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중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실린 동양윤리 관련 인물 분석

이 논문에서는 중등학교 국정 도덕 교과서 7권과 중학교 1학년 검정 도덕 교과서 7종에 실린 동양 윤리 관련 인물을 분석한다. 도덕 교과서 모두에 수록된 동양윤리 관련 인물들은 한국인 78명, 중국인 24명, 인도인 5명, 일본인 1명, 필리핀인 1명, 베트남인 1명, 중동인 1명이다. 도덕 교과서의 동양 윤리 관련 내용에는 유교 윤리, 불교 윤리, 도교 윤리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국정과 검정 도덕 교과서 전체에서 유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인용된 인물은, 이황과 이이를 비롯한 한국인 31,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중국인 18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79) Vol. 79; pp. 209 - 232
Main Authors 서규선, Kyu Seon S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12.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79.201012.209

Cover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중등학교 국정 도덕 교과서 7권과 중학교 1학년 검정 도덕 교과서 7종에 실린 동양 윤리 관련 인물을 분석한다. 도덕 교과서 모두에 수록된 동양윤리 관련 인물들은 한국인 78명, 중국인 24명, 인도인 5명, 일본인 1명, 필리핀인 1명, 베트남인 1명, 중동인 1명이다. 도덕 교과서의 동양 윤리 관련 내용에는 유교 윤리, 불교 윤리, 도교 윤리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국정과 검정 도덕 교과서 전체에서 유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인용된 인물은, 이황과 이이를 비롯한 한국인 31,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중국인 18명, 그밖에 인도인 1명이다. 불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된 인물은 한국인 8명을 비롯하여 석가모니와 혜능뿐이다. 도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된 인물은 노자와 장자이다. 전체적으로 도덕 교과서의 인물 수록은 불균형을 드러낸다. 유교 윤리의 서술에 있어서도 특정 학파의 인물들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덕 교과서는 수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양적인 측면에서도 편향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한국이 유교 국가임을 보여주는 동시에 문화적으로 폐쇄성이 높은 국가임을 보여준다. 도덕 교과서의 인물 선정에 있어서 "역사적 평가가 끝나지 않은 사람은 제외하라."는 원칙은 상당히 엄격한 기준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준은 도덕과 교육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이념적 편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배려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도덕 교과서의 동양 윤리 관련 인물들의 분포와 특성에서 드러났듯이 이미 기존의 국정 교과서들이 상당히 편향된 인물 선정의 문제를 안고 있으므로,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역사적 평가가 끝나기를 기다리기보다 서로 상반된 사상과 이념을 가진 인물들을 대비시키거나, 인물 개인이 아니라 사회 조직, 단체, 집단의 차원을 부각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넓은 의미로 볼 때 도덕 교과서도 도덕 교육의 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중의 하나이다. 도덕 교육에서 도덕적 모델로 작용하는 요소는 많다. 교과서의 인물들이 함께 생활하는 인물들보다 직접적인 영향력은 적을지 모르나 도덕과 교육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이념적 지역적 인종적 성적인 차별을 해소하는 일이 도덕과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라고 볼 때, 교과서에 수록하는 인물 선정의 원칙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향후 도덕 교과서의 동양윤리 관련 인물을 선정할 때는 균형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특정 사상이나 이념, 국가, 성별, 직종 등에 편중되지 않도록 유념하면서 인물 선정에 있어 균형을 이루어갈 때, 문화적 개방성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In this paper we analyze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rom current seven state moral subject textbooks and seven kinds of authorized moral subject textbooks.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rom all of the current moral subject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s, are 78 Korean, 24 Chinese, 5 Indian, 1 Japanese, 1 Filipino, 1 Vietnamese, 1 Middle Easter. The contents of oriental ethics in the moral subject textbooks are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so on. Figures involved in Confucianism in all of the state and authorized moral subject textbooks are 31 Korean, 18 Chinese, 1 Indian. Figures involved in Buddhism are 8 Korean, 1 Chinese, 1 Indian. Figures involved in Taoism are 2 Chinese. This show an imbalance in related figures. We can know from this fact that Korea is a kind of Confucian state and its culture relatively is not open. The principle "the people who has not evaluated historically must be excluded." seemed a overstrict standard. Although this standard prevent moral subject education from ideological bias, because the existing state moral subject textbooks has a problem of imbalance in selecting figures, that will be an obstacle to the recovery of balance. A solution is not waiting historical evaluation but selecting two conflicting figures who have directly-opposed ideas. Beyond that, we may stress not a person but a group, organization, etc. In a broad sense, moral subject textbooks are one of requisites for moral suvject education environment. There are many models in moral subject education. Though not important than people living around us, figures in moral subject textbooks also exert influence on students` moral development. When we accept that the settlement of discrimination is an aim of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future plans selecting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or the moral subject textbooks, we should keep in mind the balance among figures from all sorts of background. That balance will raise the degree of our cultural openness.
