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에서 우울이 위장관 증상에 미치는 영향

목적 : 기질적인 요인으로 설명이 어려운 위장관 증상이 있는 경우 정신적 질환과의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에서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사회학적 요인이 병원 방문의 주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선택편향을 배제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건강검진에서 우울 증상을 가진 여성들의 위장관 내시경 소견의 특징을 알아보고 우울과 위장관 증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0월 1일부터 2007년 3월 31일까지 건강 검진자들 중 설문에 응한 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Vol. 13; no. 2; pp. 146 - 151
Main Authors 조경란, Kyung Ran Cho, 이오영, Oh Young Lee, 윤대현, Dae Hyun Yoon, 임선희, Seon Hee Lim, 박민정, Min Jung Park, 임정윤, Jeong Yoon Yim, 김영선, Young Sun Kim, 김충현, Chung Hyeon Kim, 김동희, Dong Hee Kim, 양선영, Sun Young Y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30.12.2007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0879
2093-0887

Cover

Abstract 목적 : 기질적인 요인으로 설명이 어려운 위장관 증상이 있는 경우 정신적 질환과의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에서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사회학적 요인이 병원 방문의 주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선택편향을 배제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건강검진에서 우울 증상을 가진 여성들의 위장관 내시경 소견의 특징을 알아보고 우울과 위장관 증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0월 1일부터 2007년 3월 31일까지 건강 검진자들 중 설문에 응한 여성 8169명을 대상으로 상부 및 하부 내시경을 시행하고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및 13개 위장관 증상을 설문하였다. BDI 점수에 따라 우울 증상의 정도를 정상(<10점), 경도(10~15점), 중등도(16~23점) 및 중증(>23점)으로 나누었고 16점 이상인 집단을 우울군으로, 그 미만인 경우를 비우울군으로 하여 위장관 내시경 소견과 위장관 증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 우울군은 1460명(17.9%)이었고 비우울군은 6709명(82.1%)이었다. 상부 및 하부 내시경 소견은 모두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우울군(77.2%)에서 비우울군(56.9%)보다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았고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았다. 또한, 각각의 위장관 증상의 호소도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많았다(정상 51.0%, 경도 69.0%, 중등도 76.9%, 중증 79.0%, p<0.001). 위장관 증상 호소는 우울군에서 비우울군보다 2.6배 많았다(CI 2.3-3.0, p<0.001). 결론 : 우울 성향을 보이는 여성들은 특정 내시경 소견과는 관련 없으나 우울하지 않은 경우보다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고 우울 정도에 따라 증상 호소도 증가했다. 우울이 병원으로 내원하게 만드는 요인일 뿐 아니라 위장관 증상 호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위장관 증상을 보이는 여성들의 관리에 정신사회학적인 접근이 중요하다 하겠다. Background/Aims: Patients with unexplained gastrointestinal symptoms often have psychiatric diseases, but most of the studies about the association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sychiatric illness were undertaken in the clinical setting of referred hospit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addition to endoscopic findings in women of healthcare screening. Methods: Total 8169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ith either an upper or lower endoscopy for a health check-up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for evaluation of depression and a list of 13 gastrointestinal symptoms. BDI score ≥16 was defined as depressed and <16, as non-depressed. Results: Among them, 1460 women were depressed, and 6709 women were non-depres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endoscopic findings between two groups. Depressed women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more frequently compared to non-depressed women (77.2% vs. 56.9%) and this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13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 incidence of women complaining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increased as BDI score increased; Fifty-one percent of them ha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BDI score <10, 69% in 10~15, 77% in 16~23, and 78% in ≥24. Depressed women had more chance of having gastrointestinal symptoms by 2.6 folds compared to non-depressed women (CI 2.3-3.0). Conclusions: Although depressed women did not have specific endoscopic findings compared with non-depressed women, they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more frequ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epression.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46-151)
