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의미"

본 논문은 김춘수의 후기시편들이 집중하고 있는 `무의미`를 주제로 무의미시의 담론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춘수가 논의한 `무의미시`란 역사나 현실에 대한 허무의식의 표출의 일환으로 의미나 대상의 형상화를 의도하지 않는 시작과정을 말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무의미시의 전략은 오히려 수많은 역사적·시대적 함의를 생산하는 효과를 낳는다. 김춘수에게서 드러나는 `무의미`는 `의미의 부재`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이고 권력적인 이데올로기에 의해 고정되는 `의미`를 해체함으로써 이와는 구별되는 `또 다른 의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학연구 Vol. 17; pp. 93 - 112
Main Authors 임경섭, Kyung Seop L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0.06.2010
인문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5485
2671-8847

Cover

Abstract 본 논문은 김춘수의 후기시편들이 집중하고 있는 `무의미`를 주제로 무의미시의 담론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춘수가 논의한 `무의미시`란 역사나 현실에 대한 허무의식의 표출의 일환으로 의미나 대상의 형상화를 의도하지 않는 시작과정을 말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무의미시의 전략은 오히려 수많은 역사적·시대적 함의를 생산하는 효과를 낳는다. 김춘수에게서 드러나는 `무의미`는 `의미의 부재`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이고 권력적인 이데올로기에 의해 고정되는 `의미`를 해체함으로써 이와는 구별되는 `또 다른 의미`를 재생산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무의미`는 의미의 포기가 아니라 언어가 하나의 고정점에 도달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양함으로써 무의미의 순환이라는 구조적인 층위에서의 의미를 겨냥하게 된다. 그것은 한 대상에 고착되지 않는 언어의 의미, 즉 언어와 대상의 간극 사이에 자리하는 실재적 대상을 향한 끊임없는 갈구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iscourse effect of nonsense poems focusing on `nonsense` that Kim Chun Soo`s latter poetry concentrates on. His `nonsense` poetry means the writing process, which does not intend to figure meaning and objects to present the nihility about history and the actual. But ironically, this strategy of `nonsense` results in producing variou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implications. His `nonsense` does not mean the absence of meaning but another meaning reproduced by deconstructing the meaning fixed by political and ideological power. This is not the abandon of meaning but targetting the circulation of `nonsense`, the meaning in the level of structure through sublating actively one final meaning. It is embodied in the thirsty to the reality in which exists the distance between language and subject exists.
AbstractList 본 논문은 김춘수의 후기시편들이 집중하고 있는 `무의미`를 주제로 무의미시의 담론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춘수가 논의한 `무의미시`란 역사나 현실에 대한 허무의식의 표출의 일환으로 의미나 대상의 형상화를 의도하지 않는 시작과정을 말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무의미시의 전략은 오히려 수많은 역사적·시대적 함의를 생산하는 효과를 낳는다. 김춘수에게서 드러나는 `무의미`는 `의미의 부재`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이고 권력적인 이데올로기에 의해 고정되는 `의미`를 해체함으로써 이와는 구별되는 `또 다른 의미`를 재생산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무의미`는 의미의 포기가 아니라 언어가 하나의 고정점에 도달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양함으로써 무의미의 순환이라는 구조적인 층위에서의 의미를 겨냥하게 된다. 그것은 한 대상에 고착되지 않는 언어의 의미, 즉 언어와 대상의 간극 사이에 자리하는 실재적 대상을 향한 끊임없는 갈구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iscourse effect of nonsense poems focusing on `nonsense` that Kim Chun Soo`s latter poetry concentrates on. His `nonsense` poetry means the writing process, which does not intend to figure meaning and objects to present the nihility about history and the actual. But ironically, this strategy of `nonsense` results in producing variou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implications. His `nonsense` does not mean the absence of meaning but another meaning reproduced by deconstructing the meaning fixed by political and ideological power. This is not the abandon of meaning but targetting the circulation of `nonsense`, the meaning in the level of structure through sublating actively one final meaning. It is embodied in the thirsty to the reality in which exists the distance between language and subject exists.
본 논문은 김춘수의 후기시편들이 집중하고 있는 ‘무의미’를 주제로 무의미시의담론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춘수가 논의한 ‘무의미시’란역사나 현실에 대한 허무의식의 표출의 일환으로 의미나 대상의 형상화를 의도하지않는 시작과정을 말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무의미시의 전략은 오히려 수많은 역사적․시대적 함의를 생산하는 효과를 낳는다. 김춘수에게서 드러나는 ‘무의미’는 ‘의미의 부재’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이고 권력적인 이데올로기에 의해 고정되는 ‘의미’를 해체함으로써 이와는 구별되는 ‘또 다른 의미’를 재생산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무의미’는 의미의 포기가 아니라 언어가 하나의 고정점에 도달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양함으로써 무의미의 순환이라는 구조적인 층위에서의 의미를 겨냥하게 된다. 그것은 한 대상에 고착되지 않는 언어의 의미, 즉 언어와 대상의 간극 사이에 자리하는 실재적 대상을 향한 끊임없는 갈구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iscourse effect of nonsense poems focusing on 'nonsense' that Kim Chun Soo's latter poetry concentrates on. His 'nonsense' poetry means the writing process,which does not intend to figure meaning and objects to present the nihility about history and the actual. But ironically, this strategy of 'nonsense' results in producing variou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implications. His 'nonsense' does not mean the absence of meaning but another meaning reproduced by deconstructing the meaning fixed by political and ideological power. This is not the abandon of meaning but targetting the circulation of 'nonsense', the meaning in the level of structure through sublating actively one final meaning. It is embodied in the thirsty to the reality in which exists the distance between language and subject exists. KCI Citation Count: 2
