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 내 감염 관련 유전자 및 산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와 조기분만의 연관성

목적: 조기 분만과 자궁 내 감염 관련 유전자 (IFN-γ, interleukin [IL]-10) 및 산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CYP1A1)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이대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검사 및 분만을 시행한 산모 중 37주 이전에 분만한 조산군 164명과 37주 이후에 분만한 대조군 3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신 주수 24주 미만, 태아의 선천성 기형, 다태아 분만, 사산의 경우를 제외하였다. 참여자는 입원 시 키, 몸무게 측정 및 혈액 채취를 시행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 53; no. 7; pp. 608 - 615
Main Authors 유시연, Si Yeon You, 김정명, Jung Myung Kim, 이경아, Kyung A Lee, 박미혜, Mi Hye Park, 김영주, Young Ju Kim, 전선희, Sun Hee Ch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산부인과학회 15.07.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8572
2287-858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조기 분만과 자궁 내 감염 관련 유전자 (IFN-γ, interleukin [IL]-10) 및 산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CYP1A1)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이대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검사 및 분만을 시행한 산모 중 37주 이전에 분만한 조산군 164명과 37주 이후에 분만한 대조군 3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신 주수 24주 미만, 태아의 선천성 기형, 다태아 분만, 사산의 경우를 제외하였다. 참여자는 입원 시 키, 몸무게 측정 및 혈액 채취를 시행하였고 임신 주수는 최종 월경일 또는 초음파 측정을 통해 계산 되었다. 산모의 혈액에서 IFN-γ, IL-10, CYP1A1 유전자형을 PCR과 SNaPShot method를 사용하여 검사하였으며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조기 분만군과 만삭 분만군 사이에 임신 주수, 태아 체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IFN-γ, IL-10, CYP1A1 유전자형의 빈도와 조기 분만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 IFN-γ (874A/T) 및 IL-10 (1082A/G), IL-10 (819C/T), IL-10 (592A/C)와 CYP1A1 (T6235C), CYP1A1 (Ile462val [A/G]) 유전자형의 빈도는 조산과 관련이 없었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term birth and cytokine genes (IFN-γ, interleukin (IL)-10) in intrauterine infection and enzyme gene (CYP1A1) in oxidative stress response. Methods: This study involved a case-control study conducted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Subjects with preterm deliveries (<37 weeks of gestation) and normal controls with term deliveries (≥37 weeks of gestation) were selected from gravidas who had undergone prenatal examinations in the hospital and were followed until infant delivery. The weight, height, and blood samples of each participants were obtained according to standard protocols. We included subjects who gave birth to a singleton infant and had a gestational age between 24 and 42 weeks. Mutiple births, stillbirths, and congenital anomalies were excluded. Finally, 164 gravidas with preterm births and 305 normal controls with term deliveries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Results: Preterm delivery group and term delivery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gestational age and neonatal body weight (P<0.000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reterm birth and IFN-γ, IL-10, CYP1A1 genes (P>0.05). Conclusion: In this study, IFN-γ (874A/T), IL-10 (1082A/G), IL-10 (819C/T), IL-10 (592A/C) and CYP1A1 (T6235C), CYP1A1 (Ile462val [A/G]) genes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reterm birth.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G704-000834.2010.53.07.006
ISSN:2287-8572
2287-8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