AbstractList 목적 : 기질적인 요인으로 설명이 어려운 위장관 증상이 있는 경우 정신적 질환과의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에서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사회학적 요인이 병원 방문의 주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선택편향을 배제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건강검진에서 우울 증상을 가진 여성들의 위장관 내시경 소견의 특징을 알아보고 우울과 위장관 증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0월 1일부터 2007년 3월 31일까지 건강 검진자들 중 설문에 응한 여성 8169명을 대상으로 상부 및 하부 내시경을 시행하고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및 13개 위장관 증상을 설문하였다. BDI 점수에 따라 우울 증상의 정도를 정상(<10점), 경도(10~15점), 중등도(16~23점) 및 중증(>23점)으로 나누었고 16점 이상인 집단을 우울군으로, 그 미만인 경우를 비우울군으로 하여 위장관 내시경 소견과 위장관 증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 우울군은 1460명(17.9%)이었고 비우울군은 6709명(82.1%)이었다. 상부 및 하부 내시경 소견은 모두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우울군(77.2%)에서 비우울군(56.9%)보다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았고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았다. 또한, 각각의 위장관 증상의 호소도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많았다(정상 51.0%, 경도 69.0%, 중등도 76.9%, 중증 79.0%, p<0.001). 위장관 증상 호소는 우울군에서 비우울군보다 2.6배 많았다(CI 2.3-3.0, p<0.001). 결론 : 우울 성향을 보이는 여성들은 특정 내시경 소견과는 관련 없으나 우울하지 않은 경우보다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고 우울 정도에 따라 증상 호소도 증가했다. 우울이 병원으로 내원하게 만드는 요인일 뿐 아니라 위장관 증상 호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위장관 증상을 보이는 여성들의 관리에 정신사회학적인 접근이 중요하다 하겠다. Background/Aims: Patients with unexplained gastrointestinal symptoms often have psychiatric diseases, but most of the studies about the association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sychiatric illness were undertaken in the clinical setting of referred hospit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addition to endoscopic findings in women of healthcare screening. Methods: Total 8169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ith either an upper or lower endoscopy for a health check-up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for evaluation of depression and a list of 13 gastrointestinal symptoms. BDI score ≥16 was defined as depressed and <16, as non-depressed. Results: Among them, 1460 women were depressed, and 6709 women were non-depres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endoscopic findings between two groups. Depressed women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more frequently compared to non-depressed women (77.2% vs. 56.9%) and this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13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 incidence of women complaining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increased as BDI score increased; Fifty-one percent of them ha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BDI score <10, 69% in 10~15, 77% in 16~23, and 78% in ≥24. Depressed women had more chance of having gastrointestinal symptoms by 2.6 folds compared to non-depressed women (CI 2.3-3.0). Conclusions: Although depressed women did not have specific endoscopic findings compared with non-depressed women, they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more frequ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epression. KCI Citation Count: 3
목적 : 기질적인 요인으로 설명이 어려운 위장관 증상이 있는 경우 정신적 질환과의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에서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사회학적 요인이 병원 방문의 주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선택편향을 배제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건강검진에서 우울 증상을 가진 여성들의 위장관 내시경 소견의 특징을 알아보고 우울과 위장관 증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0월 1일부터 2007년 3월 31일까지 건강 검진자들 중 설문에 응한 여성 8169명을 대상으로 상부 및 하부 내시경을 시행하고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및 13개 위장관 증상을 설문하였다. BDI 점수에 따라 우울 증상의 정도를 정상(<10점), 경도(10~15점), 중등도(16~23점) 및 중증(>23점)으로 나누었고 16점 이상인 집단을 우울군으로, 그 미만인 경우를 비우울군으로 하여 위장관 내시경 소견과 위장관 증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 우울군은 1460명(17.9%)이었고 비우울군은 6709명(82.1%)이었다. 상부 및 하부 내시경 소견은 모두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우울군(77.2%)에서 비우울군(56.9%)보다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았고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았다. 