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 복용 후 발생한 독성 간염 28예의 임상적 특징

목적: 이 연구에서는 백선에 의한 급성 간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경과 및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백선에 의한 독성간염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RUCAM 점수가 6점 이상이었다. 대상 환자에 대하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A형, B형, C형 간염에 대한 표지자 검사를 시행하였다. 임상경과에 따라서 CMV, EBV항체를 조사하였으며, 추가로 자가면역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핵항체, 항미토콘드리아 항체, 항평활근 항체를 검사하였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78; no. 4; pp. 457 - 465
Main Authors 정재훈, Jae Hoon Jung, 김석현, Seok Hyun Kim, 고광훈, Kwang Hun Ko, 정경혜, Kyoung Hye Jung, 황세웅, Se Woong Hwang, 고평곤, Pyong Gohn Goh, 박남환, Nam Hwan Park, 남관우, Gwan Woo Nam, 김정일, Jeong Il Kim, 문희석, Hee Seok Moon, 이엄석, Eaum S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04.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9364
2289-0769

Cover

Abstract 목적: 이 연구에서는 백선에 의한 급성 간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경과 및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백선에 의한 독성간염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RUCAM 점수가 6점 이상이었다. 대상 환자에 대하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A형, B형, C형 간염에 대한 표지자 검사를 시행하였다. 임상경과에 따라서 CMV, EBV항체를 조사하였으며, 추가로 자가면역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핵항체, 항미토콘드리아 항체, 항평활근 항체를 검사하였고, 양성인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평균나이는 53.0±11.0세였다. 남녀 비는 10:18이었고, 체질량 지수(BMI)는 23.4±2.7이었다. 내원 시의 주증상은 황달이 19예, 피로감 16예, 오심 12예, 식욕부진 12예, 복통 7예였고, 백선의 평균 복용기간은 24일이었다. 검사실 소견으로는 백혈구 6,673±1,769/mm3, 혈색소 13.6±1.78g/dL, 혈소판 2.12±0.69 (>10(6)/mm3), AST 928±645 IU/L, ALT 1,270±694IU/L, ALP 163±37 IU/L, gamma-GT 198±157 IU/L, 총 빌리루빈 11.3±8.3 mg/dL, prothrombin time은 1.0±0.2 (INR)이었다. 평균 RUCAM 점수는 7.0±0.8이었다. 간손상의 유형은 간세포형이 23예(82%), 혼합형이 5예(18%)였다. 영상의학적으로 비특이적 소견은 8예(29%)였으며 림프절병증(lymphadenopathy)은 14예(50%), 담낭 벽의 부종은 13예(46%), 문맥주위부종(periportal edema)은 12예(43%), 비장비대는 3예(11%), 지방 침착은 3예(11%), 복수는 2예(7%)였다. 입원기간은 21.6±11.6일이었다. 내원 당시에 총 빌리루빈이 25mg/dL 이상인 심한 황달을 동반한 6명의 환자에게 prednisolone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환자들은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최고 혈중 AST는 936±648 IU/L, ALT 1,318±737 IU/L, 총 빌리루빈은 15.2±10.6 mg/dL이었다. 회복기간은 56.6±30.4일로 혈청생화학적으로 회복되는 기간은 AST (<40 IU/L) 50±28.7일, ALT (<40 IU/L) 37±14.1일, 총 빌리루빈(<1.5 mg/dL)은 42±34.3일이었다. 총 빌리루빈의 정상화율은 4주에 28.5%, 6주에 50%, 8주에 78.5%였다. 모든 환자가 보존적인 치료를 통하여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간효소 수치와 황달 수치는 호전되었다. 내원 당시에 심한 황달(총 빌리루빈> 35 mg/dL)이 있어 간조직 검사를 받은 4명 중에 1명은 입원기간 중에 지속적으로 혈색소가 낮아져서(최저치, 5.3 mg/dL), 골수 검사를 시행하였다. 골수 검사에서 순수 적혈구 무형성(pure red cell aplasia)으로 진단되었고,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사용 외에 별다른 특별한 치료 없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결론: 저자들이 경험한 백선에 의한 독성 간염의 임상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고, 대부분은 내인성 간독성으로 간세포형이 많았다. 모든 환자가 보존적인 치료 또는 스테로이드의 사용 후 완전히 호전되었으며 1예에서 순수 적혈구 무형성증(pure red cell aplasia)이 동반되었으나 특별한 치료 없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acutely toxic hepatitis associated with ingesting Dictamnus dasycarpus (D. dasycarpus).