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일본의 시민사회와 ‘독도’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등을 부정하며 정부 사이트 및 지자체 사이트 등에서도 독도를 자국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일본의 우익 세력들은 일제 시대의 여러 문제들과 더불어 독도 문제를 혐한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첫째, 독도 문제에 대한 민간 활동의 일본 정부의 예산 등의 실태 및 대응 방침을 살펴보고 검토. 둘째, 독도 문제에 대한 민간 차원의 활동 현황을 정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부와 민간인의 인식 변화 및 활동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향후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의 영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史叢(사총), 0(106) Vol. 106; pp. 155 - 178
Main Authors 오주영, Oh Ju Young, 박이진, Yi-jin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30.05.2022
역사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446
2671-583X
DOI10.16957/sa..106.202205.155

Cover

Abstract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등을 부정하며 정부 사이트 및 지자체 사이트 등에서도 독도를 자국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일본의 우익 세력들은 일제 시대의 여러 문제들과 더불어 독도 문제를 혐한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첫째, 독도 문제에 대한 민간 활동의 일본 정부의 예산 등의 실태 및 대응 방침을 살펴보고 검토. 둘째, 독도 문제에 대한 민간 차원의 활동 현황을 정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부와 민간인의 인식 변화 및 활동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향후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의 영토 관련 정책은 다르면서도 비슷하게 변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독도처럼 자국민의 왕래가 계속되고 있고, 정부의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는 영토에 관한 정책은 일본 내 민심 또는 일부 우익세력의 활동으로만 지지되고 있어 그 지속력 및 전파력이 정부의 입김과 무관할 수 없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나 K-CULTURE 가 전 세계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현재의 문화권 내에서는 정부의 정책과 민심은 그야 말로 같은 곳을 바라보기가 더욱 힘들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일본 내 젊은 층은 대다수가 독도를 자국의 땅으로 인지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한국과의 분쟁보다는 적극적인 교류활동을 통한 우호적 국가가 되기를 희망하는 분위기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지속되는 일본의 도발 속에 정부의 영토문제 관련 활동에 대한 개선 요청 및 학생 및 젊은 민간차원의 활동은 늘어나고 있고, 학생 및 일반인들의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우리는 관련국들의 정책 추이 및 그 근간에 대한 분석을 민간의 활동의 꾸준한 조사를 통해 계속해 나아가야 한다. As for the Dokdo issu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ites have also denied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claimed the islets as their own land, while right-wing forces in Japan are using the Dokdo issue as a tool for denunci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rst examine and review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Japanese government's budget an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Dokdo issue. Second, it is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level activities on the Dokdo issue. Through this, we intend to analyze the link between changes in perception and activiti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ians and examine future trends. Japan's territorial policy is changing differently and similarly. It was confirmed once again that the sustainability and propagation power of the government cannot be irrelevant to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 as the policies on the territory, which continue to flow like Dokdo in Korea, and the government's influence, are supported only by public sentiment or right-wing forces in Japan. In particular, in the current culture, where K-CULTURE is strong around the world,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public sentiment are becoming more difficult to see the same place. In fact, most young people in Japan do not even recognize Dokdo as their own land, and it is easy to find an atmosphere that hopes to become a friendly country through active exchange activities rather than disputes with Korea. Japan's continued provocations, the government's requests for improvement in territorial activities and activities at the student and young private levels are increasing, and students and the public are increasingly interested. We must continue to analyze the policy trends and fundamentals of the countries concerned through a steady investigation of private activities.