또한, 각각의 위장관 증상의 호소도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많았다(정상 51.0%, 경도 69.0%, 중등도 76.9%, 중증 79.0%, p<0.001). 위장관 증상 호소는 우울군에서 비우울군보다 2.6배 많았다(CI 2.3-3.0, p<0.001). 결론 : 우울 성향을 보이는 여성들은 특정 내시경 소견과는 관련 없으나 우울하지 않은 경우보다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고 우울 정도에 따라 증상 호소도 증가했다. 우울이 병원으로 내원하게 만드는 요인일 뿐 아니라 위장관 증상 호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위장관 증상을 보이는 여성들의 관리에 정신사회학적인 접근이 중요하다 하겠다. Background/Aims: Patients with unexplained gastrointestinal symptoms often have psychiatric diseases, but most of the studies about the association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sychiatric illness were undertaken in the clinical setting of referred hospit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addition to endoscopic findings in women of healthcare screening. Methods: Total 8169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ith either an upper or lower endoscopy for a health check-up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for evaluation of depression and a list of 13 gastrointestinal symptoms. BDI score ≥16 was defined as depressed and <16, as non-depressed. Results: Among them, 1460 women were depressed, and 6709 women were non-depres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endoscopic findings between two groups. Depressed women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more frequently compared to non-depressed women (77.2% vs. 56.9%) and this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13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 incidence of women complaining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increased as BDI score increased; Fifty-one percent of them ha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BDI score <10, 69% in 10~15, 77% in 16~23, and 78% in ≥24. Depressed women had more chance of having gastrointestinal symptoms by 2.6 folds compared to non-depressed women (CI 2.3-3.0). Conclusions: Although depressed women did not have specific endoscopic findings compared with non-depressed women, they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more frequ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epression.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46-151)
Author Oh Young Lee
윤대현
Sun Young Yang
양선영
Chung Hyeon Kim
Jeong Yoon Yim
Young Sun Kim
이오영
Dong Hee Kim
조경란
임선희
Kyung Ran Cho
임정윤
박민정
김동희
Seon Hee Lim
김영선
Min Jung Park
김충현
Dae Hyun Yoo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조경란
– sequence: 2
  fullname: Kyung Ran Cho
– sequence: 3
  fullname: 이오영
– sequence: 4
  fullname: Oh Young Lee
– sequence: 5
  fullname: 윤대현
– sequence: 6
  fullname: Dae Hyun Yoon
– sequence: 7
  fullname: 임선희
– sequence: 8
  fullname: Seon Hee Lim
– sequence: 9
  fullname: 박민정
– sequence: 10
  fullname: Min Jung Park
– sequence: 11
  fullname: 임정윤
– sequence: 12
  fullname: Jeong Yoon Yim
– sequence: 13
  fullname: 김영선
– sequence: 14
  fullname: Young Sun Kim
– sequence: 15
  fullname: 김충현
– sequence: 16
  fullname: Chung Hyeon Kim
– sequence: 17
  fullname: 김동희
– sequence: 18
  fullname: Dong Hee Kim
– sequence: 19
  fullname: 양선영
– sequence: 20
  fullname: Sun Young Ya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1744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D1Lw1AYRi9SwVr7C1wyugSu9_Z-4VSKH4WCINkvb5MbidFEksnNYiYnB7GltG51ElToUP-Sff0PFis-y3mGw9kmtSzP3AapM2q4T7VWtf-vzBZpluUFXY1zSiWtkwMcvmL1gcMHrCYejt9xvMDp3MNJhc-zr_mthy9TvBusBG_5tsDP0fL-0cPR4PtptkM2Y7gsXfOPDRIcHQadE793etzttHt-KrjyjdQShKEaHI1CHu072hKRFqAMMwBMgJE8ZFFsKMRCh0xrIZ3uGxX1JTjDG2Rvnc2K2KZhYnNIfnme27Sw7bOga7luUaZW6u5aTZOytNdFcgXFjWVScCYZ_wE5xGH8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Medicine
DocumentTitleAlternate 여성에서 우울이 위장관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Women
EISSN 2093-0887
EndPage 15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84027
2653262
GroupedDBID ---
53G
ADBBV
AENEX
ALMA_UNASSIGNED_HOLDINGS
BAWUL
DIK
EBS
EJD
F5P
HZB
OK1
PGMZT
Q5X
5-W
8JR
9ZL
ABDBF
ACYCR
ADRAZ
AOIJS
E3Z
EBD
EF.
