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옥시콜릭산에 의한 대장암 세포주 침습성의 변화

목적: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대장 내 농도가 증가하는 데 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DCA)은 대장에서 종양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의 침습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는 HT-29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데옥시콜릭산 투여 후 세포의 침습성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매개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HT-29 대장암 세포주에 데옥시콜릭산을 시간 및 농도별(0-80μM)로 처리한 후 VEGF와 HIF-1α mRNA 발현에 대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V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8; no. 1; pp. 9 - 18
Main Authors 김현수, Hyun Soo Kim, 이용규, Yong Kyu Lee, 김재우, Jae Woo Kim, 백순구, Soon Koo Baik, 권상옥, Sang Ok Kwon, 장화인, Hwa In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30.07.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Cover

Loading…
Abstract 목적: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대장 내 농도가 증가하는 데 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DCA)은 대장에서 종양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의 침습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는 HT-29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데옥시콜릭산 투여 후 세포의 침습성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매개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HT-29 대장암 세포주에 데옥시콜릭산을 시간 및 농도별(0-80μM)로 처리한 후 VEGF와 HIF-1α mRNA 발현에 대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VEGF와 MMP-9에 대한 Western blot, MMP-9의 활성화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zymography, 그리고 세포의 이동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wound-migration assay를 시행하였다. 또한 데옥시콜릭산 매개 대장암 세포주의 침습성 변화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장암 관련 신호전달 억제물질의 전처리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데옥시콜릭산은 HIF-1α mRNA의 발현, VEGF mRNA 및 단백 발현, MMP-9의 단백 발현과 효소 활성도, 세포의 이동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데옥시콜릭산 자극 후 VEGF 단백 발현의 증가는 COX-2의 선택적 억제제인 NS-398, NF-κB 억제제인 PDTC, 그리고 TUDC의 전처치로 억제되었다. 또한 데옥시콜릭산 유도 MMP-9의 효소 활성화는 p38 MAPK 억제제인 SB203580, ERK 억제제인 U0126, 그리고 PDTC의 전처리로 억제되었으며 데옥시콜릭산에 의한 세포 이동성 증가는 protein kinase C의 억제제인 GF109203X의 전처리로 감소되었다. 결론: 데옥시콜릭산은 대장암 세포주에서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를 통하여 세포의 침습성과 혈관 형성의 잠재능을 의미 있게 증가시킴으로써 대장암의 발생 촉진뿐만 아니라 대장암의 침습과 전이를 촉진할 수 있다. Background/Aims: Deoxycholic acid (DCA), a secondary bile acid, has been implicated to promote colon cancer growth and progression. However, its molecular mechanisms are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CA o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veness of colon cancer cells (HT-29). Methods: HT-29 cells were incubated with either medium (control) only or DCA for 24-48 hours. Time courses of RT-PCR f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hypoxia-inducible factor (HIF)-1α mRNA expression, Western blotting for VEGF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zymography for MMP-9 activation, and wound-migration assay were determined after various concentrations of DCA (0-80μM) treatment. Moreover, these experiments were reassessed after pretreatments (2-6 hours) with specific inhibitors of various signal pathways. Results: DCA enhanced HIF-1α mRNA expression, VEGF mRNA and VEGF protein expression, MMP-9 protein expression/activation, and cell migration ability in a dose-related manner. DCA-induced VEGF protein expression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NS-398 (COX-2 inhibitor), PDTC (NF-κB inhibitor), or tauroursodeoxycholic acid (TUDC). DCA-induced cell migration ability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GF109203X, a protein kinase C inhibitor. DCA-induced MMP-9 protein expression/activation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SB203580, U0126, or PDTC. Conclusions: DCA significantly upregulates invasive and angiogenic potentials of human colon cancer cells through multipl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9-18)
