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식 부하 포만감 검사의 임상 적용
목적: 유동식 부하검사(포만감 검사)는 위적응을 평가하는 단순하고 비침습적 검사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동식 부하검사의 임상 적용가능성과 위적응의 저하가 예상되는 질환에서 이 검사의 의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인 20명(남:여=12:8, 평균 24세),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21명(남:여=10:11, 평균 58세), 위절제술 후 환자 36명(남:여=19:17, 평균 55세)에서 포만감 검사를 시행하였다. 피험자들에게 고칼로리 유동식(1 ㎉/㎖) 을 최대한 먹을 수 있을 때까지 3분 마다 67.5 ㎖...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Vol. 12; no. 2; pp. 144 - 150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30.12.2006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0879 2093-0887 |
Cover
Abstract | 목적: 유동식 부하검사(포만감 검사)는 위적응을 평가하는 단순하고 비침습적 검사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동식 부하검사의 임상 적용가능성과 위적응의 저하가 예상되는 질환에서 이 검사의 의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인 20명(남:여=12:8, 평균 24세),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21명(남:여=10:11, 평균 58세), 위절제술 후 환자 36명(남:여=19:17, 평균 55세)에서 포만감 검사를 시행하였다. 피험자들에게 고칼로리 유동식(1 ㎉/㎖) 을 최대한 먹을 수 있을 때까지 3분 마다 67.5 ㎖씩 마시도록 하였다. 3분 간격으로 오심, 포만감, 상복부불쾌감/ 통증의 세 증상을 시각적 선형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건강인의 최대섭취량은 886.5±306.1 ㎖로 위 절제군의 최대섭취량(558.1±252.1 ㎖)보다 높았다(p<0.01)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의 최대섭취량은 681.4±391.2 ㎖로 건강인과 차이가 없었으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p=0.10). 위절제술 후 환자군 61%와 소화불량증군의 45%는 건강인 최대섭취량의 10% 미만에 해당하는 540 ㎖ 마만의 최대섭취량을 보였다. BMI는 최대섭취량과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2=0.35, p<0.01), 각 군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섭취량이 많았다. 건강인에서 유동식의 섭취중단은 포만감 이외에도 오심 증상이 중요하였다. 이에 비해 소화불량증 환자군은 포만감이 가장 중요한 중단 요인이었으며 위절제환자들은 상대적으로 포만감 외의 다른 증상에 의해 중단되었다. 결론: 유동식 부하검사는 식후 증상을 정량화 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며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위절제술후 환자군의 일부에서는 최대 섭취량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다. 성별, BMI가 최대 섭취량과 식후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섭취량의 결정시 포만감 외의 증상이 관여하므로 위적응 외의 다른 운동생리도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Aims: The liquid meal loading test (satiety test) is known to be a simple, non-invasive test for evaluating gastric accommod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tility of the satiety test in those healthy volunteers and patients who were expected to have impaired gastric accommodation. Methods: Twenty healthy volunteers (M:F=12:8, 25 years), 21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M:F=10:11, 58 years) and 36 postgastrectomy patients (M:F=19:17, 56 years) underwent the satiety test. The subjects drank the liquid meal (1 ㎉/㎖) as much as possible till they could not drink any more. Results: The maximum tolerated volume (MTV) of the healthy volunteers was higher than the MTV of the postgastrectomy patients (886.5±306.1 ㎖ vs. 558.1±252.1 ㎖, respectively, p<0.01). The MTV of the dyspepsia group (681.4±391.2 ㎖) tend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healthy volunteers (p=0.10). Forty five percent of the dyspeptic patients and 61% of the postgastrectomy patients had an abnormal MTV, which was defined as lower than the 10 percentile of the MTV in the healthy groups (540 ㎖). BMI had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MTV (r2=0.35, p<0.01) The MTV of the male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females in all groups. Nausea was also the cause to stop ingestion of the meal in 25% of the healthy volunteers, whereas fullness was the exclusive cause in 90% of the dyspepsia group. Symptoms other than fullness caused to stoppage of ingestion in 60% of the postgastrectomy group. Conclusions: The MTVs of the postgastrectomy patients and some of the patients with dyspepsia were lower than the MTVs of the healthy volunteers. The liquid loading test provides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postprandial symptoms. However, there are gender-and BMI-related differences for the MTV and postprandial symptoms. As symptoms other than fullness may determine the quantity of liquid ingestion, this suggests that a gastric sensorymotor function other than gastric accommodation may have an influence on MTV.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44-150) |
