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링 호그 투 호그 각 구간 스위핑 시 근 동원 양상 및 스톤의 정지 위치 분석

〔목적〕 컬링에서 구간별 스위핑 동작의 차이가 스톤의 이동 궤적과 근 활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컬링 스위핑 훈련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각 구간별 스위핑을 시스톤의 멈춘 위치를 확인하여 스톤 간의 길이(진행거리)와 너비(진행방향)를 확인하고, 이를 기록하기 위해 기준표를 통해와 기록 작성표에 기록하였다. 또한, 총 12부위의 근육에 EMG를 부착하고 구간 시작과 끝나는 시점까지 각 구간 당 20번 씩 총 60번 스위핑을 하게 하였다. 스위핑을 하는 대상자가 세 구간 모두 같은 조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2; no. 1; pp. 170 - 179
Main Authors 권영일, Young-il Kwon, 김태완, Tae-whan Kim, 최상협, Sang-hyup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1.03.2021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21.32.1.170

Cover

Abstract 〔목적〕 컬링에서 구간별 스위핑 동작의 차이가 스톤의 이동 궤적과 근 활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컬링 스위핑 훈련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각 구간별 스위핑을 시스톤의 멈춘 위치를 확인하여 스톤 간의 길이(진행거리)와 너비(진행방향)를 확인하고, 이를 기록하기 위해 기준표를 통해와 기록 작성표에 기록하였다. 또한, 총 12부위의 근육에 EMG를 부착하고 구간 시작과 끝나는 시점까지 각 구간 당 20번 씩 총 60번 스위핑을 하게 하였다. 스위핑을 하는 대상자가 세 구간 모두 같은 조건으로 최대한 스위핑을 할 수 있도록 요구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스톤의 속도가 빠른 1, 2구간과 스톤의 속도가 느린 3구간의 근 동원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스톤이 느리게 움직일 때 힘을 많이 써 힘이 남은 다른 근육을 이용해 좀 더 스위핑에 집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컬링의 스위핑 동작은 대부분 상지의 여러 근육들이 골고루 사용되는 동작으로 상체근육의 발달에 적합한 종목이라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밀기시 우측 삼각근, 당기기 시 우측 상완삼두근의 근동원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스톤의 구간별 스위핑 효과는 대기온습도의 변화, 아이스온도의 변화, 패블의 온도-크기-개수, 스톤의 엣지 상태-반발력 등에 따라 스톤이 움직이는 크기 각도 등이 변하는 변수가 많은 운동 종목으로 선수들의 많은 경험에 의하여 이러한 변수들에 대해 대처할 수가 있고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is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training necessary for sweeping through the analysis of muscle activity generated at this time and how much sweeping and what trajectory moves the stone when the movement of the stone is controlled through sweeping. [Methods] To check and record the distance between the stones by checking the stop position of the stone made by sweeping each section, the length (progress distance) and width (progress direction) were recorded using a reference table and a record preparation table. With the EMG attached, a total of 60 sweeps were made 20 times each from the beginning of the section to the end of the section. Sweeping subjects were asked to sweep as much as possible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all three section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uscle mobilization patterns of the 1st and 2nd sections of the stone with the faster speed and the 3rd section with the stone's slower speed appeared differ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weeping motion of curling is a motion that is used evenly among the muscles of the upper extremity, and it can be verified that it is a suitable item for the development of upper body muscles. Also, the right deltoid's muscle activity rate during push and the right triceps brachii during pull was high. [Conclusions] Each section of the stone's sweeping effect is an exercise that has many variables, such as changes in atmospheric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in ice temperature, temperature-size-number of pebbles, and the edge state-resilience of stones, etc. It is judged that experience can cope with these variables and requires training.