AbstractList 목적: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대장 내 농도가 증가하는 데 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DCA)은 대장에서 종양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의 침습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는 HT-29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데옥시콜릭산 투여 후 세포의 침습성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매개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HT-29 대장암 세포주에 데옥시콜릭산을 시간 및 농도별(0-80μM)로 처리한 후 VEGF와 HIF-1α mRNA 발현에 대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VEGF와 MMP-9에 대한 Western blot, MMP-9의 활성화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zymography, 그리고 세포의 이동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wound-migration assay를 시행하였다. 또한 데옥시콜릭산 매개 대장암 세포주의 침습성 변화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장암 관련 신호전달 억제물질의 전처리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데옥시콜릭산은 HIF-1α mRNA의 발현, VEGF mRNA 및 단백 발현, MMP-9의 단백 발현과 효소 활성도, 세포의 이동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데옥시콜릭산 자극 후 VEGF 단백 발현의 증가는 COX-2의 선택적 억제제인 NS-398, NF-κB 억제제인 PDTC, 그리고 TUDC의 전처치로 억제되었다. 또한 데옥시콜릭산 유도 MMP-9의 효소 활성화는 p38 MAPK 억제제인 SB203580, ERK 억제제인 U0126, 그리고 PDTC의 전처리로 억제되었으며 데옥시콜릭산에 의한 세포 이동성 증가는 protein kinase C의 억제제인 GF109203X의 전처리로 감소되었다. 결론: 데옥시콜릭산은 대장암 세포주에서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를 통하여 세포의 침습성과 혈관 형성의 잠재능을 의미 있게 증가시킴으로써 대장암의 발생 촉진뿐만 아니라 대장암의 침습과 전이를 촉진할 수 있다. Background/Aims: Deoxycholic acid (DCA), a secondary bile acid, has been implicated to promote colon cancer growth and progression. However, its molecular mechanisms are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CA o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veness of colon cancer cells (HT-29). Methods: HT-29 cells were incubated with either medium (control) only or DCA for 24-48 hours. Time courses of RT-PCR f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hypoxia-inducible factor (HIF)-1α mRNA expression, Western blotting for VEGF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zymography for MMP-9 activation, and wound-migration assay were determined after various concentrations of DCA (0-80μM) treatment. Moreover, these experiments were reassessed after pretreatments (2-6 hours) with specific inhibitors of various signal pathways. Results: DCA enhanced HIF-1α mRNA expression, VEGF mRNA and VEGF protein expression, MMP-9 protein expression/activation, and cell migration ability in a dose-related manner. DCA-induced VEGF protein expression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NS-398 (COX-2 inhibitor), PDTC (NF-κB inhibitor), or tauroursodeoxycholic acid (TUDC). DCA-induced cell migration ability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GF109203X, a protein kinase C inhibitor. DCA-induced MMP-9 protein expression/activation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SB203580, U0126, or PDTC. Conclusions: DCA significantly upregulates invasive and angiogenic potentials of human colon cancer cells through multipl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9-18)
목적: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대장 내 농도가 증가하는 데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DCA)은 대장에서 종양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의 침습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는 HT-29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데옥시콜릭산 투여 후 세포의 침습성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매개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HT-29 대장암 세포주에 데옥시콜릭산을 시간 및 농도별(0-80μM)로 처리한 후 VEGF와 HIF-1α mRNA 발현에 대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VEGF와 MMP- 9에 대한 Western blot, MMP-9의 활성화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zymography, 그리고 세포의 이동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wound-migration assay를 시행하였다. 또한 데옥시콜릭산 매개 대장암 세포주의 침습성 변화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장암 관련 신호전달 억제물질의 전처리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데옥시콜릭산은 HIF-1α mRNA의 발현, VEGF mRNA 및 단백 발현, MMP-9의 단백 발현과 효소 활성도, 세포의 이동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데옥시콜릭산 자극 후 VEGF 단백 발현의 증가는 COX-2의 선택적 억제제인 NS-398, NF-κB 억제제인 PDTC, 그리고 TUDC의 전처치로 억제되었다. 또한 데옥시콜릭산 유도 MMP-9의 효소 활성화는 p38 MAPK 억제제인 SB203580, ERK 억제제인 U0126, 그리고 PDTC의 전처리로 억제되었으며 데옥시콜릭산에 의한 세포 이동성 증가는 protein kinase C의 억제제인 GF109203X의 전처리로 감소되었다. 