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에 따른 이차 사제요법의 Helicobacter pylori 제균 효과 비교
목적: 일차 제균 치료 실패 후 이차 제균요법은 국내에서 OBMT (omeprazole, bismuth, metronidazole, tetracycline) 1주 요법을 권장하고 있으나 국내의 몇몇 보고에서 이차 사제요법 1주간 제균율은 80% 내외로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 등은 효과적인 일차 제균 요법 후에도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양성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이차 사제요법(OBMT)의 기간에 따른 제균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려대학교의료원에서 2002년 2월부터...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7; no. 2; pp. 131 - 135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소화기학회
28.02.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992 2233-6869 |
Cover
Summary: | 목적: 일차 제균 치료 실패 후 이차 제균요법은 국내에서 OBMT (omeprazole, bismuth, metronidazole, tetracycline) 1주 요법을 권장하고 있으나 국내의 몇몇 보고에서 이차 사제요법 1주간 제균율은 80% 내외로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 등은 효과적인 일차 제균 요법 후에도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양성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이차 사제요법(OBMT)의 기간에 따른 제균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려대학교의료원에서 2002년 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OAC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삼제요법을 시행한 후에도 H. pylori 양성인 환자 155명을 의무기록 열람을 통하여 OBMT 재치료 사제요법 1주 또는 2주군으로 나누어 후향으로 조사하였다. 사제요법 투약 종료 4주 후에 요소호기검사와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제균판정을 하였다. 결과: 총 155명의 환자 중 남자는 108명, 여자는 47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2.2세였다. OBMT 1주 투여군은 56명, 2주 투여군은 99명이었다. 각 군 간 평균연령, 성비, 기저 질환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OBMT 1주군 56명 중 43명에서 제균에 성공하였고 OBMT 2주군 99명 중 87명에서 제균에 성공하여 제균율은 각각 76.8%, 87.9%였다. OBMT 2주군과 1주군의 제균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10). 결론: OBMT 사제요법은 기간에 따른 H. pylori 제균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사제요법의 재치료 기간에 따른 H. pylori 제균 효과에 대한 대규모 전향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At present, triple therapy schemes are recommended by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sensus conferences for the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However, even with the most effective current treatment regimens, about 10-20% of patients fail to eradicate H. pylori, necessitating alternative strategy to eradicate H. pylori in primary treatment failure. Therefore,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quadruple therapy and to compare 1 and 2-week quadruple regimen as a second-line therapy. Methods: The hospital records of 155 patients who failed to the standard triple therapy (proton pump inhibitor, amoxicillin, clarithromycin)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divided the 1 or 2 weeks OBMT regimen (omeprazole 20 mg bid, bismuth salt 120 mg qid, metronidazole 500 mg tid, tetracycline 500 mg qid). Presence of H. pylori infection and side-effects of the treatment regimen were assessed 4 weeks after the cessation of treatment. Results: One hundred and eight male and 47 female (mean age, 52.2±15.4) patients were enrolled. The overall eradication rate of H. pylori with quadruple therapy was 83.9% and the eradication rate was similar between 1 and 2 weeks of OBMT regimen (76.8% in OBMT 1 week, 87.9% in OBMT 2 weeks, respectively p=0.110). Conclusions: Quadruple therapy is an effective salvage regimen for H. pylori eradication after the failure of standard triple therapy. One week quadruple therap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2-weeks regimen as the second-line option for H. pylori eradication.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6.47.2.005 |
ISSN: | 1598-9992 2233-68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