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July 2009, 2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Acutely toxic hepatitis associated with D. dasycarpus was diagnosed by a Roussel Uclaf Causality Assessment Method Values (RUCAM) score of 6 or above. All patients were tested for viral hepatitis A, B, C, cytomegalovirus, and Epstein-Barr virus. Other tests included anti-nuclear antibody, anti-mitochondrial antibody, and anti-smooth muscle antibody. Abdominal pelvic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Results: The incidence was female predominant (64% vs. 36%). The mean patient age was 53.0±11 years. The symptoms were jaundice (68%), fatigue (57%), nausea (43%), anorexia (43%), and abdominal pain (24%). The mean RUCAM score was 7.0±0.8. The biochemical patterns of hepatotoxicity were hepatocellular (n=23, 82%) and mixed types (n=5, 18%). Radiologic findings were as follows: normal findings (29%), lymphadenopathy (50%), edema of the gall bladder wall (46%), periportal edema (43%), splenomegaly (11%), fatty liver (11%), and ascites (7%). The mean hospitalization period was 21.6±11.6 days. The mean duration of recovery from hepatitis was 56.6±30.4 days, and all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from the toxic hepatitis. One patient who had severe jaundice developed a complication of pure red cell aplasia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 Conclusions: The biochemical pattern of liver injury was hepatocellular predominant. Although the initial manifestations and clinical course were variable, all patients completely recovered with supportive care or steroid treatment. Toxic hepatitis was accompanied by pure red cell aplasia in one patient. (Korean J Med 78:457-465, 2010)
AbstractList 목적: 이 연구에서는 백선에 의한 급성 간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경과 및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백선에 의한 독성 간염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RUCAM 점수가 6점 이상이었다. 대상 환자에 대하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A형, B형, C형 간염에 대한 표지자 검사를 시행하였다. 임상경과에 따라서 CMV, EBV항체를 조사하였으며, 추가로 자가면역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핵항체, 항미토콘드리아 항체, 항평활근 항체를 검사하였고, 양성인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평균나이는 53.0±11.0세였다. 남녀 비는 10:18이었고, 체질량 지수(BMI)는 23.4±2.7이었다. 내원 시의 주증상은 황달이 19예, 피로감 16예, 오심 12예, 식욕부진 12예, 복통 7예였고, 백선의 평균 복용기간은 24일이었다. 검사실 소견으로는 백혈구 6,673±1,769/mm3, 혈색소 13.6±1.78 g/dL, 혈소판 2.12±0.69 (>106/mm3), AST 928±645 IU/L, ALT 1,270±694 IU/L, ALP 163±37 IU/L, gamma-GT 198±157 IU/L, 총 빌리루빈 11.3±8.3 mg/dL, prothrombin time은 1.0±0.2 (INR)이었다. 평균 RUCAM 점수는 7.0±0.8이었다. 간손상의 유형은 간세포형이 23예(82%), 혼합형이 5예(18%)였다. 영상의학적으로 비특이적 소견은 8예(29%)였으며 림프절병증(lymphadenopathy)은 14예(50%), 담낭 벽의 부종은 13예(46%), 문맥주위 부종(periportal edema)은 12예(43%), 비장비대는 3예(11%), 지방 침착은 3예(11%), 복수는 2예(7%)였다. 입원기간은 21.6± 11.6일이었다. 내원 당시에 총 빌리루빈이 25 mg/dL 이상인 심한 황달을 동반한 6명의 환자에게 prednisolone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환자들은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최고 혈중 AST는 936±648 IU/L, ALT 1,318±737 IU/L, 총 빌리루빈은 15.2±10.6 mg/dL이었다. 회복기간은 56.6±30.4일로 혈청생화학적으로 회복되는 기간은 AST (<40 IU/L) 50±28.7일, ALT (<40 IU/L) 37±14.1일, 총 빌리루빈(<1.5 mg/dL)은 42±34.3일이었다. 