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과 도덕 교육에 대한 일 연구

인간은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아는 유일한 동물이다. 이것은 인간에게 비극이 아니라 축복일 수 있다. 인간이 삶의 유한성을 인식하는 것은 지나간 삶을 성찰하고 남아있는 삶을 충실히 살아가려는 의지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죽음의 문제가 도덕 교육에서 중요한 주제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의 기초 하에, 죽음에 대한 여러 논의를 살펴보고 그 도덕 교육적 함의에 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죽음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동양에서는 유학, 불교, 도가 사상을 중심으로, 서양에서는 소크라테스, 그리스도교, 실존주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71) Vol. 71; pp. 199 - 223
Main Authors 이진희, Jin Hee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12.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71.200812.19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인간은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아는 유일한 동물이다. 이것은 인간에게 비극이 아니라 축복일 수 있다. 인간이 삶의 유한성을 인식하는 것은 지나간 삶을 성찰하고 남아있는 삶을 충실히 살아가려는 의지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죽음의 문제가 도덕 교육에서 중요한 주제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의 기초 하에, 죽음에 대한 여러 논의를 살펴보고 그 도덕 교육적 함의에 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죽음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동양에서는 유학, 불교, 도가 사상을 중심으로, 서양에서는 소크라테스, 그리스도교, 실존주의 철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미 죽음의 문제를 교육을 통해 다루고 있는 미국, 독일, 일본 등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죽음에 대한 동ㆍ서양의 다양한 논의와 외국의 죽음 교육을 통해 죽음의 문제가 도덕 교육에 주는 함의를 교육 목적, 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도덕 교육에서 ‘죽음’이라는 주제를 다룸으로써 도덕적 인간을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The human being is the only animal that knows about his death. It is not a tragedy, but a blessing. When man recognizes the limit of life, he considers and reflects on his life that has passed away, and then he has the willingness to live sincer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death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I reviewed the thoughts of death through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Christianity, Existentialism. Up to now, death has not been dealt with moral education in Korea. I investigated diverse aspects of death education from different countries to find the significance for Korean moral education. By exploring the role of death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I showed that it plays a positive role that will supplement the limit of previous moral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ideas of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The death viewpoints of Confucius, Chu-hee, Socrates, existentialists like Kierkegaard, Schopenhauer and Jasper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show that dealing with death in moral education contributes to foster a moral man. KCI Citation Count: 11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08.1.71.001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71.200812.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