HYE
KQ8
M48
M~E
O5R
O5S
RPM
ID FETCH-LOGICAL-k537-9686a5908ae0dc3d1e045d85a7929aa25a963c2df90af58c28856e8b97db6ae93
ISSN 2093-0879
IngestDate Tue Nov 21 21:30:51 EST 2023
Fri Aug 08 02:10:36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7-9686a5908ae0dc3d1e045d85a7929aa25a963c2df90af58c28856e8b97db6ae93
Notes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G704-SER000001642.2007.13.2.003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84027
kiss_primary_265326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71230
PublicationDateYYYYMMDD 2007-12-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07
  text: 200712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PublicationYear 2007
Publisher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 name: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SSID ssj0000330060
Score 1.7003793
Snippet 목적 : 기질적인 요인으로 설명이 어려운 위장관 증상이 있는 경우 정신적 질환과의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에서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사회학적 요인이 병원 방문의 주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선택편향을 배제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46
SubjectTerms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우울 척도
Endoscopic finding
Gastrointestinal symptom
내과학
내시경 소견
위장관 증상
Title 여성에서 우울이 위장관 증상에 미치는 영향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65326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17447
Volume 1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2007, 13(2), , pp.146-151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xMxEF61PSAuCAiI8tIi4VO0yNmH1xan3U2illJOQepttc8WRUpQmhzgREVOnDggWlUtt3JCAqQeyl-i5j8w4310KxUJuGxG49d4xrE_e8ezmvYQQFsMK0FmxACPDZtlwoiomxsJrBXUoQxsjpeT15-xlef2kw1nY2Gx1fBamk3jR8nrC--V_I9VgQd2xVuy_2DZulJgAA32hSdYGJ5_ZWPSC4hwiRcgwW3id0qOoCVHBG3F8ohPK4Irokt8u0hTGZHoEc8hPcgB-JKqNI9hRqzKAshZVw5pPvH6ZVW-IIIjh3tElHVylb1LBIM6_wCAVSjNzWh7OhljYNDJWTQodBDE7UE1GpQoHdUFkM4kfhebA3l5_bJl7dUM_Qhhtgq2xs1yqqOlTJ5dC1cfLm-11YTXfppl505AXBVnkdZjVnUwQMcQ7JaDakO9MGQiB5RgK_F4JWdBKLWgXhsW8lzCeVWKkwB65FbWsVWRPiaVDRWEBw2dzdomRYdIXnwhp15irMZfyWysF9X56_mQ3yZzAFUDsFi0OuqYYHWtPjekloUxdPCbiVVLgCZgs7EN6Gg0yRvoaHBVu1JaVfeKMXpNWxiOr2uX1kvHjZb2WO5-kfPvcve9nB_ocv-b3D-Rh8e6PJjLT0c_j9_o8vOhfLsDGfTTryfyx97puw-63Nv59fHohjbo9wbBilF-t8MYOpZrCMZZ5AjKo4ymiZV2Mtg2pNyJXIDiUWQ6EU4AZpoLGuUOT0zOHZbxWLhpzKJMWDe1pdF4lN1Cv7vUdvLcdAVL7IQxEbvqrncMuBY29mxZa2HPw5dFZJawVNyy9gA0EQ6TFyFGT8ffzXE4nISwR1wNLW5T0719cdE72uWzIXZXW5pOZtk9gJ3T-L6yw28b3GkU
linkProvider Flying Publisher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7%AC%EC%84%B1%EC%97%90%EC%84%9C+%EC%9A%B0%EC%9A%B8%EC%9D%B4+%EC%9C%84%EC%9E%A5%EA%B4%80+%EC%A6%9D%EC%83%81%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Journal+of+neurogastroenterology+and+motility&rft.au=%EC%A1%B0%EA%B2%BD%EB%9E%80&rft.au=Kyung+Ran+Cho&rft.au=%EC%9D%B4%EC%98%A4%EC%98%81&rft.au=Oh+Young+Lee&rft.date=2007-12-30&rft.pub=%EB%8C%80%ED%95%9C%EC%86%8C%ED%99%94%EA%B8%B0%EA%B8%B0%EB%8A%A5%EC%84%B1%EC%A7%88%ED%99%98%C2%B7%EC%9A%B4%EB%8F%99%ED%95%99%ED%9A%8C&rft.issn=2093-0879&rft.volume=13&rft.issue=2&rft.spage=146&rft.externalDocID=265326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093-0879&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093-0879&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093-0879&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