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임과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교사, 친구애착의 매개효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방임과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애착, 교사애착, 친구애착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남녀 성별을 구분하고 그 경로를 다집단분석하여 각 대상에 따른 학교적응을 위한 개입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 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5차년도 자료에서 남자청소년 1,524명 여자청소년 1,32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집단분석을 활용하였다. 방임과 학대는 각각 남녀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애착과 교사애착, 친구애착을 통해 부분적으로...
Saved in:
Published in | 청소년복지연구 Vol. 16; no. 4; pp. 319 - 346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1.12.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705 2466-234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방임과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애착, 교사애착, 친구애착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남녀 성별을 구분하고 그 경로를 다집단분석하여 각 대상에 따른 학교적응을 위한 개입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 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5차년도 자료에서 남자청소년 1,524명 여자청소년 1,32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집단분석을 활용하였다. 방임과 학대는 각각 남녀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애착과 교사애착, 친구애착을 통해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분석결과, 방임과 학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녀 집단의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였지만 여자청소년에게 그 영향력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애착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도 여자청소년이 남자청소년보다 더 높은 매개효과를 보였지만 예외적으로 친구애착은 남자청소년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주목하여 사 회복지적 개입전략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altreatment(neglect and abuse)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we assessed gender difference in these pathways, to find intervention guidelines for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utilized the 5th wave of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ith 1,524 male and 1,320 female adolescen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Neglect and abuse directly affected school adjustment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nd parent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group analysis, the effect of neglect and abuse on school adjustment was higher in female than male adolescents. In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female adolescents had higher mediating effect. However, male was higher than female adolescents exceptionally in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intervention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youth welfare were suggested.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G704-002137.2014.16.4.003 |
ISSN: | 1229-4705 2466-23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