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산업구조와 협력네트워크가 시장선도적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지난 5년간 혁신도시 및 지역혁신체제(RIS) 구축을 위한 정책들이 수립되고 상당한 예산들이 집행되었다. 도시경제, 지역혁신체제(RIS) 및 혁신클러스터 연구분야에서 혁신과 지역특성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집적경제모형을 기반으로 활발히 연구되었다. 집적경제모형의 실증분석들은 대부분 2차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산업구조와 협력네트워크가 기업의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과연 지역산업구조와 협력네트워크가 지역에 입지한 기업들의 기술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2003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 15; no. 1; pp. 193 - 22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거버넌스학회
30.04.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1274 |
DOI | 10.17089/kgr.2008.15.1.008 |
Cover
Summary: | 지난 5년간 혁신도시 및 지역혁신체제(RIS) 구축을 위한 정책들이 수립되고 상당한 예산들이 집행되었다. 도시경제, 지역혁신체제(RIS) 및 혁신클러스터 연구분야에서 혁신과 지역특성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집적경제모형을 기반으로 활발히 연구되었다. 집적경제모형의 실증분석들은 대부분 2차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산업구조와 협력네트워크가 기업의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과연 지역산업구조와 협력네트워크가 지역에 입지한 기업들의 기술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2003년 조사된 개별기업의 혁신설문조사결과를 토대로, 과연 혁신도시 및 RIS 관련 정책이 수립되던 당시정부의 논리처럼 기술혁신과 협력네트워크 및 지역산업구조의 관계가 강하게 존재하였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실증분석모형은 기업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혁신으로서 시장최초의 기술혁신을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의 특성과 집적경제로서 지역산업구조 및 협력네트워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장선도적 기술혁신이란, 국내시장 또는 세계시장최초의 혁신(신제품, 공정, 개선제품)에 성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대상은 전국16개 시도의 제조업에 속하며 상시 종사자규모가 평균 6인 이상인 개별기업이다. 설문자료는 STEPI의 기술혁신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2,499개기업의 응답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특성 중에서 기업규모와 자본집약도는 시장선도적인기술혁신의 성공과 관계가 있었다. 집적경제를 의미하는 지역산업구조의 영향중에서 지역화경제는 동종산업발달로 추정하였고, 도시화경제는 연구개발업의 발달과 전문서비스업의 발달로 추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역화경제의 영향은 적어도 광역자치단체 수준의 지역범위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법률자문, 회계, 마케팅업의 발달로 추정한 도시화경제는 시장선도적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위기술산업에서는 협력네트워크와 혁신의 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고, 고위기술산업에서는 다른 기업과 전문성을 공유하기 위해 혁신네트워크를 형성했던 기업들이 시장선도적인 기술혁신의 성공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n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that cooperative Network and differences in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which are elements of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have on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businesses located in the region. In particular, six types of cooperative relations have been clarified through a factor analysis. This study features an empirical analysis, which can be generalized using sufficient samples, of the effect that the different cooperative relation types have on technological innovation depending on the varying industrial technology levels(high-tech vs low-tec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gener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build the empirical analysis model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structure of regional industries as a agglomeration economies, the pattern of cooperative network on the business`` innovation performance. |
---|---|
Bibliography: |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G704-001707.2008.15.1.008 |
ISSN: | 1738-1274 |
DOI: | 10.17089/kgr.2008.1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