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관련 전근대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와 활용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역사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사에 대한 역사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베트남에 대한 연구는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사 관련 현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에서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학연구 Vol. 33; pp. 83 - 135
Main Authors 주성지, Joo Sung-j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0.06.2017
인문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5485
2671-8847
DOI10.35559/TJOH.33.4

Cover

Abstract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역사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사에 대한 역사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베트남에 대한 연구는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사 관련 현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에서는 『고려사』·『조선왕조실록』 등 조선시대 편년자료부터 개인의 문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검색을 통해서 중요한 사료를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제공되는 중국측 사료(명·청실록, 중국정사 외국전)도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외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의 전근대 역사자료를 소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베트남국립도서관에 소장된 고전적 중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되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소개하고, 그 세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베트남놈보존재단(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사료 중 史部로 분류된 자료를 분석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역사정보화의 경험을 살려 베트남에서 역사자료를 어떻게 구축한다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를 통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연구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refer to historical materials that are the basis of historical research being digitized and offered on the Internet. They have two major advantages of being digitized and being accessible at any places where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via the network, having huge impacts on historical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story of Vietnam has made progress to a certain degree, being active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2000s. It is, however, difficult to do research on the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since there is no easy access to its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and introduce the current state of Vietnamese history based on the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vailable in South Korea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the topic by introducing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history of Vietnam. There are variou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in South Korea from the chronological materials of Joseon including Goryeosa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one can find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search effort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China`s historical materials(the annals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books on foreign states in the official history of China) available in South Korea. It also introduced oversea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and offered explanations about how to make use of them. Also introduced in the present study was a web site that converted classical images hous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Vietnam into digital ones and made them available on the Internet.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its detailed materials. It, in particular, analyzed and catalogued the historical materials classified as Sabu(史部) provided by the 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 in the U.S.A.. Finally, it made proposals about how to establish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Vietnam based on the experiences with the informatization of history in South Korea.
AbstractList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역사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사에 대한 역사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베트남에 대한 연구는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사 관련 현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에서는 『고려사』․『조선왕조실록』 등 조선시대 편년자료부터 개인의 문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검색을 통해서 중요한 사료를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제공되는 중국측 사료(명․청실록, 중국정사 외국전)도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외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의 전근대 역사자료를 소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베트남국립도서관에 소장된 고전적 중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되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소개하고, 그 세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베트남놈보존재단(Vietnamese Nôm Preserv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사료 중 史部로 분류된 자료를 분석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역사정보화의 경험을 살려 베트남에서 역사자료를 어떻게 구축한다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를 통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연구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refer to historical materials that are the basis of historical research being digitized and offered on the Internet. They have two major advantages of being digitized and being accessible at any places where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via the network, having huge impacts on historical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story of Vietnam has made progress to a certain degree, being active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2000s. It is, however, difficult to do research on the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since there is no easy access to its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and introduce the current state of Vietnamese history based on the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vailable in South Korea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the topic by introducing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history of Vietnam. There are variou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in South Korea from the chronological materials of Joseon including Goryeosa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one can find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search effort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China's historical materials(the annals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books on foreign states in the official history of China) available in South Korea. It also introduced oversea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and offered explanations about how to make use of them. Also introduced in the present study was a web site that converted classical images hous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Vietnam into digital ones and made them available on the Internet.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its detailed materials. It, in particular, analyzed and catalogued the historical materials classified as Sabu(史部) provided by the Vietnamese Nôm Preservation Foundation in the U.S.A.. Finally, it made proposals about how to establish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Vietnam based on the experiences with the informatization of history in South Korea. KCI Citation Count: 4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역사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사에 대한 역사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베트남에 대한 연구는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사 관련 현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에서는 『고려사』·『조선왕조실록』 등 조선시대 편년자료부터 개인의 문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검색을 통해서 중요한 사료를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제공되는 중국측 사료(명·청실록, 중국정사 외국전)도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외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의 전근대 역사자료를 소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베트남국립도서관에 소장된 고전적 중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되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소개하고, 그 세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베트남놈보존재단(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사료 중 史部로 분류된 자료를 분석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역사정보화의 경험을 살려 베트남에서 역사자료를 어떻게 구축한다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를 통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연구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refer to historical materials that are the basis of historical research being digitized and offered on the Internet. They have two major advantages of being digitized and being accessible at any places where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via the network, having huge impacts on historical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story of Vietnam has made progress to a certain degree, being active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2000s. It is, however, difficult to do research on the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since there is no easy access to its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and introduce the current state of Vietnamese history based on the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vailable in South Korea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the topic by introducing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history of Vietnam. There are variou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in South Korea from the chronological materials of Joseon including Goryeosa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one can find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search effort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China`s historical materials(the annals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books on foreign states in the official history of China) available in South Korea. It also introduced oversea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and offered explanations about how to make use of them. Also introduced in the present study was a web site that converted classical images hous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Vietnam into digital ones and made them available on the Internet.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its detailed materials. It, in particular, analyzed and catalogued the historical materials classified as Sabu(史部) provided by the 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 in the U.S.A.. Finally, it made proposals about how to establish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Vietnam based on the experiences with the informatization of history in South Korea.