결론: 데옥시콜릭산은 대장암 세포주에서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를 통하여 세포의 침습성과 혈관 형성의 잠재능을 의미 있게 증가시킴으로써 대장암의 발생 촉진뿐만 아니라 대장암의 침습과 전이를 촉진할 수 있다. Background/Aims: Deoxycholic acid (DCA), a secondary bile acid, has been implicated to promote colon cancer growth and progression. However, its molecular mechanisms are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CA o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veness of colon cancer cells (HT-29). Methods: HT-29 cells were incubated with either medium (control) only or DCA for 24-48 hours. Time courses of RT-PCR f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hypoxia-inducible factor (HIF)-1α mRNA expression, Western blotting for VEGF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zymography for MMP-9 activation, and wound- migration assay were determined after various concentrations of DCA (0-80μM) treatment. Moreover, these experiments were reassessed after pretreatments (2-6 hours) with specific inhibitors of various signal pathways. Results: DCA enhanced HIF-1α mRNA expression, VEGF mRNA and VEGF protein expression, MMP-9 protein expression/activation, and cell migration ability in a dose-related manner. DCA-induced VEGF protein expression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NS-398 (COX-2 inhibitor), PDTC (NF-κB inhibitor), or tauroursodeoxycholic acid (TUDC). DCA-induced cell migration ability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GF109203X, a protein kinase C inhibitor. DCA-induced MMP-9 protein expression/activation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SB203580, U0126, or PDTC. Conclusions: DCA significantly upregulates invasive and angiogenic potentials of human colon cancer cells through multipl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Sang Ok Kwon
장화인
이용규
김재우
권상옥
Hyun Soo Kim
Soon Koo Baik
Yong Kyu Lee
Hwa In Jang
백순구
김현수
Jae Woo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현수
– sequence: 2
  fullname: Hyun Soo Kim
– sequence: 3
  fullname: 이용규
– sequence: 4
  fullname: Yong Kyu Lee
– sequence: 5
  fullname: 김재우
– sequence: 6
  fullname: Jae Woo Kim
– sequence: 7
  fullname: 백순구
– sequence: 8
  fullname: Soon Koo Baik
– sequence: 9
  fullname: 권상옥
– sequence: 10
  fullname: Sang Ok Kwon
– sequence: 11
  fullname: 장화인
– sequence: 12
  fullname: Hwa In Ja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1284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E1LAkEcx_EhDDLzFXTZY5eF2ZnZeTiKPQlCEHsfZnUmli2N3VM3CU89UAdFA-sSRocCI4KCekX79z0k2ekLPz781lGp0-3YFVQmhFKfS65KqByESvpKKbKGqnmexHgxBDzAQRltF9czGE_hcgI_k-LpFc5nMLr14H48H0684qoHD1MYDjzof85vXuDx24OvZ7j4gP7bwnjFe29-N9hAq84c57b63wqKdnei-r7fPNhr1GtNPw0p84XDxgjqGKUtJ6QlIbfYBTjGpq1UzKyQLiZMcSuJlMKImLeN5QZLS2UbY1pBW8vbTuZ02kp01yR_PerqNNO1w6ihGSMiZAu6uaRpkuf6NEtOTHamSchCJhj9BS_GaSE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데옥시콜릭산에 의한 대장암 세포주 침습성의 변화
Modulation of Colon Cancer Cell Invasiveness Induced by Deoxycholic Acid
EISSN 2233-6869
EndPage 1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42754
2545474
GroupedDBID 5-W
8JR
9ZL
ADBBV
ALMA_UNASSIGNED_HOLDINGS
BCNDV
EF.
F5P
GROUPED_DOAJ
HZB
OK1
Q5X
8XY
ACYCR
EBD
EMOBN
SV3
ID FETCH-LOGICAL-k534-7f0aa73f433cf78e256e0f10b0ad99b4e78fb2496e82887a7b6dae6a08e38d003
ISSN 1598-9992
IngestDate Sun Jan 26 10:32:42 EST 2025
Sat Apr 26 02:22:41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1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4-7f0aa73f433cf78e256e0f10b0ad99b4e78fb2496e82887a7b6dae6a08e38d003
Notes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6.48.1.001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42754
kiss_primary_254547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60730
PublicationDateYYYYMMDD 2006-07-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7
  year: 2006
  text: 200607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PublicationTitleAlternate 대한소화기학회지
PublicationYear 2006
Publisher 대한소화기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소화기학회
SSID ssib015916101
ssib003110202
ssib059854591
ssj0064443
ssib050734789
Score 1.6450685
Snippet 목적: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대장 내 농도가 증가하는 데 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DCA)은 대장에서 종양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의 침습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는 HT-29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데옥시콜릭산 투여 후...