총 빌리루빈의 정상화율은 4주에 28.5%, 6주에 50%, 8주에 78.5%였다. 모든 환자가 보존적인 치료를 통하여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간효소 수치와 황달 수치는 호전되었다. 내원 당시에 심한 황달(총 빌리루빈> 35 mg/dL)이 있어 간조직 검사를 받은 4명 중에 1명은 입원기간 중에 지속적으로 혈색소가 낮아져서(최저치, 5.3 mg/dL), 골수 검사를 시행하였다. 골수 검사에서 순수 적혈구 무형성(pure red cell aplasia)으로 진단되었고,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사용 외에 별다른 특별한 치료 없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결론: 저자들이 경험한 백선에 의한 독성 간염의 임상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고, 대부분은 내인성 간독성으로 간세포형이 많았다. 모든 환자가 보존적인 치료 또는 스테로이드의 사용 후 완전히 호전되었으며 1예에서 순수 적혈구 무형성증(pure red cell aplasia)이 동반되었으나 특별한 치료 없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acutely toxic hepatitis associated with ingesting Dictamnus dasycarpus (D. dasycarpus).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July 2009, 2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Acutely toxic hepatitis associated with D. dasycarpus was diagnosed by a Roussel Uclaf Causality Assessment Method Values (RUCAM) score of 6 or above. All patients were tested for viral hepatitis A, B, C, cytomegalovirus, and Epstein-Barr virus. Other tests included anti-nuclear antibody, anti-mitochondrial antibody, and anti-smooth muscle antibody. Abdominal pelvic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Results: The incidence was female predominant (64% vs. 36%). The mean patient age was 53.0±11 years. The symptoms were jaundice (68%), fatigue (57%), nausea (43%), anorexia (43%), and abdominal pain (24%). The mean RUCAM score was 7.0±0.8. The biochemical patterns of hepatotoxicity were hepatocellular (n=23, 82%) and mixed types (n=5, 18%). Radiologic findings were as follows: normal findings (29%), lymphadenopathy (50%), edema of the gall bladder wall (46%), periportal edema (43%), splenomegaly (11%), fatty liver (11%), and ascites (7%). The mean hospitalization period was 21.6±11.6 days. The mean duration of recovery from hepatitis was 56.6±30.4 days, and all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from the toxic hepatitis. One patient who had severe jaundice developed a complication of pure red cell aplasia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 Conclusions: The biochemical pattern of liver injury was hepatocellular predominant. Although the initial manifestations and clinical course were variable, all patients completely recovered with supportive care or steroid treatment. Toxic hepatitis was accompanied by pure red cell aplasia in one patient. KCI Citation Count: 4
목적: 이 연구에서는 백선에 의한 급성 간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경과 및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백선에 의한 독성간염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RUCAM 점수가 6점 이상이었다. 대상 환자에 대하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A형, B형, C형 간염에 대한 표지자 검사를 시행하였다. 임상경과에 따라서 CMV, EBV항체를 조사하였으며, 추가로 자가면역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핵항체, 항미토콘드리아 항체, 항평활근 항체를 검사하였고, 양성인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평균나이는 53.0±11.0세였다. 남녀 비는 10:18이었고, 체질량 지수(BMI)는 23.4±2.7이었다. 내원 시의 주증상은 황달이 19예, 피로감 16예, 오심 12예, 식욕부진 12예, 복통 7예였고, 백선의 평균 복용기간은 24일이었다. 