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ses the China`s intention to develop eastern Chinese area in the view of national security around the border area. It also consider the correspondence of South Korea against China government`s policies. As China well known as having the longest borderline in the world, as well as sharing them with the neighbor countries. Most of all, it is the geopolitical essential core for China about the security to keep these areas peaceful.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 the conception of border security, which is not only including the China`s national security in the boundaries against the neighbors, but also the Chinese domestic security problems in the frontier areas against the neighboring countries. And to search the intention of the policies for developing the eastern China, it will be examined as the way to compare and analyse the developing enterprises between the eastern China and the western China, in this pa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계획의 본질과 이를 통하여 추구하는 중국측의 의도를 국경지역 안보차원에서 규명하여 이에 따른 우리정부의 대응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긴 국경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며 가장 많은 접경국가를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중국은 접경국가들과의 관계에서 국경안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국경과 인접한 자국의 변경지역은 지역간 소득격차, 저개발 문제, 소수민족 문제 등 내적인 안보에 위협을 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접경국가와의 국경안보와 국내의 변경지역 안보를 국경지역 안보라는 개념으로 포괄하여, 중국이 지역개발 사업과 국경지역 안보를 어떻게 연계시켜 해결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최근 중국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동북지역 개발사업의 본질과 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의 서부대개발 사업과 동북지역 개발사업을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국은 동북지역 개발사업을 통해 동북 변경지역의 경제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지역간, 계층간 소득격차를 해소하고 이 지역에서의 소수민족 문제를 해결하여 국내의 변경지역 안보를 강화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접경국가들과의 관계에서 국경안보를 강화한다는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계획이 공세적 팽창주의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자국의 국경지역 안보, 동북아지역의 안정을 추구하기 위한 다목적 사업임을 감안할 때, 이 지역 개발사업에 대한 우리 정부의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여의 시기와 규모에 대한 신중한 고려와 함께 최대한의 수익창출이라는 경제적 관점에서의 투자, 민간경제 주도의 투자 등 일정한 기준과 원칙을 마련하고 치밀한 전략적 계획에 따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ses the China`s intention to develop eastern Chinese area in the view of national security around the border area. It also consider the correspondence of South Korea against China government`s policies. As China well known as having the longest borderline in the world, as well as sharing them with the neighbor countries. Most of all, it is the geopolitical essential core for China about the security to keep these areas peaceful.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 the conception of border security, which is not only including the China`s national security in the boundaries against the neighbors, but also the Chinese domestic security problems in the frontier areas against the neighboring countries. And to search the intention of the policies for developing the eastern China, it will be examined as the way to compare and analyse the developing enterprises between the eastern China and the western China, in this paper. KCI Citation Count: 0
Author Hyun Chung Yoo
유현정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유현정
– sequence: 2
  fullname: Hyun Chung Yo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537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z1Lw0Achw-pYK39BC5ZHQJ3uf_d5cZSfCkUBOl-3OVFQjSRZHJT6OAi4iBaqZvgVKhGnfQLJed3MFin5zc8PPDbRJ0sz6I11PW4IK4PUnbajTFzCWXeBuqXZWIwgKBCUK-LZHMzaz4vHWqnr069nDfLeV1Nfx6v6-rLsc-39cfCPj04Leq3b_tyYe8Xjr27aqr3LbQe65My6v-zhyZ7u5PhgTs-3B8NB2M3ZcBcHmIdQiSC0AhOuJAeUC0IJgZ4DJxITkFyYvwQGPMNAa21IUEsiICQBZz20M4qmxWxSoNE5Tr543Gu0kINjiYjRX0Q7b3W3V65aVKW6qxITnVxrjxJOcOY_gJRlGCf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동북 3성 개발계획과 중국의 국경지역 안보
