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조부모 이미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본 연구는 조부모에 대한 아동의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척도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아동들의 조부모에 대한 이미지에 관하여 서울, 경기, 충북, 전남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1~6학년에 재학 중인 30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전문가 의견조사, 아동의 면담 자료를 토대로 추출된 아동의 조부모 이미지는 101개 항목으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전문가로부터 검증과정을 통하여 53개 문항의 아동의 조부모 이미지 척도 시안으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16; no. 4; pp. 421 - 442
Main Authors 양진희, Jin Hee Y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0.11.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조부모에 대한 아동의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척도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아동들의 조부모에 대한 이미지에 관하여 서울, 경기, 충북, 전남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1~6학년에 재학 중인 30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전문가 의견조사, 아동의 면담 자료를 토대로 추출된 아동의 조부모 이미지는 101개 항목으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전문가로부터 검증과정을 통하여 53개 문항의 아동의 조부모 이미지 척도 시안으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내용 타당도 검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40개 문항의 척도로 개발되었다. 최종 시안은 서울, 경기, 충북, 전남 지역 824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평가도구의 타당화 연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6개요인의 40문항이 척도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항 반응분포, 문항 변별도, 내용 타당도, 요인분석, 문항의 내적일치도 등 검증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alidate an instrument for measuring children`s images about their grandparents. The preliminary survey was performed for 300 children in the areas of Seoul, Gyungi, Chungbuk, and Jeonnam.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children`s image about their grandparents, and on opinions gathered from group interviews for children`s feelings and thoughts about their grandparents, 101 items were gathered. From these, 53 questions through a face validity test were composed. 40 question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then developed. The main survey which included 40 questions was conducted with 824 children in Seoul, Gyungi, Chugbuk, and Jeonnam. Finally,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into 40 questions of 6 sub-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is instrument for measuring children`s images about their grandfathers is a reliable and valid test tool with regard to questions` distribution and discrimination,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validity.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G704-SER000000779.2013.16.4.002
ISSN:1229-0858
2384-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