목적: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대장 내 농도가 증가하는 데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DCA)은 대장에서 종양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의 침습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는 HT-29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데옥시콜릭산 투여 후...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9
SubjectTerms Angiogenesis
Deoxycholic acid
HT-29 colon cancer cells
HT-29 대장암 세포주
Invasiveness
내과학
데옥시콜릭산
침습성
혈관 신생
Title 데옥시콜릭산에 의한 대장암 세포주 침습성의 변화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54547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12846
Volume 4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소화기학회지, 2006, 48(1), , pp.9-1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Gp34oJAAzE-piDhUxWULE5iH5M2U6GMUxG7RflwqqmiQV17GAc0oZ34EBw2MaTCBQ1xAGkIIYEE_4V7vf_As5u0HewAXNxX-_k95z3n-b3YeUHoWmo61OTU1mmaEJ1YLtdhHY_1lYjZRkITM1LPIdduO8075Oa6vV6p_Jw7tTQcxNeTBye-V_I_WoU60Kt8S_YfNDslChUAg36hBA1D-Vc6xoGPaQP7Bg7qmFHs2RKgPmZ1CfgNBfjYc7DXUE0rJbKLmVFTUEP2DKC0AbumSNbl-QfZFhQkZRtR6JRgX6HTVewpLp6F_bpq8xn2qELysG-X2OaUiyLuW4o4_Gd48uHh0jeWM7aV98utgcJN7kSbg34uM4f2j-0A4MCTDAtaVLKSDClm08O5za0hGK88r7U27s26qcH4Cpt52GOKEIijPjOAvU6ttTWs3eL894cibrm_I6fxnKwK8akhOLKyvEBFnSqpT3CYAjzAmV8PGKwHjB1bMAj948aYWH82W1SnRx0hALeJS6qoapnSDq89DObsKbh3s_RrwAz8b2Nqb4E3dGbTI0vguk5eGCkHBW4ERBmb4Bb1-tmcW9Q-g04X8YzmTSbnWVTp5ouoMX52KPYPxJOR-DEav_soHh2Kly808Xr_aG-kjZ9uizcHYm9XEztfj55_EG-_a-Lbe_H4i9j5BDja-PP20avdc6i9GrTrTb34XIfetS2iu5kRRa6VEctKMpdy8KW5kZlGbEQpYzHhLs1iCPYdDkE-dSM3dtKIO5FBuUVTEMZ5tNDLe_wC0rhKY-hyK7MTEnOTpUbsMJqaMZXZNM0ltCivO7w_ScgSFjJeQldBDmE32Qhl0nT528nDbj-E0PBGSMiKa5OLJ3e9hE7NptFltDDoD_kV8DYH8TKq2vrdZaW4X2E4bZ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D%B0%EC%98%A5%EC%8B%9C%EC%BD%9C%EB%A6%AD%EC%82%B0%EC%97%90+%EC%9D%98%ED%95%9C+%EB%8C%80%EC%9E%A5%EC%95%94+%EC%84%B8%ED%8F%AC%EC%A3%BC+%EC%B9%A8%EC%8A%B5%EC%84%B1%EC%9D%98+%EB%B3%80%ED%99%94&rft.jtitle=The+Korean+journal+of+gastroenterology&rft.au=%EA%B9%80%ED%98%84%EC%88%98&rft.au=Hyun+Soo+Kim&rft.au=%EC%9D%B4%EC%9A%A9%EA%B7%9C&rft.au=Yong+Kyu+Lee&rft.date=2006-07-30&rft.pub=%EB%8C%80%ED%95%9C%EC%86%8C%ED%99%94%EA%B8%B0%ED%95%99%ED%9A%8C&rft.issn=1598-9992&rft.volume=48&rft.issue=1&rft.spage=9&rft.externalDocID=254547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999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999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999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