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라미부딘 장기투여의 효능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임상적 기준에 따라 B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 진단된 환자중 라미부딘을 하루 75-150 mg 씩 12개월 이상 치료한 21 명을 치료군 (남자 14명, 여자 7명 평균연령 50세, 범위 34-73세, Child-Pugh; B 등급 17명, C 등급 4명)으로 하였고, 보존적인 치료만으로 추적 검사한 20명을 대조군 (남자 17명, 여자 3명 평균연령 50세, 범위 39-61세, Child-Pugh;...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Vol. 8; no. 4; pp. 428 - 435
Main Authors 박태욱, Tae Wook Park, 박영민, Young Min Park, 배시현, Si Hyun Bae, 장정원, Jeong Won Jang, 남순우, Soon Woo Nam, 최종영, Jong Young Choi, 윤승규, Seung Kew Yoon, 조세현, Se Hyun Cho, 양진모, Jin Mo Yang, 한남익, Nam Ik Han, 안병민, Byung Min Ah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간학회 01.12.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2728
2287-285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임상적 기준에 따라 B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 진단된 환자중 라미부딘을 하루 75-150 mg 씩 12개월 이상 치료한 21 명을 치료군 (남자 14명, 여자 7명 평균연령 50세, 범위 34-73세, Child-Pugh; B 등급 17명, C 등급 4명)으로 하였고, 보존적인 치료만으로 추적 검사한 20명을 대조군 (남자 17명, 여자 3명 평균연령 50세, 범위 39-61세, Child-Pugh; B 등급 15명, C 등급 5명)으로 정하고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치료 전후로 HBV DNA 정량, HbeAg 정량, 혈액학적/생화학적 간기능 검사, Child-Pugh 점수 등의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치료 반응의 기준은 HBV DNA 와 HbeAg 음전화, ALT치 정상화 여부에 따라 반응군, Breakthrough군, 무반응군으로 정하였고, 임상적 호전의 정의는 Child-Pugh 점수가 2점 이상 감소한 경우로 하였다. 결과: 평균 관찰기간은 17개우러 (범위 12개월-26개월)이었다. 라미부딘 치료에 대한 반응군은 62% (13/21), Breakthrough군은 33% (7/21) 이고, 무반응군은 5% (1/21) 였다. 평균 Child-Pugh 점수는 치료전 8.6점에서 관찰 종료시점에 6.0점으로 호전되었지만, 대조군에서는 8.7점으로 10점으로 악화되었다. Child-Pugh 점수가 2점 이상 호전된 경우도 치료군에서 71% (15/21)였지만 대조군에서 5% (1/20)였다. HbeAg의 음전율은 치료군에서 31%(5/16) 였으나, 대조군에서는 음전화예는 없었다. 치료 후 Child-Pugh 등급 A 14명, B 6명 그리고 C가 1명이었지만, 대조군에서는 등급 B환자 15명 중 1명만이 등급 A로 호전되고 8명의 환자가 등급 C로 악화되었고, 등급 C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호전된 경우는 없었다. 치료군에서 혈청 알부민, 프로트롬빈 시간, AFP 수치와 Child-Pugh 점수의 호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결론: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치료효과는 매우 고무적이며, 특히 일부 Breakthrough군이나 무반응군에서도 간기능 호전 소견을 관찰할 수 있어 향후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amivudine use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irrhosis B has been reported to improve the hepatic function and often delay the need for liver transplant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long-term lamivudine therapy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irrhosis by comparative study using a matched, untreated cohort. Methods: 41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irrhosis B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31 male and 10 female; mean age, 50 years; mean observation period, 18 month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lamivudine treatment group and an untreated control group. 21 pati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treated with lamivudine 75 or 150 mg daily for at least 12 months. Biochemical and serologic markers were evaluated at two to three-month intervals for all patients. Clinical improvement was defined by a decrease in the Child-Pugh score of at least 2 points. Result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62% (13/21) was responders, 33% (7/21) was breakthrough, and 5% (1/21) was non-responder in the treated group. The mean Child-Pugh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8.6 to 6.0 in the treatment group, but aggravated from 8.7 to 10.0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follow-up. The HBeAg seroconversion rate was 31% in the treatment group (5/16) and none in the control group (0/14). Clinical improvement was observed in fifteen of 21 in the treatment group (71%) and only one of 20 in the control group (5%). According to the treatment responses, clinical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en of 13 responders (77%), four of 7 breakthrough (57%), and one non-responder. Conclusions: The long-term administration of lamivudine for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irrhosis B is effective and safe, although breakthrough and non-response occurred in some patients. (Korean J Hepatol 2002;8:428-435)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G704-001530.2002.8.2002.046
ISSN:2287-2728
2287-28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