AbstractList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등을 부정하며 정부 사이트 및 지자체 사이트 등에서도 독도를 자국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일본의 우익 세력들은 일제 시대의 여러 문제들과 더불어 독도 문제를 혐한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첫째, 독도 문제에 대한 민간 활동의 일본 정부의 예산 등의 실태 및 대응 방침을 살펴보고 검토. 둘째, 독도 문제에 대한 민간 차원의 활동 현황을 정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부와 민간인의 인식 변화 및 활동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향후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의 영토 관련 정책은 다르면서도 비슷하게 변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독도처럼 자국민의 왕래가 계속되고 있고, 정부의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는 영토에 관한 정책은 일본 내 민심 또는 일부 우익세력의 활동으로만 지지되고 있어 그 지속력 및 전파력이 정부의 입김과 무관할 수 없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나 K-CULTURE 가 전 세계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현재의 문화권 내에서는 정부의 정책과 민심은 그야 말로 같은 곳을 바라보기가 더욱 힘들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일본 내 젊은 층은 대다수가 독도를 자국의 땅으로 인지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한국과의 분쟁보다는 적극적인 교류활동을 통한 우호적 국가가 되기를 희망하는 분위기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지속되는 일본의 도발 속에 정부의 영토문제 관련 활동에 대한 개선 요청 및 학생 및 젊은 민간차원의 활동은 늘어나고 있고, 학생 및 일반인들의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우리는 관련국들의 정책 추이 및 그 근간에 대한 분석을 민간의 활동의 꾸준한 조사를 통해 계속해 나아가야 한다. As for the Dokdo issu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ites have also denied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claimed the islets as their own land, while right-wing forces in Japan are using the Dokdo issue as a tool for denunci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rst examine and review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Japanese government's budget an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Dokdo issue. Second, it is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level activities on the Dokdo issue. Through this, we intend to analyze the link between changes in perception and activiti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ians and examine future trends. Japan's territorial policy is changing differently and similarly. It was confirmed once again that the sustainability and propagation power of the government cannot be irrelevant to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 as the policies on the territory, which continue to flow like Dokdo in Korea, and the government's influence, are supported only by public sentiment or right-wing forces in Japan. In particular, in the current culture, where K-CULTURE is strong around the world,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public sentiment are becoming more difficult to see the same place. In fact, most young people in Japan do not even recognize Dokdo as their own land, and it is easy to find an atmosphere that hopes to become a friendly country through active exchange activities rather than disputes with Korea. Japan's continued provocations, the government's requests for improvement in territorial activities and activities at the student and young private levels are increasing, and students and the public are increasingly interested. We must continue to analyze the policy trends and fundamentals of the countries concerned through a steady investigation of private activities.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등을 부정하며 정부 사이트 및 지자체 사이트 등에서도 독도를 자국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일본의 우익 세력들은 일제 시대의 여러 문제들과 더불어 독도 문제를 혐한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첫째, 독도 문제에 대한 민간 활동의 일본 정부의 예산 등의 실태 및 대응 방침을 살펴보고 검토. 둘째, 독도 문제에 대한 민간 차원의 활동 현황을 정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정부와 민간인의 인식 변화 및 활동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향후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의 영토 관련 정책은 다르면서도 비슷하게 변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독도처럼 자국민의 왕래가 계속되고 있고, 정부의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는 영토에 관한 정책은 일본 내 민심 또는 일부 우익세력의 활동으로만 지지되고 있어 그 지속력 및 전파력이 정부의 입김과 무관할 수 없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나 K-CULTURE 가 전 세계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현재의 문화권 내에서는 정부의 정책과 민심은 그야 말로 같은 곳을 바라보기가 더욱 힘들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일본 내 젊은 층은 대다수가 독도를 자국의 땅으로 인지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한국과의 분쟁보다는 적극적인 교류활동을 통한 우호적 국가가 되기를 희망하는 분위기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지속되는 일본의 도발 속에 정부의 영토문제 관련 활동에 대한 개선 요청 및 학생 및 젊은 민간차원의 활동은 늘어나고 있고, 학생 및 일반인들의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우리는 관련국들의 정책 추이 및 그 근간에 대한 분석을 민간의 활동의 꾸준한 조사를 통해 계속해 나아가야 한다. As for the Dokdo issu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ites have also denied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claimed the islets as their own land, while right-wing forces in Japan are using the Dokdo issue as a tool for denunci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rst examine and review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Japanese government's budget an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Dokdo issue. Second, it is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level activities on the Dokdo issue. Through this, we intend to analyze the link between changes in perception and activiti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ians and examine future trends. Japan's territorial policy is changing differently and similarly. It