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성과상여금만족도가 보수만족,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공무원의 성과상여금에 대한 만족도가 보수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과상여금제도의 수용성, 효과성, 성과급 전제충족성, 공정성에 대한 공무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공무원들은 성과상여금제도 자체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지만 성과상여금 결정을 위한 기준, 방법 그리고 그 결과 등과 같은 운영적 측면에 대해서는 상당한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상여금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 17; no. 2; pp. 139 - 166
Main Authors 이희태, Hee Tae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거버넌스학회 30.08.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1274
DOI10.17089/kgr.2010.17.2.00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공무원의 성과상여금에 대한 만족도가 보수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과상여금제도의 수용성, 효과성, 성과급 전제충족성, 공정성에 대한 공무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공무원들은 성과상여금제도 자체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지만 성과상여금 결정을 위한 기준, 방법 그리고 그 결과 등과 같은 운영적 측면에 대해서는 상당한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상여금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공정성, 효과성, 보수만족, 전제충족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종, 인구통계학적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과상여금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성과상여금 결정을 위한 기준과 방법의 합리성 제고, 결정과정의 민주성 및 합리성 제고, 성과에 비례한 성과급 지급 등 공정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과상여금만족은 보수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조직몰입, 직무만족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직종,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제한 결과 직종은 보수만족과 직무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통계적 변수의 경우는 학력만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 다른 차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effect of public officials`` pay-for-performance satisfaction upon wag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ay-for-performance program acceptability, effectiveness, premise fulfillment, fairness, pay-for-performance satisfaction, wag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overall reaction of public officials to pay-for-performance program management. As a result, in general public officials have had a positive reaction to the basic elements of pay-for-performance program, but a highly negative reaction has been shown on the matters of managing the program. Although they agree with the program itself, they have a considerable dissatisfaction in managing the program including the standard method and result of determining the pay-for-performance. Regression analysis in verifying the factors affecting pay-for-performance satisfaction demonstrates that a positive effect is given to fairness, effectiveness, salary satisfaction and prerequisite satisfaction in the order named, but an occupational category and demographic factor have no significant impact. Most of all, efforts to improve standard and method in determining the pay-for-performance, to make democratic and rationalistic process, and to pay the actual amount in proportion to performance are essential. And, the pay-for-performance satisfaction gives the most serious effect on wage satisfaction, which is follow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when occupational category and demographical factors are applied, occupation makes a significant effect on wag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but no significant effect is give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demographical factors, the level of education only has a meaningful effect, and other factors have no significant effect statistically.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G704-001707.2010.17.2.011
ISSN:1738-1274
DOI:10.17089/kgr.2010.17.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