---|---|
AbstractList | 목적: 유동식 부하검사(포만감 검사)는 위적응을 평가하는 단순하고 비침습적 검사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동식 부하검사의 임상 적용가능성과 위적응의 저하가 예상되는 질환에서 이 검사의 의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인 20명(남:여=12:8, 평균 24세),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21명(남:여=10:11, 평균 58세), 위절제술 후 환자 36명(남:여=19:17, 평균 55세)에서 포만감 검사를 시행하였다. 피험자들에게 고칼로리 유동식(1 kcal/mL)을 최대한 먹을 수 있을 때까지 3분 마다 67.5 mL씩 마시도록 하였다. 3분 간격으로 오심, 포만감, 상복부불쾌감/ 통증의 세 증상을 시각적 선형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건강인의 최대섭취량은 886.5±306.1 mL로 위 절제군의 최대섭취량(558.1±252.1 mL)보다 높았다(p<0.01)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의 최대섭취량은 681.4±391.2 mL로 건강인과 차이가 없었으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p=0.10). 위절제술 후 환자군 61%와 소화불량증군의 45%는 건강인 최대섭취량의 10% 미만에 해당하는 540 mL 미만의 최대섭취량을 보였다. BMI는 최대섭취량과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2=0.35, p<0.01), 각 군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섭취량이 많았다. 건강인에서 유동식의 섭취중단은 포만감 이외에도 오심 증상이 중요하였다. 이에 비해 소화불량증 환자군은 포만감이 가장 중요한 중단 요인이었으며 위절제환자들은 상대적으로 포만감 외의 다른 증상에 의해 중단되었다. 결론: 유동식 부하검사는 식후 증상을 정량화 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며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위절제술후 환자군의 일부에서는 최대 섭취량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다. 성별, BMI가 최대 섭취량과 식후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섭취량의 결정시 포만감 외의 증상이 관여하므로 위적응 외의 다른 운동생리도 고려해야 한다. 구역 성인형 Hirschsprung's disease 1예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소화기연구소, 임상병리학교실*, 일반외과학교실†
김연수・이준성・김경민・이보영・김영대・정인섭・고봉민・홍수진・
유창범・김진오・조주영・이문성・진소영*・김재준†・심찬섭・김부성
A Case of Zonal Adult Hirschsprung's Disease
Yeon Soo Kim, M.D., Joon Seong Lee, M.D., Kyung Min Kim, M.D., Bo Young Lee, M.D., Young Dae Kim, M.D.,
In Seop Jung, M.D., Bong Min Ko, M.D., Su Jin Hong, M.D., Chang Beom Ryu, M.D., Jin Oh Kim, M.D.,
Joo Young Cho, M.D., Moon Sung Lee, M.D., So Young Jin, M.D.*, Jae Joon Kim, M.D.†, Chan Sup Shim, M.D.,
and Boo Sung Kim, M.D.
Institute for Digestive Research,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Pathology*, and General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Hirschsprung's disease is associated with congenital megacolon of the colon proximal to a segment that lacks ganglion cells in the myenteric plexus and submucosal plexus. Hirschsprung's disease is usually considered as a pediatric disease entity. In the typical cases, the aganglionosis arises from the anal verge and this extends proximally for varying distances; the lesion mainly involves the rectum or rectosigmoid colon. Zonal segmental involvement is very rare even in children. We experienced a 45-year-old male who suffered from acute intestinal obstruction with a collapsed luminal portion in the distal descending colon and proximal sigmoid colon. The patient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or segmental constriction. We present here a case of zonal adult Hirschsprung's disease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70-176)
Key words: Hirschsprung's disease, Megacolon, Aganglionosis KCI Citation Count: 0 목적: 유동식 부하검사(포만감 검사)는 위적응을 평가하는 단순하고 비침습적 검사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동식 부하검사의 임상 적용가능성과 위적응의 저하가 예상되는 질환에서 이 검사의 의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인 20명(남:여=12:8, 평균 24세),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21명(남:여=10:11, 평균 58세), 위절제술 후 환자 36명(남:여=19:17, 평균 55세)에서 포만감 검사를 시행하였다. 피험자들에게 고칼로리 유동식(1 ㎉/㎖) 을 최대한 먹을 수 있을 때까지 3분 마다 67.5 ㎖씩 마시도록 하였다. 3분 간격으로 오심, 포만감, 상복부불쾌감/ 통증의 세 증상을 시각적 선형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건강인의 최대섭취량은 886.5±306.1 ㎖로 위 절제군의 최대섭취량(558.1±252.1 ㎖)보다 높았다(p<0.01)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의 최대섭취량은 681.4±391.2 ㎖로 건강인과 차이가 없었으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p=0.10). 