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구단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의 인과관계: S구단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축구구단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인 브랜드인지도, 브랜드태도, 지각된품질, 지각된가치, 브랜드만족 그리고 브랜드이미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삼성하우젠 K-리그 2004』관중 가운데 S구단의 관중 264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수집한 자료 중 연구에 적절치 않은 21부를 제외한 243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0.0과 AMOS 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자료처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인지도는 브랜드만족에 유의한...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16; no. 1; pp. 65 - 7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0.03.2005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Cover
Summary: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축구구단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인 브랜드인지도, 브랜드태도, 지각된품질, 지각된가치, 브랜드만족 그리고 브랜드이미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삼성하우젠 K-리그 2004』관중 가운데 S구단의 관중 264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수집한 자료 중 연구에 적절치 않은 21부를 제외한 243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0.0과 AMOS 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자료처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인지도는 브랜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태도는 브랜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품질은 브랜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가치는 브랜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인지도는 브랜드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브랜드태도는 브랜드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각된품질은 브랜드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지각된가치는 브랜드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브랜드만족은 브랜드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brand awareness, attitude toward the brand, perceived quality, perceived value,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image. Subjects (N = 264) were spectators selected from `Samsung Hauzen K-League 2004`. The data were conducted by SPSSWIN Ver. 10 and AMOS 4.0 in order to examine the hypothesis (H1 - H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rand awareness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satisfaction. Second, the attitude toward the brand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satisfaction. Third, the perceived quality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satisfaction. Forth, the perceived valu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satisfaction. Fifth, the brand awareness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image. Sixth, the attitude toward the brand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image. Seventh, the perceived quality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image. Eighth, the perceived valu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image. Ninth, the brand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image. |
---|---|
Bibliography: | G704-000739.2005.16.1.010 |
ISSN: | 1598-2920 2233-79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