검사실 소견으로는 백혈구 6,673±1,769/mm3, 혈색소 13.6±1.78g/dL, 혈소판 2.12±0.69 (>10(6)/mm3), AST 928±645 IU/L, ALT 1,270±694IU/L, ALP 163±37 IU/L, gamma-GT 198±157 IU/L, 총 빌리루빈 11.3±8.3 mg/dL, prothrombin time은 1.0±0.2 (INR)이었다. 평균 RUCAM 점수는 7.0±0.8이었다. 간손상의 유형은 간세포형이 23예(82%), 혼합형이 5예(18%)였다. 영상의학적으로 비특이적 소견은 8예(29%)였으며 림프절병증(lymphadenopathy)은 14예(50%), 담낭 벽의 부종은 13예(46%), 문맥주위부종(periportal edema)은 12예(43%), 비장비대는 3예(11%), 지방 침착은 3예(11%), 복수는 2예(7%)였다. 입원기간은 21.6±11.6일이었다. 내원 당시에 총 빌리루빈이 25mg/dL 이상인 심한 황달을 동반한 6명의 환자에게 prednisolone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환자들은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최고 혈중 AST는 936±648 IU/L, ALT 1,318±737 IU/L, 총 빌리루빈은 15.2±10.6 mg/dL이었다. 회복기간은 56.6±30.4일로 혈청생화학적으로 회복되는 기간은 AST (<40 IU/L) 50±28.7일, ALT (<40 IU/L) 37±14.1일, 총 빌리루빈(<1.5 mg/dL)은 42±34.3일이었다. 총 빌리루빈의 정상화율은 4주에 28.5%, 6주에 50%, 8주에 78.5%였다. 모든 환자가 보존적인 치료를 통하여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간효소 수치와 황달 수치는 호전되었다. 내원 당시에 심한 황달(총 빌리루빈> 35 mg/dL)이 있어 간조직 검사를 받은 4명 중에 1명은 입원기간 중에 지속적으로 혈색소가 낮아져서(최저치, 5.3 mg/dL), 골수 검사를 시행하였다. 골수 검사에서 순수 적혈구 무형성(pure red cell aplasia)으로 진단되었고,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사용 외에 별다른 특별한 치료 없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결론: 저자들이 경험한 백선에 의한 독성 간염의 임상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고, 대부분은 내인성 간독성으로 간세포형이 많았다. 모든 환자가 보존적인 치료 또는 스테로이드의 사용 후 완전히 호전되었으며 1예에서 순수 적혈구 무형성증(pure red cell aplasia)이 동반되었으나 특별한 치료 없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acutely toxic hepatitis associated with ingesting Dictamnus dasycarpus (D. dasycarpus).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July 2009, 2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Acutely toxic hepatitis associated with D. dasycarpus was diagnosed by a Roussel Uclaf Causality Assessment Method Values (RUCAM) score of 6 or above. All patients were tested for viral hepatitis A, B, C, cytomegalovirus, and Epstein-Barr virus. Other tests included anti-nuclear antibody, anti-mitochondrial antibody, and anti-smooth muscle antibody. Abdominal pelvic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Results: The incidence was female predominant (64% vs. 36%). The mean patient age was 53.0±11 years. The symptoms were jaundice (68%), fatigue (57%), nausea (43%), anorexia (43%), and abdominal pain (24%). The mean RUCAM score was 7.0±0.8. The biochemical patterns of hepatotoxicity were hepatocellular (n=23, 82%) and mixed types (n=5, 18%). Radiologic findings were as follows: normal findings (29%), lymphadenopathy (50%), edema of the gall bladder wall (46%), periportal edema (43%), splenomegaly (11%), fatty liver (11%), and ascites (7%). The mean hospitalization period was 21.6±11.6 days. The mean duration of recovery from hepatitis was 56.6±30.4 days, and all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from the toxic hepatitis. One patient who had severe jaundice developed a complication of pure red cell aplasia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 Conclusions: The biochemical pattern of liver injury was hepatocellular predominant. Although the initial manifestations and clinical course were variable, all patients completely recovered with supportive care or steroid treatment. Toxic hepatitis was accompanied by pure red cell aplasia in one patient. (Korean J Med 78:457-465, 2010)
