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선 방안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는 도덕·윤리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도덕과 내용 지식을 규정하는 기준으로서 예비 도덕·윤리 교사들의 교과 전문성을 측정하는 시험의 평가 준거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교육 기준으로서의 중요성과 현실적인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 개정되지 않은 채 적용되어 오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에서 국가안보론 과목의 삭제 및 타 과목 신설,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81) Vol. 81; pp. 207 - 237
Main Authors 김국현, Kuk Hyeo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06.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81.201106.207

Cover

Abstract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는 도덕·윤리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도덕과 내용 지식을 규정하는 기준으로서 예비 도덕·윤리 교사들의 교과 전문성을 측정하는 시험의 평가 준거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교육 기준으로서의 중요성과 현실적인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 개정되지 않은 채 적용되어 오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에서 국가안보론 과목의 삭제 및 타 과목 신설,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도덕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변화, 도덕과 배경 학문지식의 변동이 반영되고 있지 않은 결과 도덕과 기본이수과목 및 교육과정과의 불일치, 평가 문항 내용과의 부정합, 표기·표현상의 결함, 기준의 모호성과 추상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가 교육 내용 기준과 평가 준거로서 제 기능을 다하려면 평가 내용 요소를 적정화하고 기준의 포괄성 및 구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되는 것과 함께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을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와 일치시키기 위한 정책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Evaluation Content Standards for Moral Teacher Selection Test has been functioning as content standards for teacher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since 2008. But now that educational standards have several problems and limitations. It`s most problems arise from not doing reflecting changes in the Basic Completion Subject in Ethics such as exclusion of subject National Security,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goal, and structure of discipline of moral education such as an adopting ethical approach as inquiry method, an emphasizing ethical reflection and moral reasoning. In other word, that standards and other standards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And it`s some standards are stated ambiguously. As a result, it`s function as a standard is weakening. Evaluation Content Standards for Moral Teacher need to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optimizing content areas and elements and increasing it`s comprehensiveness and concretedness.
AbstractList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는 도덕·윤리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도덕과 내용 지식을 규정하는 기준으로서 예비 도덕·윤리 교사들의 교과 전문성을 측정하는 시험의 평가 준거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교육 기준으로서의 중요성과 현실적인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 개정되지 않은 채 적용되어 오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에서 국가안보론 과목의 삭제 및 타 과목 신설,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도덕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변화, 도덕과 배경 학문지식의 변동이 반영되고 있지 않은 결과 도덕과 기본이수과목 및 교육과정과의 불일치, 평가 문항 내용과의 부정합, 표기·표현상의 결함, 기준의 모호성과 추상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가 교육 내용 기준과 평가 준거로서 제 기능을 다하려면 평가 내용 요소를 적정화하고 기준의 포괄성 및 구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되는 것과 함께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을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와 일치시키기 위한 정책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Evaluation Content Standards for Moral Teacher Selection Test has been functioning as content standards for teacher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since 2008. But now that educational standards have several problems and limitations. It`s most problems arise from not doing reflecting changes in the Basic Completion Subject in Ethics such as exclusion of subject National Security,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goal, and structure of discipline of moral education such as an adopting ethical approach as inquiry method, an emphasizing ethical reflection and moral reasoning. In other word, that standards and other standards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And it`s some standards are stated ambiguously. As a result, it`s function as a standard is weakening. Evaluation Content Standards for Moral Teacher need to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optimizing content areas and elements and increasing it`s comprehensiveness and concretedness.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는 도덕․윤리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도덕과 내용 지식을 규정하는 기준으로서 예비 도덕․윤리 교사들의 교과 전문성을 측정하는 시험의 평가 준거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교육 기준으로서의 중요성과 현실적인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 개정되지 않은 채 적용되어 오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에서 국가안보론 과목의 삭제 및 타 과목 신설,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도덕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변화, 도덕과 배경 학문지식의 변동이 반영되고 있지 않은 결과 도덕과 기본이수과목 및 교육과정과의 불일치, 평가 문항 내용과의 부정합, 표기․표현상의 결함, 기준의 모호성과 추상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가 교육 내용 기준과 평가 준거로서 제 기능을 다하려면 평가 내용 요소를 적정화하고 기준의 포괄성 및 구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되는 것과 함께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을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와 일치시키기 위한 정책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Evaluation Content Standards