The Northern-east China Development Programme and the Security of the Border Area
EISSN 2671-8499
EndPage 19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847135
2936500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45-6d0ad4e7cdb761679243a7101b46f4619634961b8d4558b14aaab1cf7174d5c63
ISSN 2005-1352
IngestDate Wed May 29 03:15:01 EDT 2024
Tue Aug 05 02:10:28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45-6d0ad4e7cdb761679243a7101b46f4619634961b8d4558b14aaab1cf7174d5c63
Notes Institute of Global Politics
PageCount 3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847135
kiss_primary_293650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1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1-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11
  text: 2011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글로벌정치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글로벌정치연구
PublicationYear 2011
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글로벌정치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 name: 글로벌정치연구소
SSID ssib044737732
ssib007556267
ssib009283218
Score 1.4626551
Snippe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계획의 본질과 이를 통하여 추구하는 중국측의 의도를 국경지역 안보차원에서 규명하여 이에 따른 우리정부의 대응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긴 국경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며 가장 많은 접경국가를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67
SubjectTerms Security Policy
the Developing Enterprise in China
the Security of the Border Area
TRADP
국경지역안보
동북3성개발
서부대개발
장길도개발
정치외교학
Title 동북 3성 개발계획과 중국의 국경지역 안보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93650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5379
Volume 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글로벌정치연구, 2011, 4(1), , pp.167-19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V07j9QwELb2rqJBoANxvBQhXEVB69hO7DLJ5nQgHdUiHVWUxwbQSrto2S2gQCBdQYMQBeKho0OiOulggQr-UDZ0_ADGTjaXgyt4NIk14xl7PM7kc-IHQpfTZECzPBdWrqZQMScjlrATaoksZk5M1L8ltTh567qzeYNd2-bbnc6P1qyl2TS5kj44cl3Jv3gVaOBXtUr2LzzbKAUCpMG_cAUPw_WPfIxDH4sNLKVK-A6gQpPiMMCCYZ-YOPSw38Uy0NwqARSq2GEPSw-LXk3xA1PJeQxLokkcez1FkZBPmC0SJGzsa57nqmkSKpMLLK1AciyELg50sjbw1ZJCC_jYI8ta2VgEWldXyULCl1BgrRTqXBfcfMrVHJ1dWSC0KbV000Hvz0ZmcBuCmHlzPG5_1SBkOQWv7odaCV82TGOzVDU9RHHAGt3YgbagkpJ1Htk1_9M67TNwX3AQlqu9Wyk_9A5hvz0q1fuAVGeN_LKlN0AsAMbdFbRCiYrNWw_DJga6HBBpCxJKfZZUEyMZc6nr6nP3mooAmoDBxj1AR6NJ3kJH_RPoeD2sMbyqj55EneF4DcnFs9eLL48NWu58MIr93cX-bjHf-f7maTH_apTvnhef98q3rwy4FR-_le8flS_3jPLFk8X80ynU3wj7waZVH9VhDQGCW07WjTM2cNMscR31Y89mNAbsShLm5MxRUZ5JhyQiY5yLhLA4jhOS5i6MhzOeOvQ0Wh2NR4MzyFCYlWWCxxlA_ZTmibR5mrmxPaBxkhKyjtaUsdHdajOWqG7LdXQJjI-G6Z1IbZiu7rfG0XASwbDwakQVBqP87NGy59Cxgy54Hq1OJ7PBBYCa0-Si9s1PLKlcN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F%99%EB%B6%81+3%EC%84%B1+%EA%B0%9C%EB%B0%9C%EA%B3%84%ED%9A%8D%EA%B3%BC+%EC%A4%91%EA%B5%AD%EC%9D%98+%EA%B5%AD%EA%B2%BD%EC%A7%80%EC%97%AD+%EC%95%88%EB%B3%B4&rft.jtitle=%EA%B8%80%EB%A1%9C%EB%B2%8C%EC%A0%95%EC%B9%98%EC%97%B0%EA%B5%AC&rft.au=%EC%9C%A0%ED%98%84%EC%A0%95&rft.au=Hyun+Chung+Yoo&rft.date=2011-06-30&rft.pub=%ED%95%9C%EA%B5%AD%EC%99%B8%EA%B5%AD%EC%96%B4%EB%8C%80%ED%95%99%EA%B5%90+%EA%B8%80%EB%A1%9C%EB%B2%8C%EC%A0%95%EC%B9%98%EC%97%B0%EA%B5%AC%EC%86%8C&rft.issn=2005-1352&rft.volume=4&rft.issue=1&rft.spage=167&rft.externalDocID=293650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005-135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005-135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005-135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