AbstractList 〔목적〕 컬링에서 구간별 스위핑 동작의 차이가 스톤의 이동 궤적과 근 활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컬링 스위핑 훈련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각 구간별 스위핑을 시스톤의 멈춘 위치를 확인하여 스톤 간의 길이(진행거리)와 너비(진행방향)를 확인하고, 이를 기록하기 위해 기준표를 통해와 기록 작성표에 기록하였다. 또한, 총 12부위의 근육에 EMG를 부착하고 구간 시작과 끝나는 시점까지 각 구간 당 20번 씩 총 60번 스위핑을 하게 하였다. 스위핑을 하는 대상자가 세 구간 모두 같은 조건으로 최대한 스위핑을 할 수 있도록 요구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스톤의 속도가 빠른 1, 2구간과 스톤의 속도가 느린 3구간의 근 동원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스톤이 느리게 움직일 때 힘을 많이 써 힘이 남은 다른 근육을 이용해 좀 더 스위핑에 집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컬링의 스위핑 동작은 대부분 상지의 여러 근육들이 골고루 사용되는 동작으로 상체근육의 발달에 적합한 종목이라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밀기시 우측 삼각근, 당기기 시 우측 상완삼두근의 근동원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스톤의 구간별 스위핑 효과는 대기온습도의 변화, 아이스온도의 변화, 패블의 온도-크기-개수, 스톤의 엣지 상태-반발력 등에 따라 스톤이 움직이는 크기 각도 등이 변하는 변수가 많은 운동 종목으로 선수들의 많은 경험에 의하여 이러한 변수들에 대해 대처할 수가 있고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is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training necessary for sweeping through the analysis of muscle activity generated at this time and how much sweeping and what trajectory moves the stone when the movement of the stone is controlled through sweeping. [Methods] To check and record the distance between the stones by checking the stop position of the stone made by sweeping each section, the length (progress distance) and width (progress direction) were recorded using a reference table and a record preparation table. With the EMG attached, a total of 60 sweeps were made 20 times each from the beginning of the section to the end of the section. Sweeping subjects were asked to sweep as much as possible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all three section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uscle mobilization patterns of the 1st and 2nd sections of the stone with the faster speed and the 3rd section with the stone's slower speed appeared differ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weeping motion of curling is a motion that is used evenly among the muscles of the upper extremity, and it can be verified that it is a suitable item for the development of upper body muscles. Also, the right deltoid's muscle activity rate during push and the right triceps brachii during pull was high. [Conclusions] Each section of the stone's sweeping effect is an exercise that has many variables, such as changes in atmospheric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in ice temperature, temperature-size-number of pebbles, and the edge state-resilience of stones, etc. It is judged that experience can cope with these variables and requires training.
목적〕 컬링에서 구간별 스위핑 동작의 차이가 스톤의 이동 궤적과 근 활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컬링 스위핑 훈련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각 구간별 스위핑을 시 스톤의 멈춘 위치를 확인하여 스톤 간의 길이(진행거리)와 너비(진행방향)를 확인하고, 이를 기록하기 위해 기준표를 통해와 기록 작성표에 기록하였다. 또한, 총 12부위의 근육에 EMG를 부착하고 구간 시작과 끝나는 시점까지 각 구간 당 20번 씩 총 60번 스위핑을 하게 하였다. 스위핑을 하는 대상자가 세 구간 모두 같은 조건으로 최대한 스위핑을 할 수 있도록 요구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스톤의 속도가 빠른 1, 2구간과 스톤의 속도가 느린 3구간의 근 동원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스톤이 느리게 움직일 때 힘을 많이 써 힘이 남은 다른 근육을 이용해 좀 더 스위핑에 집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컬링의 스위핑 동작은 대부분 상지의 여러 근육들이 골고루 사용되는 동작으로 상체근육의 발달에 적합한 종목이라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밀기 시 우측 삼각근, 당기기 시 우측 상완삼두근의 근동원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스톤의 구간별 스위핑 효과는 대기온습도의 변화, 아이스온도의 변화, 패블의 온도-크기-개수, 스톤의 엣지 상태-반발력 등에 따라 스톤이 움직이는 크기 각도 등이 변하는 변수가 많은 운동 종목으로 선수들의 많은 경험에 의하여 이러한 변수들에 대해 대처할 수가 있고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is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training necessary for sweeping through the analysis of muscle activity generated at this time and how much sweeping and what trajectory moves the stone when the movement of the stone is controlled through sweeping. [Methods] To check and record the