Author 김정일
김석현
Kyoung Hye Jung
Jeong Il Kim
Kwang Hun Ko
Jae Hoon Jung
Nam Hwan Park
Gwan Woo Nam
이엄석
고광훈
Hee Seok Moon
황세웅
Seok Hyun Kim
정경혜
Pyong Gohn Goh
문희석
남관우
Eaum Seo
고평곤
정재훈
Se Woong Hwang
박남환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재훈
– sequence: 2
  fullname: Jae Hoon Jung
– sequence: 3
  fullname: 김석현
– sequence: 4
  fullname: Seok Hyun Kim
– sequence: 5
  fullname: 고광훈
– sequence: 6
  fullname: Kwang Hun Ko
– sequence: 7
  fullname: 정경혜
– sequence: 8
  fullname: Kyoung Hye Jung
– sequence: 9
  fullname: 황세웅
– sequence: 10
  fullname: Se Woong Hwang
– sequence: 11
  fullname: 고평곤
– sequence: 12
  fullname: Pyong Gohn Goh
– sequence: 13
  fullname: 박남환
– sequence: 14
  fullname: Nam Hwan Park
– sequence: 15
  fullname: 남관우
– sequence: 16
  fullname: Gwan Woo Nam
– sequence: 17
  fullname: 김정일
– sequence: 18
  fullname: Jeong Il Kim
– sequence: 19
  fullname: 문희석
– sequence: 20
  fullname: Hee Seok Moon
– sequence: 21
  fullname: 이엄석
– sequence: 22
  fullname: Eaum Se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3524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z1Lw0AAhg-pYKz9BS43ugRyn7kbS_CjUBAk-5HEi4RoIsnkWBpBXJyKpbbSTdxSxEHwF5nLfzBYp4cXXt6PfdDL8kzvAAtjIW3H5bIHLOQSYUvC6R4YlGUSOsRBklLMLeA19cZUa9h8fJrFO2xfKtjUSzNdtbMlbJ7uTbWBP3Vlnr8hFmb-YFZzaF4rM52Y9QS2j1_mbXYAduPgutSDf_aBf3Lse2f2-Px05A3Hdsq6fiGoZpey2yUiQjWRjHEHOQw7yNVhEArKuEvDKECaswATFkUMa0YwQ1GnYtIHR9vYrIhVGiUqD5I_XuUqLdTwwh8pF3XfRGc93FrTpCzVbZHcBMWdwoIgSRD5BSQSY7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백선 복용 후 발생한 독성 간염 28예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features of 28 acutely toxic hepatitis patients who ingested Dictamnus dasycarpus: A single center clinical experience
EISSN 2289-0769
EndPage 46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710308
2831931
GroupedDBID 5-W
8JR
8XY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EF.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38-884e5d92288c34e3955601052017ebab845674bca1e65a235cc52e53251c235f3
ISSN 1738-9364
IngestDate Tue Nov 21 21:20:08 EST 2023
Tue May 13 02:11:24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4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8-884e5d92288c34e3955601052017ebab845674bca1e65a235cc52e53251c235f3
Notes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0.78.4.002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710308
kiss_primary_283193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00401
2010-04
PublicationDateYYYYMMDD 2010-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10
  text: 20100401
  day: 0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PublicationTitleAlternate 대한내과학회지 (Korean J Med)
PublicationYear 2010
Publisher 대한내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내과학회
SSID ssib030194426
ssib044750981
ssj0000314786
ssib051086639
Score 1.7210389
Snippet 목적: 이 연구에서는 백선에 의한 급성 간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경과 및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백선에 의한 독성간염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RUCAM 점수가 6점 이상이었다. 대상 환자에...