AbstractList 이 논문에서는 중등학교 국정 도덕 교과서 7권과 중학교 1학년 검정 도덕 교과서 7종에 실린 동양 윤리 관련 인물을 분석한다. 도덕 교과서 모두에 수록된 동양윤리 관련 인물들은 한국인 78명, 중국인 24명, 인도인 5명, 일본인 1명, 필리핀인 1명, 베트남인 1명, 중동인 1명이다. 도덕 교과서의 동양 윤리 관련 내용에는 유교 윤리, 불교 윤리, 도교 윤리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국정과 검정 도덕 교과서 전체에서 유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인용된 인물은, 이황과 이이를 비롯한 한국인 31,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중국인 18명, 그밖에 인도인 1명이다. 불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된 인물은 한국인 8명을 비롯하여 석가모니와 혜능뿐이다. 도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된 인물은 노자와 장자이다. 전체적으로 도덕 교과서의 인물 수록은 불균형을 드러낸다. 유교 윤리의 서술에 있어서도 특정 학파의 인물들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덕 교과서는 수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양적인 측면에서도 편향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한국이 유교 국가임을 보여주는 동시에 문화적으로 폐쇄성이 높은 국가임을 보여준다. 도덕 교과서의 인물 선정에 있어서 "역사적 평가가 끝나지 않은 사람은 제외하라."는 원칙은 상당히 엄격한 기준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준은 도덕과 교육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이념적 편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배려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도덕 교과서의 동양 윤리 관련 인물들의 분포와 특성에서 드러났듯이 이미 기존의 국정 교과서들이 상당히 편향된 인물 선정의 문제를 안고 있으므로,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역사적 평가가 끝나기를 기다리기보다 서로 상반된 사상과 이념을 가진 인물들을 대비시키거나, 인물 개인이 아니라 사회 조직, 단체, 집단의 차원을 부각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넓은 의미로 볼 때 도덕 교과서도 도덕 교육의 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중의 하나이다. 도덕 교육에서 도덕적 모델로 작용하는 요소는 많다. 교과서의 인물들이 함께 생활하는 인물들보다 직접적인 영향력은 적을지 모르나 도덕과 교육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이념적 지역적 인종적 성적인 차별을 해소하는 일이 도덕과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라고 볼 때, 교과서에 수록하는 인물 선정의 원칙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향후 도덕 교과서의 동양윤리 관련 인물을 선정할 때는 균형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특정 사상이나 이념, 국가, 성별, 직종 등에 편중되지 않도록 유념하면서 인물 선정에 있어 균형을 이루어갈 때, 문화적 개방성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In this paper we analyze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rom current seven state moral subject textbooks and seven kinds of authorized moral subject textbooks.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rom all of the current moral subject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s, are 78 Korean, 24 Chinese, 5 Indian, 1 Japanese, 1 Filipino, 1 Vietnamese, 1 Middle Easter. The contents of oriental ethics in the moral subject textbooks are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so on. Figures involved in Confucianism in all of the state and authorized moral subject textbooks are 31 Korean, 18 Chinese, 1 Indian. Figures involved in Buddhism are 8 Korean, 1 Chinese, 1 Indian. Figures involved in Taoism are 2 Chinese. This show an imbalance in related figures. We can know from this fact that Korea is a kind of Confucian state and its culture relatively is not open. The principle "the people who has not evaluated historically must be excluded." seemed a overstrict standard. Although this standard prevent moral subject education from ideological bias, because the existing state moral subject textbooks has a problem of imbalance in selecting figures, that will be an obstacle to the recovery of balance. A solution is not waiting historical evaluation but selecting two conflicting figures who have directly-opposed ideas. Beyond that, we may stress not a person but a group, organization, etc. In a broad sense, moral subject textbooks are one of requisites for moral suvject education environment. There are many models in moral subject education. Though not important than people living around us, figures in moral subject textbooks also exert influence on students` moral development. When we accept that the settlement of discrimination is an aim of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future plans selecting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or the moral subject textbooks, we should keep in mind the balance among figures from all sorts of background. That balance will raise the degree of our cultural openness.