distance between the stones by checking the stop position of the stone made by sweeping each section, the length (progress distance) and width (progress direction) were recorded using a reference table and a record preparation table. With the EMG attached, a total of 60 sweeps were made 20 times each from the beginning of the section to the end of the section. Sweeping subjects were asked to sweep as much as possible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all three section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uscle mobilization patterns of the 1st and 2nd sections of the stone with the faster speed and the 3rd section with the stone's slower speed appeared differ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weeping motion of curling is a motion that is used evenly among the muscles of the upper extremity, and it can be verified that it is a suitable item for the development of upper body muscles. Also, the right deltoid's muscle activity rate during push and the right triceps brachii during pull was high. [Conclusions] Each section of the stone's sweeping effect is an exercise that has many variables, such as changes in atmospheric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in ice temperature, temperature-size-number of pebbles, and the edge state-resilience of stones, etc. It is judged that experience can cope with these variables and requires training.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김태완
Tae-whan Kim
Sang-hyup Choi
권영일
Young-il Kwon
최상협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권영일
– sequence: 2
  fullname: Young-il Kwon
– sequence: 3
  fullname: 김태완
– sequence: 4
  fullname: Tae-whan Kim
– sequence: 5
  fullname: 최상협
– sequence: 6
  fullname: Sang-hyup Choi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0651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1kD1PwkAAhi8GExH5BSy3OrTe9Xrt3UiIHyQkJoa96cedqVUw7eQmkRijAzJgMELiQMLCwKJg9Be11_8gik7POzzvO7zboNBqtwQAFYx0w-SM7kVnSaIbyMA6MXSsYxttgKJhEKLZnLACKGLKmWZwA22BcpKEHkI2pRaxSBFI9TnLph2YD5fpYgnzu9l_TOcdmL7N0nkXqvuJGnXzQR-qhxFMF18w6z2rl0eonvrqpgOzee_HyW8najyE6nWgptdw1VAfQ5i9d1V3vAM2pXueiPIfS6B5sN-sHWmN48N6rdrQImqamk2RJ1wu_EBIPwiQRL5nEUyYSbFv2QGXNJAW54Qy6QohpG1i7vmYSeGZTEhSArvr2VYsncgPnbYb_vK07USxUz1p1h1u2yZF5sqtrN0oTBLnMg4v3PjKIYwhvnrmG3nAg4Y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4985/kjss.2021.32.1.170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Journal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Recreation & Sports
DocumentTitleAlternate 컬링 호그 투 호그 각 구간 스위핑 시 근 동원 양상 및 스톤의 정지 위치 분석
Analysis of muscle mobilization patterns and stop position of stones during sweeping each section of curling hog to hog
EISSN 2233-7938
EndPage 17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774504
3880936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GROUPED_DOAJ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44-750bea9ecdefcdd0f0cb63138451c67d9f5df699358faeeef7419bc18feb48ef3
ISSN 1598-2920
IngestDate Tue Nov 21 21:37:08 EST 2023
Fri Jul 04 02:33:00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1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44-750bea9ecdefcdd0f0cb63138451c67d9f5df699358faeeef7419bc18feb48ef3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774504
kiss_primary_388093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103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1-03-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3
  year: 2021
  text: 202103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Ch'eyuk kwahak yŏn'gu
PublicationTitleAlternate 체육과학연구
PublicationYear 2021
Publisher 한국스포츠과학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Publisher_xml – name: 한국스포츠과학원
– name: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SID ssib007556363
ssib051641522
ssj0002911496
Score 2.136823
Snippet 〔목적〕 컬링에서 구간별 스위핑 동작의 차이가 스톤의 이동 궤적과 근 활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컬링 스위핑 훈련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각 구간별 스위핑을 시스톤의 멈춘 위치를 확인하여 스톤 간의 길이(진행거리)와 너비(진행방향)를...