Author Kyung Seop Lim
임경섭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임경섭
– sequence: 2
  fullname: Kyung Seop L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3637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btKxEAYhQdZwbjuE9iErWwCmX-uKZfFy8KCoNsPM_4ZCdFEkspu0Ua0sRA2hb6BYCOir2TiOxhcm_MV5-OcbTIoyiLdIAFIRSOtuRqQgAIkkeBabJFRXWcujhPQDEAHBL6_lt1H09013UsTtq_vPdq3z-7huVs9hu1N83O77LO9fwrH62q8Qza9vajT0T-H5PRgfzE9iubHh7PpZB7lgkHEkXFLJUovgDEJLo2pc2gREwpecekQLcSeS6ucYGiV91yg8uipwoQNyd56tai8yc8yU9rsj-elySszOVnMTP-jOPTq7lrNs7o2V1V2aatrA5pzTSn7BWCVXEM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의미"
The Meaning of Kim Chun Soo's Nonsense Poetly
EISSN 2671-8847
EndPage 11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32742
2844811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32-4d34a16d6f523362be01bbdadd912f746bdda20f46a7b53da7ff45d7fdf17d93
ISSN 1229-5485
IngestDate Sun Jul 27 03:10:58 EDT 2025
Wed Sep 03 04:02:05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2-4d34a16d6f523362be01bbdadd912f746bdda20f46a7b53da7ff45d7fdf17d93
Notes Institute of Humanities Kyunghee University
G704-SER000012891.2010..17.007
PageCount 1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32742
kiss_primary_284481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0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0-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10
  text: 2010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인문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인문학연구
PublicationYear 2010
Publisher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name: 인문학연구원
SSID ssib009283228
ssib044739814
ssib001150071
ssib022231532
Score 1.4387051
Snippet 본 논문은 김춘수의 후기시편들이 집중하고 있는 `무의미`를 주제로 무의미시의 담론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춘수가 논의한 `무의미시`란 역사나 현실에 대한 허무의식의 표출의 일환으로 의미나 대상의 형상화를 의도하지 않는 시작과정을 말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본 논문은 김춘수의 후기시편들이 집중하고 있는 ‘무의미’를 주제로 무의미시의담론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춘수가 논의한 ‘무의미시’란역사나 현실에 대한 허무의식의 표출의 일환으로 의미나 대상의 형상화를 의도하지않는 시작과정을 말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93
SubjectTerms exist
infinitude
Kim Chun Soo
meaning
nonsense poetry
기타인문학
김춘수
무의미시
무한성
의미
존재
Title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의미"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84481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36370
Volume 1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인문학연구, 2010, 0(17), , pp.93-11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jtMw0Cp74oJAC2J5qazwCQUlfsT2sWmz2gUtFxZpb1EcxwhValfd9gAHtIILggsHJCoEf4DEBaHll2j5B8ZO2gbUA8vFsWac8UzGsmfszBihO6LIc6aN215SNmDShoEsqA1iG2nwQMKC-q2B_Yfx7mN2_5AftlofG38tTcb6XvF8bVzJ_2gVYKBXFyV7Bs0uiQIA6qBfKEHDUP6TjnHawYlyPyukXZzEWElXkbKuqB5U7uI0wR1AsyXIQ3ZwUrVOsOp6lMAq9K0l8Y16WFJPewmBSgcrBsOFrCFWRf4uLN26QSIX_XuKimOl6t6S0PPP8Sr9o8ekWDKPITjpeRYZXmWNfPBs4nKIl8MjF5zV3LRw5-3x4vzFDbMGkZ7jBbhwInS9UEtePAte8jMw7CHw5cLGpE6ICsAz43_M-qIxbVeXNP6VeBsWbiZd2Pg5GrkZdP9FujI0wY5uGtLK3fi0cuQYE1RJn1h-2Tms-eASHIMNMxjZhg1zcBFdqJ2PdqcaSZdQqz_cROTnj5P59-n89XT-edqeffkGj9nX0_nbT_MP79qzl9Nfr06gnL15396uUNuX0aOd9KC7G9Q3aQR9TknADGV5FJvYckLBYtFlGGltYGlTEbGCxdqYnISWxbnQnJpcWMu4EdbYSBhFr6CNwXBQXkXtQlhmeKzDqGSMaKoM5TKPShUbUpCQb6FNJ2R2VKVKyepvuIVug9BZv3iauXTm7vlkmPVHGThtexmwKBi5tv7V6-j8agDdQBvj0aS8CXbgWN_yKvkNp_RCp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9%80%EC%B6%98%EC%88%98%EC%9D%98+%EB%AC%B4%EC%9D%98%EB%AF%B8%EC%8B%9C%EC%97%90+%EB%82%98%ED%83%80%EB%82%98%EB%8A%94+%22%EC%9D%98%EB%AF%B8%22&rft.jtitle=%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rft.au=%EC%9E%84%EA%B2%BD%EC%84%AD&rft.au=Kyung+Seop+Lim&rft.date=2010-06-30&rft.pub=%EA%B2%BD%ED%9D%AC%EB%8C%80%ED%95%99%EA%B5%90+%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229-5485&rft.volume=17&rft.spage=93&rft.externalDocID=284481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548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548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548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