이 논문에서는 중등학교 국정 도덕 교과서 7권과 중학교 1학년 검정 도덕 교과서 7종에 실린 동양 윤리 관련 인물을 분석한다. 도덕 교과서 모두에 수록된 동양 윤리 관련 인물들은 한국인 78명, 중국인 24명, 인도인 5명, 일본인 1명, 필리핀인 1명, 베트남인 1명, 중동인 1명이다. 도덕 교과서의 동양 윤리 관련 내용에는 유교 윤리, 불교 윤리, 도교 윤리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국정과 검정 도덕 교과서 전체에서 유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인용된 인물은, 이황과 이이를 비롯한 한국인 31,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중국인 18명, 그밖에 인도인 1명이다. 불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된 인물은 한국인 8명을 비롯하여 석가모니와 혜능뿐이다. 도교 윤리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된 인물은 노자와 장자이다. 전체적으로 도덕 교과서의 인물 수록은 불균형을 드러낸다. 유교 윤리의 서술에 있어서도 특정 학파의 인물들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덕 교과서는 수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양적인 측면에서도 편향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한국이 유교 국가임을 보여주는 동시에 문화적으로 폐쇄성이 높은 국가임을 보여준다. 도덕 교과서의 인물 선정에 있어서 “역사적 평가가 끝나지 않은 사람은 제외하라.”는 원칙은 상당히 엄격한 기준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준은 도덕과 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이념적 편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배려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도덕 교과서의 동양 윤리 관련 인물들의 분포와 특성에서 드러났듯이 이미 기존의 국정 교과서들이 상당히 편향된 인물 선정의 문제를 안고 있으므로,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역사적 평가가 끝나기를 기다리기보다 서로 상반된 사상과 이념을 가진 인물들을 대비시키거나, 인물 개인이 아니라 사회 조직, 단체, 집단의 차원을 부각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넓은 의미로 볼 때 도덕 교과서도 도덕 교육의 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중의 하나이다. 도덕 교육에서 도덕적 모델로 작용하는 요소는 많다. 교과서의 인물들이 함께 생활하는 인물들보다 직접적인 영향력은 적을지 모르나 도덕과 교육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이념적 지역적 인종적 성적인 차별을 해소하는 일이 도덕과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라고 볼 때, 교과서에 수록하는 인물 선정의 원칙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향후 도덕 교과서의 동양 윤리 관련 인물을 선정할 때는 균형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특정 사상이나 이념, 국가, 성별, 직종 등에 편중되지 않도록 유념하면서 인물 선정에 있어 균형을 이루어갈 때, 문화적 개방성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In this paper we analyze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rom current seven state moral subject textbooks and seven kinds of authorized moral subject textbooks.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rom all of the current moral subject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s, are 78 Korean, 24 Chinese, 5 Indian, 1 Japanese, 1 Filipino, 1 Vietnamese, 1 Middle Easter. The contents of oriental ethics in the moral subject textbooks are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so on. Figures involved in Confucianism in all of the state and authorized moral subject textbooks are 31 Korean, 18 Chinese, 1 Indian. Figures involved in Buddhism are 8 Korean, 1 Chinese, 1 Indian. Figures involved in Taoism are 2 Chinese. This show an imbalance in related figures. We can know from this fact that Korea is a kind of Confucian state and its culture relatively is not open. The principle "the people who has not evaluated historically must be excluded." seemed a overstrict standard. Although this standard prevent moral subject education from ideological bias, because the