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임신 및 임신성 당뇨임신의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관한 연구

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의 비교를 통해 자궁내 환경의 차이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35주 이후에 분만한 정상 산모군 204명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산모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204명의 산모 중에서 118명은 식이조절만으로 혈당을 조절하였고, 나머지 86명은 임신 기간 동안 인슐린을 투여 받았다. 분만 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 54; no. 9; pp. 485 - 491
Main Authors 조아라, Ah Ra Cho, 김영주, Young Ju Kim, 전선희, Sun Hee Chun, 조수진, Su Jin Cho, 박은애, Eun Ae Park, 박미혜, Mi Hye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산부인과학회 15.09.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8572
2287-8580

Cover

Abstract 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의 비교를 통해 자궁내 환경의 차이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35주 이후에 분만한 정상 산모군 204명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산모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204명의 산모 중에서 118명은 식이조절만으로 혈당을 조절하였고, 나머지 86명은 임신 기간 동안 인슐린을 투여 받았다. 분만 시 제대정맥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 후, 효소면역측정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사용하여 제대혈액내 adiponecti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정상임신군에 비해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임신군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 = 0.02).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 모두에서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남아에 비해 여아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P = 0.04, P = 0.03). 정상임신군에서 임신 주수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2374, P = 0.0129). 출생 시 주수와 성별을 보정한 경우, 정상 임신군에서 출생 시 체중과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P > 0.05). 임신성 당뇨를 진단받았던 임신군에서, 식이 조절만으로 혈당을 관리한 군과 인슐린 치료를 받은 군의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가 정상임신 및 임신성 당뇨임신군 사이에서 차이를 보이고, 성별 간 두형태성을 나타내는 것은 이들의 자궁내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임신성 당뇨임신군 및 여아에서 높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를 보이는 것은, 이들의 증가된 지방 축적도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uterine environment on adiponectin level in cord blood through comparison of normal pregnancy group and gestational diabetes group.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included women with: normal pregnancy (n = 204); and patients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n = 204). Among GDM patients, 118 were managed with diet alone and 86 were insulin requiring.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t birth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GDM treatment pregnancies compared with normal pregnancies (P = 0.02).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female compared with male fetuses both normal and gestational diabetes pregnancies (P = 0.04, P = 0.03). In normal pregnancie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stational age (r = 0.2374, P < 0.02). In normal pregnancie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did not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r = -0.05, P > 0.05).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only diet treated women and insulin requiring women in GDM (P > 0.05). Conclusion: Sex dimorphism for adiponectin and the change of adiponectin in GDM off springs, first appear in utero. Higher adiponectin levels in females or GDM off springs reflect increased adiposity of the fetuses.
AbstractList 목적이번 연구의 목적은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의 비교를 통해 자궁내 환경의 차이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35주 이후에 분만한 정상 산모군 204명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산모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204명의 산모 중에서 118명은 식이조절만으로 혈당을 조절하였고, 나머지 86명은 임신 기간 동안 인슐린을 투여 받았다. 분만 시 제대정맥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 후, 효소면역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사용하여 제대혈액내 adiponecti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정상임신군에 비해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임신군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 = 0.02). 정상임신군과임신성 당뇨임신군 모두에서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남아에 비해 여아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P = 0.04, P = 0.03). 정상임신군에서 임신 주수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2374, P = 0.0129). 출생 시 주수와 성별을 보정한 경우, 정상임신군에서 출생 시 체중과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P > 0.05). 임신성 당뇨를 진단받았던 임신군에서, 식이조절만으로 혈당을 관리한 군과 인슐린 치료를 받은 군의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가 정상임신 및 임신성 당뇨임신군 사이에서 차이를 보이고, 성별 간 두형태성을 나타내는 것은 이들의 자궁내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임신성 당뇨임신군 및 여아에서 높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를 보이는 것은, 이들의 증가된 지방축적도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uterine environment on adiponectin level in cord blood through comparison of normal pregnancy group and gestational diabetes group.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included women with: normal pregnancy (n = 204); and patients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n = 204). Among GDM patients, 118 were managed with diet alone and 86 were insulin requiring.