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서번트 리더십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과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양적조사와 질적조사를 병행하였다. 양적조사에서는 연령, 성, 학업성취, 가정경제, 교육이수 과정유형에 따른 청소년리더십 수준을 검증하였고, 질적 조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의 필요성과 서번트 리더의 자질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중고등학생 80명을 눈덩이 표집하여, 서번트 리더십 인식에 대한 자기보고서를 수집하고, 서울과 충남지역의 인문일반계 및 산업정보계 고등학생 900명을 유의 표집하여, 최남례(2005)의 ‘서번트...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6; no. 4; pp. 319 - 34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놀이치료학회
30.11.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0858 2384-0153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과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양적조사와 질적조사를 병행하였다. 양적조사에서는 연령, 성, 학업성취, 가정경제, 교육이수 과정유형에 따른 청소년리더십 수준을 검증하였고, 질적 조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의 필요성과 서번트 리더의 자질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중고등학생 80명을 눈덩이 표집하여, 서번트 리더십 인식에 대한 자기보고서를 수집하고, 서울과 충남지역의 인문일반계 및 산업정보계 고등학생 900명을 유의 표집하여, 최남례(2005)의 ‘서번트 리더십 척도’를 바탕으로 인성희(2006)가 청소년에 맞게 수정 보완한 ‘청소년 서번트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여 서번트 리더십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ANOVA, ANOVA 및 내용분석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서번트 리더십이 리더에게 필요하고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고, 서번트 리더의 자질에 대해서도 올바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서번트 리더십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산업정보계 고등학생들이 인문일반계 고등학생들보다 평균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전반적 서번트 리더십은 교육과정이수유형과 가정경제 및 학업성취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서번트 리더십 하위영역별로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도 일부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리고,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서번트 리더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기초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dolescents` servant leadership level and their perceptions in regards to servant leadership. For this purpos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ere applied. In the quantitative phase of the research, 900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general academic high schools and polytechnic high schools in Seoul and Chungcheongnam-do and surveyed using the ‘Youth Servant Leadership Questionnai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material from Ihn(2006) based on the ‘Servant Leadership Scale’ developed by Choi(2005). In addition, 80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phase, using the snowballing sampling method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san and their self-reports were collected.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t-test, content-analysis, MANOVA,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phase, mo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servant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 Most of them think that a servant leadership is a necessary characteristic for class leaders. 2. The overall servant leadership level of adolescents, was mostly high. Additionally, the mean of polytechnic high school students` servant leadership was higher than the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3. No difference of adolescents` servant leadership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home economic status was found in general,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cademic achievement, and type of high school curriculum. 4. There ar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type of high school curriculum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also between the type of high school and home economic stat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rves as a useful collection of preliminary data, helping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servant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by contributing to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levels and perceptions of servant leadership.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3.16.4.007 |
ISSN: | 1229-0858 2384-01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