for Moral Teacher Selection Test has been functioning as content standards for teacher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since 2008. But now that educational standards have several problems and limitations. It's most problems arise from not doing reflecting changes in the Basic Completion Subject in Ethics such as exclusion of subject National Security,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goal, and structure of discipline of moral education such as an adopting ethical approach as inquiry method, an emphasizing ethical reflection and moral reasoning. In other word, that standards and other standards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And it's some standards are stated ambiguously. As a result, it's function as a standard is weakening. Evaluation Content Standards for Moral Teacher need to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optimizing content areas and elements and increasing it's comprehensiveness and concretedness. KCI Citation Count: 2
Author 김국현
Kuk Hyeon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국현
– sequence: 2
  fullname: Kuk Hyeon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6400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1jD9Lw0AYxg-pYK39BF0yuiTee9c3d1mEUvxTKAjS_UgvF4nRVpLJTaWIBaWLRSkOrh2Ego5-oub8DgZrp9_D83t4tkllMBwYQhpAPUBJYe_ceOBJ8BgFoH4JsUGqLJDMRc6blXUGBluknudJnyJQ6QtsVsl-MRkVT9Pl57fzMxkvFzeOfb21Lx9OsZism-Luy87mjp092_tHZ7l4s6P30s_t9GGHbMbhRW7q_6yR3uFBr33sdk-OOu1W102Rgyt8DWE_EBhJZJHRTdRCRL7GOAilRgBNY146iUaaOBIUmQ9-n2o0kTQMeY3srm4HWaxSnahhmPzxbKjSTLVOex0VUEQK5bSxmqZJnqurLLkMs2vFAg4ykPwXprBoE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15801/je.1.81.201106.207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선 방안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Content Standards for Moral Teacher Selection Test
EISSN 2982-5334
EndPage 23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05501
2931898
GroupedDBID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31-76c1ab975d852dec45c77d6c5f9a8c511c0f3d8585e8efd7052616b0c5ed8e253
ISSN 2982-5121
IngestDate Tue Nov 21 21:36:55 EST 2023
Thu Jan 09 02:14:04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1-76c1ab975d852dec45c77d6c5f9a8c511c0f3d8585e8efd7052616b0c5ed8e253
Notes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11.1.81.001
PageCount 3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05501
kiss_primary_293189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1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1-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11
  text: 2011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윤리연구, 1(81)
PublicationTitleAlternate 倫理硏究
PublicationYear 2011
Publisher 한국윤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윤리학회
SSID ssib051086754
ssib051086568
Score 1.4612712
Snippet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는 도덕·윤리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도덕과 내용 지식을 규정하는 기준으로서 예비 도덕·윤리 교사들의 교과 전문성을 측정하는 시험의 평가 준거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교육 기준으로서의...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는 도덕․윤리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도덕과 내용 지식을 규정하는 기준으로서 예비 도덕․윤리 교사들의 교과 전문성을 측정하는 시험의 평가 준거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교육 기준으로서의...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07
SubjectTerms content standards
content standards for moral teacher selection test
ethics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on alignment
moral education
moral teacher
내용 기준
도덕
도덕과 교육
도덕과 교육과정
윤리교사
정합성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평가 준거
학제간연구
Title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선 방안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93189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64000
Volume 8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윤리연구, 2011, 1(81), , pp.207-23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ixMxNNT14kWUVVy_GMGcSutMO5kkFyFtp1RlPVXY2zCTSWUp20ptD3oQlUUUlF5clMWD10WEgh79Re34H3wv7bSF7UG9pG9ekpeP9_rmvUySR8jtmPtMihQ4wDk4KDF-JJSxLPHAGA1CknKNC_q7D4PWI__-HtsrFL6t7VoaDZOyfr7xXMn_cBVwwFc8JfsPnF0SBQTAwF9IgcOQ_hWPaVijokmFb4EGlYyGitaqtFYv0rBh86RFuVS4gKpTKcB2tACnqlHEipjZ3FweqFZozbflFVWyuICkRYmACmzIlpd1i_KpcnOqStrijM5D6uU2MA2bVHFLA1IXyQCgPGweAUlry-VCS1zidgwEGHQZ-4mDWB3aGXWLrWcGpPjB_sH6Iobn5TvuFmJnqzLb0yWxOj4qO4EqoKqel5EWUDDAlaqsSPATwHTx1vX6PBRMrpjnsXVPvTCYmEcqMGWvLDx7pauLO1f46v243LUIlpEnpDhDzqJgozrdfRHmyothyCq28t3sM7dR-Ja9W9x6hW3eOd0iGAXgMzwFI6c36KwZOe0L5PzCO3HUXNQukkK3v03uzsaHsw9H0x-_nN_jd9PJSyf7_Cr79N2ZTcY5Zvb6Z3Z84mTHH7M3753p5Et2-BXyT7Kjt5dIuxm2663SIuxGqQsKGf6l2osTyVkqWCU12mea8zTQrCNjocE-126nmuLnZCNMJ-V4YZAXJK5mJhWmwqqXyVav3zNXiJMayfzYBX0AhmJs0iQRCZM6DQLtV7gb75BtHHH0ZH6xSrSY4B1yC2Yg6ur9CC8_x9_H_ag7iMDFuxdJF5xq7-rmqtfIuZV4XSdbw8HI3ACrcZjctNz6A5A4US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F%84%EB%8D%95%EA%B3%BC+%ED%8F%89%EA%B0%80+%EC%98%81%EC%97%AD+%EB%B0%8F+%ED%8F%89%EA%B0%80+%EB%82%B4%EC%9A%A9+%EC%9A%94%EC%86%8C+%EA%B0%9C%EC%84%A0+%EB%B0%A9%EC%95%88&rft.jtitle=%EF%A7%94%E7%90%86%E7%A1%8F%E7%A9%B6&rft.au=%EA%B9%80%EA%B5%AD%ED%98%84&rft.au=Kuk+Hyeon+Kim&rft.date=2011-06-30&rft.pub=%ED%95%9C%EA%B5%AD%EC%9C%A4%EB%A6%AC%ED%95%99%ED%9A%8C&rft.issn=2982-5121&rft.volume=81&rft.spage=207&rft_id=info:doi/10.15801%2Fje.1.81.201106.207&rft.externalDocID=293189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982-5121&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982-5121&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982-5121&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