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t birth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GDM treatment pregnancies compared with normal pregnancies (P = 0.02).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female compared with male fetuses both normal and gestational diabetes pregnancies (P = 0.04, P = 0.03). In normal pregnancie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stational age (r = 0.2374, P < 0.02). In normal pregnancie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did not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r = -0.05, P > 0.05).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only diet treated women and insulin requiring women in GDM (P > 0.05). Conclusion Sex dimorphism for adiponectin and the change of adiponectin in GDM offsprings, fi rst appear in utero. Higher adiponectin levels in females or GDM offsprings refl ect increased adiposity of the fetuses. KCI Citation Count: 0
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의 비교를 통해 자궁내 환경의 차이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35주 이후에 분만한 정상 산모군 204명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산모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204명의 산모 중에서 118명은 식이조절만으로 혈당을 조절하였고, 나머지 86명은 임신 기간 동안 인슐린을 투여 받았다. 분만 시 제대정맥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 후, 효소면역측정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사용하여 제대혈액내 adiponecti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정상임신군에 비해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임신군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 = 0.02).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 모두에서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남아에 비해 여아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P = 0.04, P = 0.03). 정상임신군에서 임신 주수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2374, P = 0.0129). 출생 시 주수와 성별을 보정한 경우, 정상 임신군에서 출생 시 체중과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P > 0.05). 임신성 당뇨를 진단받았던 임신군에서, 식이 조절만으로 혈당을 관리한 군과 인슐린 치료를 받은 군의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가 정상임신 및 임신성 당뇨임신군 사이에서 차이를 보이고, 성별 간 두형태성을 나타내는 것은 이들의 자궁내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임신성 당뇨임신군 및 여아에서 높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를 보이는 것은, 이들의 증가된 지방 축적도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uterine environment on adiponectin level in cord blood through comparison of normal pregnancy group and gestational diabetes group.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included women with: normal pregnancy (n = 204); and patients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n = 204). Among GDM patients, 118 were managed with diet alone and 86 were insulin requiring.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t birth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GDM treatment pregnancies compared with normal pregnancies (P = 0.02).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female compared with male fetuses both normal and gestational diabetes pregnancies (P = 0.04, P = 0.03). In normal pregnancie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stational age (r = 0.2374, P < 0.02). In normal pregnancie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did not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r = -0.05, P > 0.05).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only diet treated women and insulin requiring women in GDM (P > 0.05). Conclusion: Sex dimorphism for adiponectin and the change of adiponectin in GDM off springs, first appear in utero. Higher adiponectin levels in females or GDM off springs reflect increased adiposity of the fetuses.
Author 박미혜
조아라
조수진
Mi Hye Park
Ah Ra Cho
전선희
Su Jin Cho
Young Ju Kim
Sun Hee Chun
김영주
Eun Ae Park
박은애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조아라
– sequence: 2
  fullname: Ah Ra Cho
– sequence: 3
  fullname: 김영주
– sequence: 4
  fullname: Young Ju Kim
– sequence: 5
  fullname: 전선희
– sequence: 6
  fullname: Sun Hee Chun
– sequence: 7
  fullname: 조수진
– sequence: 8
  fullname: Su Jin Cho
– sequence: 9
  fullname: 박은애
– sequence: 10
  fullname: Eun Ae Park
– sequence: 11
  fullname: 박미혜
– sequence: 12
  fullname: Mi Hye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8633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U9LAkEAxYcwyMxP0GWOXRZm548zV5H-CEIQ3joMszO7sW2tstulm5VUoGEX0YOFxw4dDOzQV3LG75Ck9C6_9-Dx3i4opK003AJFjAX3BBOo8O853gHlPL9EKwnmC0GL4NxNh-7hzr13XW8K7WwA19Z1v6Dt_dinj01-G0M3ndh-Zzl-tvdzqEzcXj3pmziF9vHFDrpu9AoX885yOIFuNFt8f-6B7Uhd5WF5wxJoHh02ayde4_S4Xqs2vIQR4gXC18boCKkwYJREAcNMCc2IjznDJFJGKWSEEdzHzPcDU-GMYo0p11RQo0gJHKxn0yySiY5lS8V_vGjJJJPVs2ZdckYwIqvq_rqaxHku21l8rbJbSRBDuELJL_Gvcx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Medicine
DocumentTitleAlternate 정상임신 및 임신성 당뇨임신의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관한 연구
CONCENTRATION OF CORD SERUM ADIPONECTIN IN NORMAL AND GESTATIONAL DIABETIC PREGNANCIES
EISSN 2287-8580
EndPage 49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753203
3050264
GroupedDBID ACYCR
ADBBV
ALMA_UNASSIGNED_HOLDINGS
BCNDV
GROUPED_DOAJ
HZB
PGMZT
Q5X
5-W
8JR
8XY
ADRAZ
AOIJS
BAWUL
DIK
EF.