위절제술 후 환자군 61%와 소화불량증군의 45%는 건강인 최대섭취량의 10% 미만에 해당하는 540 ㎖ 마만의 최대섭취량을 보였다. BMI는 최대섭취량과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2=0.35, p<0.01), 각 군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섭취량이 많았다. 건강인에서 유동식의 섭취중단은 포만감 이외에도 오심 증상이 중요하였다. 이에 비해 소화불량증 환자군은 포만감이 가장 중요한 중단 요인이었으며 위절제환자들은 상대적으로 포만감 외의 다른 증상에 의해 중단되었다. 결론: 유동식 부하검사는 식후 증상을 정량화 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며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위절제술후 환자군의 일부에서는 최대 섭취량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다. 성별, BMI가 최대 섭취량과 식후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섭취량의 결정시 포만감 외의 증상이 관여하므로 위적응 외의 다른 운동생리도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Aims: The liquid meal loading test (satiety test) is known to be a simple, non-invasive test for evaluating gastric accommod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tility of the satiety test in those healthy volunteers and patients who were expected to have impaired gastric accommodation. Methods: Twenty healthy volunteers (M:F=12:8, 25 years), 21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M:F=10:11, 58 years) and 36 postgastrectomy patients (M:F=19:17, 56 years) underwent the satiety test. The subjects drank the liquid meal (1 ㎉/㎖) as much as possible till they could not drink any more. Results: The maximum tolerated volume (MTV) of the healthy volunteers was higher than the MTV of the postgastrectomy patients (886.5±306.1 ㎖ vs. 558.1±252.1 ㎖, respectively, p<0.01). The MTV of the dyspepsia group (681.4±391.2 ㎖) tend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healthy volunteers (p=0.10). Forty five percent of the dyspeptic patients and 61% of the postgastrectomy patients had an abnormal MTV, which was defined as lower than the 10 percentile of the MTV in the healthy groups (540 ㎖). BMI had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MTV (r2=0.35, p<0.01) The MTV of the male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females in all groups. Nausea was also the cause to stop ingestion of the meal in 25% of the healthy volunteers, whereas fullness was the exclusive cause in 90% of the dyspepsia group. Symptoms other than fullness caused to stoppage of ingestion in 60% of the postgastrectomy group. Conclusions: The MTVs of the postgastrectomy patients and some of the patients with dyspepsia were lower than the MTVs of the healthy volunteers. The liquid loading test provides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postprandial symptoms. However, there are gender-and BMI-related differences for the MTV and postprandial symptoms. As symptoms other than fullness may determine the quantity of liquid ingestion, this suggests that a gastric sensorymotor function other than gastric accommodation may have an influence on MTV.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44-150) |
Author | 조윤경 Chang Nyol Paik 최명규 김상우 In Seok Lee 정인식 박재명 Myung Gyu Choi Jae Myung Park 백창렬 Yu Kyung Cho 이인석 Sang Woo Kim In Sik Chung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조윤경 – sequence: 2 fullname: Yu Kyung Cho – sequence: 3 fullname: 최명규 – sequence: 4 fullname: Myung Gyu Choi – sequence: 5 fullname: 백창렬 – sequence: 6 fullname: Chang Nyol Paik – sequence: 7 fullname: 박재명 – sequence: 8 fullname: Jae Myung Park – sequence: 9 fullname: 이인석 – sequence: 10 fullname: In Seok Lee – sequence: 11 fullname: 김상우 – sequence: 12 fullname: Sang Woo Kim – sequence: 13 fullname: 정인식 – sequence: 14 fullname: In Sik Chung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3473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jD9Lw0AYhw-pYK39BC4ZXQJv8l7uLmMp_ikUBMl-pLmcxGgiyeTWqptCXQpVrHQrhQ7i4Idqrt_BYMXf8vyGh2efNLI8i3dI0wUfbRCCN_4_9_dIuyyvoB4iAIMmcc37vBq_mqeZVX0PN5OptRmvqsXz-vPFWn8Nzf3KzKaW-Xg0DyPLzEfmbXlAdnV4XcbtP7ZIcHIcdM_s_vlpr9vp26mHzB74gAoEUJdxLRiPdaS4Aw5VONDIQqEFBR6LiHPtOa4nFHi-UA5TLo0i5WGLHG2zWaFlGiUyD5NfXuYyLWTnIuhJrBvIavVwq6ZJWcrbIrkJiztZN5FyH38Agbtaew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ACYCR |
DatabaseName |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Medicine |