existing state moral subject textbooks has a problem of imbalance in selecting figures, that will be an obstacle to the recovery of balance. A solution is not waiting historical evaluation but selecting two conflicting figures who have directly-opposed ideas. Beyond that, we may stress not a person but a group, organization, etc. In a broad sense, moral subject textbooks are one of requisites for moral suvject education environment. There are many models in moral subject education. Though not important than people living around us, figures in moral subject textbooks also exert influence on students' moral development. When we accept that the settlement of discrimination is an aim of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future plans selecting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or the moral subject textbooks, we should keep in mind the balance among figures from all sorts of background. That balance will raise the degree of our cultural openness. KCI Citation Count: 2
Author Kyu Seon Seo
서규선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서규선
– sequence: 2
  fullname: Kyu Seon Se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0571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1jE1LAkEcxocwyMxP4GWPXXab_7y4O0eRXgShCO_LqDuxbWnsnrp12EtEpISWoNBBooOHohc6-Imc8Tu0ZJ1-v4fn4dlEuU63EyBUAuwA9zDsnAYOOK5wCAYMJINYQ3kiPGJzSlnu34HABiomSdjEHLBXdjnLo6PlY7ocXltm2tf3b8vBaPHZs_Rdqm8HVqaL97lJx-ahZ5mbqX5-zaqRGfbNOAsza_FxpZ9eLDP51rO5pb9Sk0620LqSZ0lQ_GMBNfZ2G9UDu364X6tW6nbEqbBZG4uyFAqzAAsOTcKky5UCzGVbBJIRGrSUwC3gQF1V5m2AJlfMBcxcjypMC2h7dduJlR-1Qr8rw1-edP0o9ivHjZovMOdCZNPSahqFSeJfxOG5jC994nmcuZT-ACo0dMM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15801/je.1.79.201012.209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현행 중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실린 동양윤리 관련 인물 분석
An Analysis of Figures involved in Oriental Ethics from Current Moral Subject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s in Korea
EISSN 2982-5334
EndPage 23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05599
2885473
GroupedDBID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39-4d096a9f04e0951b24a75ff105ad9ea423ecf90c15137f65d11b5f47104783f03
ISSN 2982-5121
IngestDate Tue Nov 21 21:46:48 EST 2023
Thu Jan 09 02:14:03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9-4d096a9f04e0951b24a75ff105ad9ea423ecf90c15137f65d11b5f47104783f03
Notes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10.1.79.003
PageCount 2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05599
kiss_primary_288547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012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0-12-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0
  text: 201012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윤리연구, 1(79)
PublicationTitleAlternate 倫理硏究
PublicationYear 2010
Publisher 한국윤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윤리학회
SSID ssib051086754
ssib051086568
Score 1.4494345
Snippet 이 논문에서는 중등학교 국정 도덕 교과서 7권과 중학교 1학년 검정 도덕 교과서 7종에 실린 동양 윤리 관련 인물을 분석한다. 도덕 교과서 모두에 수록된 동양윤리 관련 인물들은 한국인 78명, 중국인 24명, 인도인 5명, 일본인 1명, 필리핀인 1명, 베트남인 1명, 중동인...