HYE
KQ8
M48
RPM
ID FETCH-LOGICAL-k533-b81cddcf0aeb543fb525a8c53127523fadaa0d8d8712511bd67542c247c484da3
ISSN 2287-8572
IngestDate Sun Mar 09 07:54:11 EDT 2025
Fri Jul 04 02:36:44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9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3-b81cddcf0aeb543fb525a8c53127523fadaa0d8d8712511bd67542c247c484da3
Notes The Kore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G704-000834.2011.54.09.013
PageCount 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753203
kiss_primary_305026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10915
PublicationDateYYYYMMDD 2011-09-15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1
  text: 20110915
  day: 15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PublicationTitleAlternat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PublicationYear 2011
Publisher 대한산부인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산부인과학회
SSID ssj0000851884
ssib050736288
Score 1.7727594
Snippet 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의 비교를 통해 자궁내 환경의 차이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35주 이후에 분만한...
목적이번 연구의 목적은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의 비교를 통해 자궁내 환경의 차이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35주 이후에 분만한 정상...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485
SubjectTerms 산부인과학
성별 간 두형태성
임신성 당뇨
제대혈내 adiponectin
지방축적도 Cord serum adiponect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Sex characteristics; Adiposity
Title 정상임신 및 임신성 당뇨임신의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관한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05026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86336
Volume 5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11, 54(09), 591, pp.485-491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xNBdGh7EC-iVrH1gxWcU9iyH7PZmePuJqEK1UuEgmDY2U1KCSQlTQ96qhpUqFIvpT1UydGDhwr14F_qbv-Dbz42Hxqhelle3jzevHlvMvPeY2YeQg9ScKETXySqwL81CUmYyTiJTZ6kNOVl1_W5SOivPS6vPiWP1r31ufnnE6eWdvp8JXk5817J_1gVcGBXcUv2Hyw7YgoIgMG-8AULw_dCNsbVCAcWZp4AqAteoQBYFVMiMSG0lnA1xKGFaa30Z6MECA5tSQWokEnAxwGdTc0qmNFS0XEkqSNxXKIqGjClEuPgkJTidHOr2xELakexL2NakUBNc2U-ZkLAAMgLHh5wLelGEFu0eVg_EKmd6CccpqaoLLAtJ-7GC-hEPSWl9_NiFkkxbckmEpxFr6EYQhiNSQIxaKpIqFZh4E6RyMFqRRCpiIrgEkQzOwIdMKm9wMeqMF2RVhF5Ymaqi6XyjzCtPk8qNJLqs6TZyoVgIDKVogrBCmImgQA4jJdzB2JTk3qqUNFKcxKnalnpLYSoEkbaGyGqltn0Q-G_beBTT4W3k83GRrfR7jUgIHrY8EXhD3cezbv2ZMIBVlsIBFxRa3qUkRTON5Ulukeigp8CYcw2-F2dXmvC76pfRVd0wGQEavZfQ3Pt7nV0aU0fCVlEz_LhQf7mVf5lkO8Njexk31BgPvhuZHs_s3df9e_PR0Y-PM4-7J4fvc9enxoT09PI3n7M9gf54Sfj7HT3_ODYyA9Pzn58u4HqtWo9WjV1xRCzDWGLyamdpGnSsuIm94jb4p7jxTSBbcbxPcdtxWkcW7AGUV-49TZPy6L-c-IQPyGUpLF7Ey10oOdbyIBIoMlJ0wWHgRPQYOzw1GslsQMBQ2z77hJaFJppbKk3YRqwbVoQWyyh-6ApaYS_GmP5AjS30eXxpLyDFvq9neZd8H77_J404i-LAJRD
linkProvider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0%95%EC%83%81%EC%9E%84%EC%8B%A0+%EB%B0%8F+%EC%9E%84%EC%8B%A0%EC%84%B1+%EB%8B%B9%EB%87%A8%EC%9E%84%EC%8B%A0%EC%9D%98+%EC%A0%9C%EB%8C%80%ED%98%88%EB%82%B4+adiponectin+%EB%86%8D%EB%8F%84%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Obstetrics+%26+gynecology+science&rft.au=%EC%A1%B0%EC%95%84%EB%9D%BC&rft.au=%EA%B9%80%EC%98%81%EC%A3%BC&rft.au=%EC%A0%84%EC%84%A0%ED%9D%AC&rft.au=%EC%A1%B0%EC%88%98%EC%A7%84&rft.date=2011-09-15&rft.pub=%EB%8C%80%ED%95%9C%EC%82%B0%EB%B6%80%EC%9D%B8%EA%B3%BC%ED%95%99%ED%9A%8C&rft.issn=2287-8572&rft.eissn=2287-8580&rft.spage=485&rft.epage=49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75320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7-857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7-857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7-857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