DocumentTitleAlternate | 유동식 부하 포만감 검사의 임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the Liquid Meal induced Satiety Test |
EISSN | 2093-0887 |
EndPage | 150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384036 2583479 |
GroupedDBID | --- 53G ADBBV AENEX ALMA_UNASSIGNED_HOLDINGS BAWUL DIK EBS EJD F5P HZB OK1 PGMZT Q5X 5-W 8JR 9ZL ABDBF ACYCR ADRAZ AOIJS E3Z EBD EF. HYE KQ8 M48 M~E O5R O5S RPM |
ID | FETCH-LOGICAL-k536-b903d0804267f867efcd71014d3bf36a8f8407e8c77f51258d0598d16d24ccd53 |
ISSN | 2093-0879 |
IngestDate | Tue Nov 21 21:30:51 EST 2023 Fri Aug 08 02:10:36 EDT 2025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Issue | 2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536-b903d0804267f867efcd71014d3bf36a8f8407e8c77f51258d0598d16d24ccd53 |
Notes |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G704-SER000001642.2006.12.2.004 |
PageCount | 7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384036 kiss_primary_2583479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0612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06-12-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2 year: 2006 text: 200612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00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
PublicationTitleAlternate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
PublicationYear | 2006 |
Publisher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 name: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
SSID | ssj0000330060 |
Score | 1.6694992 |
Snippet | 목적: 유동식 부하검사(포만감 검사)는 위적응을 평가하는 단순하고 비침습적 검사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동식 부하검사의 임상 적용가능성과 위적응의 저하가 예상되는 질환에서 이 검사의 의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인 20명(남:여=12:8, 평균 24세),... |
SourceID | nrf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144 |
SubjectTerms | Gastric accommodation Liquid Loading test Satiety 내과학 위적응 유동식 부하검사 포만감 |
Title | 유동식 부하 포만감 검사의 임상 적용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58347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34732 |
Volume | 12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2006, 12(2), , pp.144-150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Oj2IF5ErWL9IoJzWlKSnSQzOeZjS2uppxV6CzuTpMjCrmy3F0-telOoF6GKld5E6EE8-KO66X_wvUl2kxYL1Ut4vHnz5s17Q-a94c0bQp5K6cPOLTkEOZkwHSWl6cM-Y8o-Y51cOl6q8EB_87m39sJ5tuVuLbQ2GllLuxO5ol7_9V7J_1gVcGBXvCX7D5adMwUEwGBf-IKF4XslG9NuRP2IBhbthlSsUt9HjAipH7cRFXqYyNCNqe9SX7QRAqogwraAUwFAQENMdWhrSOc9IIeOJgLmcdkPoC4Vjm5j4HxqFAwrbN0W0MC_xMvV9TK3-zuT8Qirf47rkk-YBYgxwMzkmqWN4tSz0jKFcZMkdLERJxBQ4WoSDpiaJEQWoRYMgVjTWjS4SAI6KecV1OwunIFgpUVrvmq1kqOGRrWKhKf1GKPyfUfLI4B9ew7pbqAhPRzosBQN1S9m3YROORGV_UCdodOwaDlYCYCQUf3v7liYFinKd3JWsiau8i_K_cIui19Wrodd1uA9XxX8wm59ri74QL1MtkfJYJxA9LOeMIjWmdciLWbr04X1jflxo8UYlt7BpxZnooETAjHKDjhVw3HecKp6N8mNap0YQbm0b5GFweg2ubZZ5XsskU7x9Xh68Ll4f2RMf--dfTo0zg5Opt8_nP78aJz-2ivenBRHh0bx7V3xdt8ojveLLz_ukN5qtxetmdUrH-bAZZ4J_wqWQtgCniLPhcezXKUcH5BOmcyZ1xc5TIpnQnGeg3PqihQCApHaXtpxlEpddpcsDkfD7B4xOiLrcydXHuPKkY6U3LZlLizppyp1hFomSzjh5FVZxyUBZniPepk8AQVoXV6q0_tXoHlArtdr8yFZnIx3s0fgsU7kY22LPyvjdqI |
linkProvider | Flying Publisher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C%A0%EB%8F%99%EC%8B%9D+%EB%B6%80%ED%95%98+%ED%8F%AC%EB%A7%8C%EA%B0%90+%EA%B2%80%EC%82%AC%EC%9D%98+%EC%9E%84%EC%83%81+%EC%A0%81%EC%9A%A9&rft.jtitle=Journal+of+neurogastroenterology+and+motility&rft.au=%EC%A1%B0%EC%9C%A0%EA%B2%BD&rft.au=%EC%B5%9C%EB%AA%85%EA%B7%9C&rft.au=%EB%B0%B1%EC%B0%BD%EB%A0%AC&rft.au=%EB%B0%95%EC%9E%AC%EB%AA%85&rft.date=2006-12-30&rft.pub=%EB%8C%80%ED%95%9C%EC%86%8C%ED%99%94%EA%B8%B0+%EA%B8%B0%EB%8A%A5%EC%84%B1%EC%A7%88%ED%99%98%E2%88%99%EC%9A%B4%EB%8F%99%ED%95%99%ED%9A%8C&rft.issn=2093-0879&rft.eissn=2093-0887&rft.spage=144&rft.epage=150&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384036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093-0879&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093-0879&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093-0879&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