목적〕 컬링에서 구간별 스위핑 동작의 차이가 스톤의 이동 궤적과 근 활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컬링 스위핑 훈련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각 구간별 스위핑을 시 스톤의 멈춘 위치를 확인하여 스톤 간의 길이(진행거리)와 너비(진행방향)를...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70
SubjectTerms Curling stone
EMG
Hog to hog
Sweeping
근전도
스위핑
체육
컬링 스톤
호그 투 호그
Title 컬링 호그 투 호그 각 구간 스위핑 시 근 동원 양상 및 스톤의 정지 위치 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88093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06512
Volume 3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체육과학연구, 2021, 32(1), 125, pp.170-17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NNrGhQuCDcT4mCyEuVQpTeI49rHJWg2mcaFIu1VJGm8jsKFt1TQOiIkKITiMHYaG2CQOk3bZYRfYEPyiNv0PPDtJ240dgIv79Pze84tfYr_n2s-adpcaDSLPO-rgi1s6ocLQfTs09UiEPqEGCx2VUmjmEZ16Qh7O2rNDw42BXUvN1aAYvjz3XMn_WBVwYFd5SvYfLNsTCgiAwb5QgoWh_Csb44qHXReXPVyB0gGvsIArk5gz7DJcKWPXAUChGAOq8ysBKqWcANlKWIoiBSmflXGZSIADTJQEG3MjrXMBW8iFScjFrIo5V_RQWVJknAKDorfShlwlvzooH1SkeUNSSVVXLsnGJADPlslKtYDn5ikVyKIZCko-Oehte_PYdKL1ZlyI1_x5Py6sY8-GhuU1MnPN_F1T-oMMT8lnoGKmheudGhP1hWeF6bX-tgXFx-VWEam9JVWTfIDpHSiq-ZG-Ng9D6PTC88H1FdPIDxxmX0Ter15uhcnTfVNVdvGk6aBTJI0F6uVc_f4enGO4PPhilgYnof4ib-9jS2cUI71X5exMB1Ezk1lB4qcrMum8aRQts2gUM-ozKcRlwh9u0WHtguk4ajPDzKtKb9R1ZI64fhI2GwJocOrM3kqlCfMhURfd9TRP03cpHe7_qQF4NxD8rIC3trgsBry12mXtUhZmoXL6zVzRhuKlUW20HyOhe-ix-rNsTBPJz8POwQbq7py0j09Q991hDraPNlD722H7qIWS9_vJbqu7vYWSD7uoffwLdTY_J18-ouTTVvJmA3WONiVN9-1-sreDkq_bycFrBBzJjx3U-d5KWntXtVq1UvOm9Oz2ET22CdHBkw4in0dhA4atRqMkSmFALcNixDZC6jS4sBuCcrmNQPhRFAlwzXkQGkxEAWGRsK5pI4tLi9F1DfmmEGboyMUWSpgpWEQlAQkCyigJxLg2Jvur_iLNL1PPzDWu3YH-q8fhQl3mgJe_c0v1eLkOke6Duozb7BK5cT7vTe1i_12-pY2sLjej2-A9rwYTatVpQr0CvwECWKde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B%AC%EB%A7%81+%ED%98%B8%EA%B7%B8+%ED%88%AC+%ED%98%B8%EA%B7%B8+%EA%B0%81+%EA%B5%AC%EA%B0%84+%EC%8A%A4%EC%9C%84%ED%95%91+%EC%8B%9C+%EA%B7%BC+%EB%8F%99%EC%9B%90+%EC%96%91%EC%83%81+%EB%B0%8F+%EC%8A%A4%ED%86%A4%EC%9D%98+%EC%A0%95%EC%A7%80+%EC%9C%84%EC%B9%98+%EB%B6%84%EC%84%9D&rft.jtitle=Ch%27eyuk+kwahak+y%C5%8Fn%27gu&rft.au=%EA%B6%8C%EC%98%81%EC%9D%BC&rft.au=Young-il+Kwon&rft.au=%EA%B9%80%ED%83%9C%EC%99%84&rft.au=Tae-whan+Kim&rft.date=2021-03-31&rft.pub=%ED%95%9C%EA%B5%AD%EC%8A%A4%ED%8F%AC%EC%B8%A0%EA%B3%BC%ED%95%99%EC%9B%90&rft.issn=1598-2920&rft.volume=32&rft.issue=1&rft.spage=170&rft_id=info:doi/10.24985%2Fkjss.2021.32.1.170&rft.externalDocID=388093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2920&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2920&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2920&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