Author Joo Sung-jee
주성지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주성지
– sequence: 2
  fullname: Joo Sung-j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3643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9Lw0AcQA-pYK1dXF2yOqTe3e8uyY2lVFspFCT7kUtSCdFWksktlOIgHToUtFKl4GAFBRHBDn6i5vod_FOnN7zH20aFbq8bIrRLcAU45-LAPW43KgAVtoGK1LKJ6TjMLqAioVSYnDl8C5XTNFIYC-oApU4R1fP32ep6kffnxvIjy2dzQ88Gy8-vfJgZ-Xisn7LVYGHom1fdf9EPo_xxqO9vDX01XL5N9SQzVpOpvnveQZsd7ywNy_8sIfew7tYaZqt91KxVW2bMGTGBkwCwUraluLId31GAmcLcDgQn1AtZQIH9GIuHjNo-96hv-dQSgfKF1WEESmh_ve0mHRn7kex50R9PezJOZPXEbUoCggD9bffWbRylqbxIonMvuZTAgQDD8A3ssGxN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35559/TJOH.33.4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베트남 관련 전근대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와 활용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EISSN 2671-8847
EndPage 13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391321
3531340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41-351d30bb76b5b78c8b304b057d9512ae4d2345b765e427c5a2c6c269dbc96f413
ISSN 1229-5485
IngestDate Sun Jul 27 03:10:59 EDT 2025
Wed Sep 03 04:04:21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41-351d30bb76b5b78c8b304b057d9512ae4d2345b765e427c5a2c6c269dbc96f413
Notes Institute of Humanities Kyunghee University
PageCount 5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391321
kiss_primary_353134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7-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17
  text: 2017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인문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인문학연구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name: 인문학연구원
SSID ssib009283228
ssib044739814
ssib001150071
ssib022231532
Score 1.6260043
Snippet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역사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사에 대한 역사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83
SubjectTerms Dai Nam thuc luc(大南寔錄)
Dai Viet su ky toan thu
DB of Historical Material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His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
기타인문학
대남실록전편(大南實錄前編)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디지털 역사자료
베트남 전근대사
베트남놈보존재단
사료
역사정보화
Title 베트남 관련 전근대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와 활용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3134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36431
Volume 3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인문학연구, 2017, 0(33), , pp.83-13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i9NAdKjrxYsoq7h-EcQ5la7JzCSTOTZNpC6sXirsLXSSdNFCu9TuxYOUZfEgPXhY0JVVCh5cQUFEcA_-oiYFf4JvJiENsgdXKOnrmzfvvZk3zLxX3rwgdLdHeY9LW6VVxaTBiNoH48hsRGYSCcftSaEr3mw-dNqP2caWvVWr_a5kLe2O5Xr0_NR7Jf9jVcCBXdUt2TNYtmQKCIDBvvAEC8Pzn2yMAw97BDdNHPjYbWLPVRgXMG4dB_CbqUQGQAGFRrUU5DLdxrHX0uQtIKorSDD1UURc9_MVqZf3Exw3fQUo7i2NCbDImVPFQ2F8LHJq19EokGJikbeJXIqvoALVxE1RdY4LHvkoQIgCgN5WXXIVgJ1iauNlxUitL9VjaWl9rXIEy-ygIWyQg-3G0ySp_sthlSl5xbrUzAn2fC3X1wMtJqiiiVZAmPUzqasxMMVm5RQgRDQglLOrxwSllX0-f_nO38cP-G62Kt_a2XjUXqd0nS0P2TL1kcKmR5l5Dp0nnOvEgs0XwdKBBf-86qAL9SapZYDIGKfC1QXrSx3zmrta9L1SMDgYEH88A4dpMOpVHKbOJXSxiHSMZr5sL6Naf7iKgvT7bPHqJN07NuY_Juns2Mhm-_Ofv9LpxEgPDrJPk8X-iZG9-Zrtfck-vE4_TrP3b43s5XT-7Sg7nBiLw6Ps3ecrqHM_6LTajeJNHo2-zSx1WySmppTckbbkbuRKajIJkUIM_j3pJiwmlEGLYyeM8MjuksiJiCNiCftFD9ysq2hlMBwk15BBE7MrIxeaOANf2oFwm8TctCNuScvqJmtoVQ083MlrtYTFdK-hOzARYT96Eqp66up7exj2RyFEjQ9CiIIsSqzrp_e9gS4sV-RNtDIe7Sa3wBMdy9vaeH8A2vZnp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2%A0%ED%8A%B8%EB%82%A8+%EA%B4%80%EB%A0%A8+%EC%A0%84%EA%B7%BC%EB%8C%80+%EB%94%94%EC%A7%80%ED%84%B8+%EC%97%AD%EC%82%AC%EC%9E%90%EB%A3%8C%EC%9D%98+%EC%86%8C%EA%B0%9C%EC%99%80+%ED%99%9C%EC%9A%A9&rft.jtitle=%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rft.au=%EC%A3%BC%EC%84%B1%EC%A7%80&rft.au=Joo+Sung-jee&rft.date=2017-06-30&rft.pub=%EA%B2%BD%ED%9D%AC%EB%8C%80%ED%95%99%EA%B5%90+%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229-5485&rft.volume=33&rft.spage=83&rft_id=info:doi/10.35559%2FTJOH.33.4&rft.externalDocID=353134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548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548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548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