이 논문에서는 중등학교 국정 도덕 교과서 7권과 중학교 1학년 검정 도덕 교과서 7종에 실린 동양 윤리 관련 인물을 분석한다. 도덕 교과서 모두에 수록된 동양 윤리 관련 인물들은 한국인 78명, 중국인 24명, 인도인 5명, 일본인 1명, 필리핀인 1명, 베트남인 1명, 중동인...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09
SubjectTerms figure
Korea ethics
oriental ethics
the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the moral textbook
도덕 교과서
도덕과 교육과정
동양 윤리
인물
학제간연구
한국 윤리
Title 현행 중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실린 동양윤리 관련 인물 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88547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05710
Volume 7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윤리연구, 2010, 1(79), , pp.209-23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GjrxYsotVi_iOCcyq6T75ljkk2pQsXDCr2FzZfIQlfW7cWDeNiLiNgirRZa8FDEQw-KH3joL9pk_4PvTbLZ6FaoXsLLm5k3b-ZNZt6bvHlDyO0kCg3NNuNGpIZ6w7CYgE_K1BtqmGpRgtFK5Ibb-n1r7aFxb8PcmJtfqnktbQ3CZvTs1HMl_yNVwIFc8ZTsP0i2IgoIgEG-8AQJw_NMMqZ-iwpOuSEBi3Kw8H2POgYVKvVdKnTqqjLNpEJQ36EuAGwF0_iqLAcAJq9UiRKAch5SghxCAsIuygHKRfpQzrGoW5FC6h6ygBV7WKjK5HgFcQOdKhDFqMMlKdGiLpcoD-qTpFxLclXU3KprzrNkS75cVvIOGBgvMDNzW9Q2OGrtgGx22SDAOKy-5VG4j5R_b3CQTvrNm5BvncZC1bcAOJR704lVE2BVgKJTjOmkhtPLjdVyMmeiphdoxT7szJJj8uKug6SpNm0hnQVVPOEnpivsxKvgj4X3txDf3ehx8KgXdPsBGDJ3A8EwFNw8OafZtnQ_WH_uT-ZJE2_HMqdmony35YV_VdPKAFvI3J1Z1kD_APPkKehTm_20pk-1L5ILpSGkOMWovkTmur1F8mD8fjjee6nkRzvZ2y_j3f3R920lezPMXu8qAI6-nuTDg_zdtpK_Oso-foak_XxvJz-Al2Nl9O1F9uGTkh_-zI5PlOzHMB8eXibtVb_trTXKOz8aXRN9EmIwqTsiZUaCun-oGR3bTFMwAjqxSDqg-ydRKlgEeqpup5YZq2popqBgYZApPWX6ElnY7G0mV4jCwlhT41iAxZEYUchDFnIVo1uqPDFER1smi9gHwZMiqkugcY73cC-TW9AnUhx_FcvVM-S5Rs5Ph-51sjDobyU3QH8dhDelMH8BIs98X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8%84%ED%96%89+%EC%A4%91%EB%93%B1%ED%95%99%EA%B5%90+%EB%8F%84%EB%8D%95+%EA%B5%90%EA%B3%BC%EC%84%9C%EC%97%90+%EC%8B%A4%EB%A6%B0+%EB%8F%99%EC%96%91%EC%9C%A4%EB%A6%AC+%EA%B4%80%EB%A0%A8+%EC%9D%B8%EB%AC%BC+%EB%B6%84%EC%84%9D&rft.jtitle=%EC%9C%A4%EB%A6%AC%EC%97%B0%EA%B5%AC%2C+1%2879%29&rft.au=%EC%84%9C%EA%B7%9C%EC%84%A0&rft.date=2010-12-30&rft.pub=%ED%95%9C%EA%B5%AD%EC%9C%A4%EB%A6%AC%ED%95%99%ED%9A%8C&rft.issn=2982-5121&rft.eissn=2982-5334&rft.spage=209&rft.epage=232&rft_id=info:doi/10.15801%2Fje.1.79.201012.20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0559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982-5121&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982-5121&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982-5121&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