was confirmed once again that the sustainability and propagation power of the government cannot be irrelevant to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 as the policies on the territory, which continue to flow like Dokdo in Korea, and the government's influence, are supported only by public sentiment or right-wing forces in Japan. In particular, in the current culture, where K-CULTURE is strong around the world,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public sentiment are becoming more difficult to see the same place. In fact, most young people in Japan do not even recognize Dokdo as their own land, and it is easy to find an atmosphere that hopes to become a friendly country through active exchange activities rather than disputes with Korea. Japan's continued provocations, the government's requests for improvement in territorial activities and activities at the student and young private levels are increasing, and students and the public are increasingly interested. We must continue to analyze the policy trends and fundamentals of the countries concerned through a steady investigation of private activitie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오주영
Yi-jin Park
Oh Ju Young
박이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오주영
– sequence: 2
  fullname: Oh Ju Young
– sequence: 3
  fullname: 박이진
– sequence: 4
  fullname: Yi-jin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4640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L1Kw1AYQC9SwVr7BF26Cibe7_4l31iKP4WCIBncLjd_EqKJJJNbkDpZ6JqKfQPBwcWhT9M16TtYrNMZzuEck06WZxEhA6A2KJTOeWlsG6iyGWWMShukPCBdphywpMvvOqQLjKElhFBHpF-WiU8ZuAoVFV1ytq1nzbxqV-vm-6dd1cP27aP5Wrcvn9v3ebushpuqbhavzWK2qZYn5DA2D2XU_2ePeJcX3vjamt5cTcajqZVKARagE1I_RAFo4oArYXgYc0HBBeUaiIQxPhih_ChguPMQYqg4gkGmghAo75HT_TYrYp0Gic5N8sf7XKeFHt16E43oMk5h1w72bZqUpX4qkkdTPGuOkoKj-C9LpF6e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16957/sa..106.202205.155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현대일본의 시민사회와 ‘독도’
Modern Japanese Civil Society and “Dokdo”
EISSN 2671-583X
EndPage 17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982301
3950176
GroupedDBID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41-197d0bd9419afc364a3df34018168a1e4aab1a46bec29c361d9d6391a926cd103
ISSN 1229-4446
IngestDate Tue Nov 21 21:39:41 EST 2023
Sat Feb 15 02:11:18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41-197d0bd9419afc364a3df34018168a1e4aab1a46bec29c361d9d6391a926cd103
Notes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History
PageCount 2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982301
kiss_primary_395017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05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2-05-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22
  text: 202205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史叢(사총), 0(106)
PublicationTitleAlternate 사총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name: 역사연구소
SSID ssib021869604
ssib030194366
ssib044760111
ssib052471820
ssib007556300
ssib022230201
ssib010782664
Score 1.7951665
Snippet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등을 부정하며 정부 사이트 및 지자체 사이트 등에서도 독도를 자국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일본의 우익 세력들은 일제 시대의 여러 문제들과 더불어 독도 문제를 혐한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첫째, 독도 문제에 대한 민간...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55
SubjectTerms civic groups
Dokdo
Japanese government
Jukdo
NGOs
NPOs
Takeshima
territorial issues
다케시마
독도
시민단체
역사학
영토문제
일본 정부
죽도
Title 현대일본의 시민사회와 ‘독도’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95017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46403
Volume 10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史叢(사총), 2022, 0(106), , pp.155-17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b9MwFLfKuHBBoIEY_1QhfCopcewk9jFJU41Jg8uQxilKkxa6Si3q2gsHVKFxYtKuHWLfAIkDFw77AnyNXdt9B95z_jSwHYBLaj3bz35-0a8_x_YzIY9tmfSExbpGkojUEHbMDdmJUwNgEHcscivWC-3bz53Nl2Jr196t1X5Wdi1NJ51m8u7ScyX_41WQgV_xlOw_eLZUCgJIg3_hCR6G51_5mIYtqiSVgoY-lQHuWggDqlrUD1Dic-rLXKJkA1PSp0rneW1dCCQW9QKtyEMVWFqBokaxC0Jq3W0q7SIhiixVZbYVXQH1BbRZ-FLrlNQTmPB43i72u3T3izeNrWlDI8-qFhgAjdiFSVl1l8ryuM6rvrHXBwwvjhvlHy9g3ovr7mb5utHQw7HwTG24qXtSjlcLmwCTsQwkTD1MyqVe6zeLQAK9yQplEumAigqmW5YyhMi_dBagb1Zhm2Whgi_8nThKX4K8HzebUKFp6WPJzbz0H3G6ubIB3Zwr5KrlunrHwPb7sIQ2VwdiK6GRITOrBPbXN4NVwuQgawMiX0IvwLASfMW8hcC9TCtoti0kGToIaWluHmMLbXh60QKgIDBD2QdKNRz3KpRq5wa5ns-F6l72Yt8ktcFonTw5nx8sDmfLk9PF9x_Lk3l9-enL4tvp8sPX88-Hy-NZ_Ww2Xxx9XBwdnM2Ob5GddrgTbBr5lR7GwBbMYMpNzU6qBFNxL-GOiHna4wKDxjkyZl0Rxx0WCweAxVKQz1KVAoVmsbKcJGUmv03WhqNh9w6puxaHYYzdFAlxyhNpp11pdjFaEeMAPBtkHe2L3mZBW6LcPRvkEdgbDZJ-hIHV8ff1KBqMI5g-PouUwnVndvfyuvfItdU7fJ-sTcbT7gOgpJPOQ-3sX7P_Yqo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8%84%EB%8C%80%EC%9D%BC%EB%B3%B8%EC%9D%98+%EC%8B%9C%EB%AF%BC%EC%82%AC%ED%9A%8C%EC%99%80+%E2%80%98%EB%8F%85%EB%8F%84%E2%80%99&rft.jtitle=%EC%82%AC%EC%B4%9D&rft.au=%EC%98%A4%EC%A3%BC%EC%98%81&rft.au=Oh+Ju+Young&rft.au=%EB%B0%95%EC%9D%B4%EC%A7%84&rft.au=Yi-jin+Park&rft.date=2022-05-30&rft.pub=%EA%B3%A0%EB%A0%A4%EB%8C%80%ED%95%99%EA%B5%90+%EC%97%AD%EC%82%AC%EC%97%B0%EA%B5%AC%EC%86%8C&rft.issn=1229-4446&rft.volume=106&rft.spage=155&rft_id=info:doi/10.16957%2Fsa..106.202205.155&rft.externalDocID=395017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44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44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44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