목적: 이 연구에서는 백선에 의한 급성 간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경과 및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백선에 의한 독성 간염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RUCAM 점수가 6점 이상이었다. 대상 환자에...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457
SubjectTerms Dictamnus dasycarpus
Pure red cell aplasia
Toxic hepatitis
급성 간염
내과학
백선
순수적혈구 무형성증
Title 백선 복용 후 발생한 독성 간염 28예의 임상적 특징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83193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35242
Volume 7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내과학회지, 2010, 78(4), 596, pp.457-46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b9MwFLfWnbggxkAMBgoSPlWZmthO7GOSZRqgcSrSblGTJghVaqfSXTggTSsS4sJpYoIN7Ya4dUIckPhE1P0OPDtO_0xDGlwi5_nlPdvPsn-24_cQekT8og0ooWEDmi5smpG2LdK2Z7cAahd57qaOq-477zzztp_TJ7tsd6l2c-6vpf1BupG9vvReyf9YFWhgV3VL9h8sOxUKBEiDfeEJFobnlWyM4xCHDRw6OI4wpzho1DWJ4JApkghwAIv-eBOLEPLrhl9Emp9gsanzGFB0Ht_CnBlZoQOkQLHDi5Ll4zCqu1ynOeZlAr7mdZ2KDR-I5bo8AXzpaOUcxAhN8nEZ67KCw6qTPu31q9MAg4wvnvcbaYIZRUFUVYnPWLQO3jClNzWDctIFFqIEqQSwOJdImSoCFheHlRQRze-OqIN9Or87otsu0tpNc2qKq9SUWsOoyhI6EQD_3Hzgq_mAlI7WN3JNc131l5lfRpgx4z4tvWwbCEHL8BeL3r0vzLoL_r072cvkRS_p9BNYxTxOfBX7jddQjThq6N55E1dDJAzHgtIZYlbuGhtidnWYqcBZnnH0qsEIcaiv451OqwLgA9YmrwBMdfvFHJhq3kDXzSrICsouvYKWOr1VFI1H53J4Zo2__5CfvlmTz0NrPDqRh6eToxNr_OGtHJ5bv0dD-fGX5XJ5_E6eHlvyy1AeHsizA2vy_qf8enQLNbfiZrRtmxgfdkdNtZzTnLUFNCnPCM2JYHqHgIEp_TxtpRzwvU_TrOXkHmu5hGUZc3NGAJVn8FaQ22i52-vmd5DFoH5pKtpp3hLUE55wC7Uc4hSwGQASfw2tqmone6UXlwRwNSxenDX0EJpBW-Cvlrh7BZ576Nqs_62j5UF_P78PeHWQPtAW_APbBXau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0%B1%EC%84%A0+%EB%B3%B5%EC%9A%A9+%ED%9B%84+%EB%B0%9C%EC%83%9D%ED%95%9C+%EB%8F%85%EC%84%B1+%EA%B0%84%EC%97%BC+28%EC%98%88%EC%9D%98+%EC%9E%84%EC%83%81%EC%A0%81+%ED%8A%B9%EC%A7%95&rft.jtitle=The+Korean+journal+of+medicine&rft.au=%EC%A0%95%EC%9E%AC%ED%9B%88&rft.au=%EA%B9%80%EC%84%9D%ED%98%84&rft.au=%EA%B3%A0%EA%B4%91%ED%9B%88&rft.au=%EC%A0%95%EA%B2%BD%ED%98%9C&rft.date=2010-04-01&rft.pub=%EB%8C%80%ED%95%9C%EB%82%B4%EA%B3%BC%ED%95%99%ED%9A%8C&rft.issn=1738-9364&rft.eissn=2289-0769&rft.spage=457&rft.epage=46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71030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936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936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936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