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브스병에서 공동자극분자인 4-1BB와 4-1BBL의 역할 연구
연구배경: 4-1BB와 4-1BBL는 T 세포와 항원제시세포에서 발현되는 종양괴사인자 계열의 공동자극분자로서 T 세포 활성화와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레이브스병에서 4-1BB와 4-1BBL의 발현특성을 조사하고 그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그레이브스병 환자와 정상인의 말초혈액로부터 단핵세포와 혈청을 분리한 다음 유세포 분석법과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4-1BB와 4-1BBL의 발현특성 및 임상증상과의 연관성을 비교하였다.결과: 정상인의 경우 4-1BB 발현은 활성화된 T 세포에서만 관찰되는 반면 그레...
Saved in:
Published in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Seoul) Vol. 21; no. 2; pp. 116 - 124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내분비학회
30.04.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596X 2093-5978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4-1BB와 4-1BBL는 T 세포와 항원제시세포에서 발현되는 종양괴사인자 계열의 공동자극분자로서 T 세포 활성화와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레이브스병에서 4-1BB와 4-1BBL의 발현특성을 조사하고 그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그레이브스병 환자와 정상인의 말초혈액로부터 단핵세포와 혈청을 분리한 다음 유세포 분석법과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4-1BB와 4-1BBL의 발현특성 및 임상증상과의 연관성을 비교하였다.결과: 정상인의 경우 4-1BB 발현은 활성화된 T 세포에서만 관찰되는 반면 그레이브스병 환자는 naive T 세포 및 활성화된 T 세포 모두에서 발현이 관찰되었으며 활성화 후 발현율이 더욱 증가하였다. 4-1BBL는 정상인과 그레이브스병 환자 모두 B 세포, 단핵구 및 수지상 세포와 같은 항원제시세포에서 주로 발현되었으며 활성화 후 발현율이 다소 증가하였다. 4-1BBL 발현율 역시 그레이브스병에서 높게 나타났다. 혈청 내 s4-1BB와 s4-1BBL 농도를 조사한 결과 그레이브스병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들의 농도는 TBII 및 유리 T4 농도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Background: 4-1BB mediated costimulatory signal is a recently identified immunotherapeutic strategy f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s without depressing the immune respon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4-1BB and 4-1BBL on th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and we assessed whether the serum levels of soluble (s) 4-1BB and s4-1BBL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GD) and compared them with normal subjects. Methods: Expression of 4-1BB and 4-1BBL on PBMC of GD patients was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The concentrations of s4-1BB and s4-1BBL were assessed in the sera of GD patients by performing ELISA.Results: 4-1BB was constitutively expressed on naive CD4+ and CD8+ T cells of the GD patients and this was increased by stimulation. 4-1BBL was also expressed on the antigen-presenting cells such as CD19+ B cells, monocytes and dendritic cells in GD patients. The serum levels of s4-1BB and s4-1BB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D patients than those in controls, and these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rum levels of thyroid-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and free T4.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ffector T cells of GD patients can be activated through the 4-1BB-mediated costimulatory signal. Elevated s4-1BB and s4-1BBL levels in the sera of GD patients may affect modulation of the clinical course in GD patients. (J Kor Soc Endocrinol 21:116~124, 2006)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G704-001505.2006.21.2.005 |
ISSN: | 2093-596X 2093-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