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학 분야에서 고등학교 도덕과 교과 지식의 현황과 발전 방안

지식은 학문 지식, 교과 지식, 학교 지식 세 가지 층위의 지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문 지식은 교과를 성립시킨 배경이 되는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거나 교육의 내용이 되는 지식을 말한다. 교과지식은 교과에서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학습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지식, 기능, 가치, 태도를 포괄한다. 학교 지식은 학교에서 정규 수업 단위로 가르쳐지는 교과에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내용이다. 그 중 교과지식은 교과가 특정 학문 지식의 심화를 배경으로 성립한 경우에, 학문 지식을 근거로 구성된다. 반면에 교과가 특정한 국가·사회적 요구를 배경으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윤리연구, 1(80) Vol. 80; pp. 197 - 229
Main Authors 이범웅, Beom U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0.03.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80.201103.197

Cover

Abstract 지식은 학문 지식, 교과 지식, 학교 지식 세 가지 층위의 지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문 지식은 교과를 성립시킨 배경이 되는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거나 교육의 내용이 되는 지식을 말한다. 교과지식은 교과에서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학습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지식, 기능, 가치, 태도를 포괄한다. 학교 지식은 학교에서 정규 수업 단위로 가르쳐지는 교과에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내용이다. 그 중 교과지식은 교과가 특정 학문 지식의 심화를 배경으로 성립한 경우에, 학문 지식을 근거로 구성된다. 반면에 교과가 특정한 국가·사회적 요구를 배경으로 성립한 경우에, 교과 지식은 교과의 성립 이후 교과 공동체 구성원들이 전개하는 교과의 학문적 정당화 과정에서 설정되기도 한다. 도덕과 교육과정이 후자의 방식으로 설계된 결과 도덕과 교육과정은 타당성, 적실성, 연계성 측면에서 문제점을 드러내 왔다. 학문 지식의 변화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학문 지식과 큰 간극이 있고,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절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를 정확히 고찰하기 위해 도덕·윤리 교과지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유용하다. 교과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은 도덕·윤리과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의 변천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른 하나로 그동안 도덕·윤리 교과의 교과서 내용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는 것도 교과지식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는 방법일 것이다. 이 논문은 도덕과의 내용영역 중 북한·통일교육 분야에서 교과지식의 변화 실태를 파악하고 새로운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통일 교육 분야에서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기 마다 교과서에 실린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북한·통일 교육 분야에서 교과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여 고등학교 윤리·도덕 교과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를 토대로 향후 도덕과의 내용영역 중 북한·통일교육 분야에서 교과지식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였다. Knowledge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 knowledge of disciplinary knowledge, subject knowledge and school knowledge. The disciplinary knowledge is the knowledge of study and educationin in the area of a science to shape a subject. The subject knowledge is knowledge, skill, value and attitude to necessarily teach and learn in a subject. The school knowledge is the contents to teach and learn as regular subject school. The subject knowledge is constructed on disciplinary knowledge in the case of founding on deepening a science.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knowledge is constructed on the consensus of the subject community in the case of founding on the demand of nation and society. The moral subject has had more problems owing to being designed according to the way of the latter. The subject knowledge has not reflected the change of disciplinary knowledge. It has not met the demand of learners. It is useful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in the moral subject in order to investigate such problems.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through studying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curriculum of moral subject. And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through exploring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text book. This paper has the goal to grasp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and grope for a reform measure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The first task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is to examine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The second task is to explore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text book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analysis of high school textbook in the area of morla subject.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paper groped for the development plan on the subject knowledge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AbstractList 지식은 학문 지식, 교과 지식, 학교 지식 세 가지 층위의 지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문 지식은 교과를 성립시킨 배경이 되는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거나 교육의 내용이 되는 지식을 말한다. 교과지식은 교과에서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학습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지식, 기능, 가치, 태도를 포괄한다. 학교 지식은 학교에서 정규 수업 단위로 가르쳐지는 교과에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내용이다. 그 중 교과지식은 교과가 특정 학문 지식의 심화를 배경으로 성립한 경우에, 학문 지식을 근거로 구성된다. 반면에 교과가 특정한 국가․사회적 요구를 배경으로 성립한 경우에, 교과 지식은 교과의 성립 이후 교과 공동체 구성원들이 전개하는 교과의 학문적 정당화 과정에서 설정되기도 한다. 도덕과 교육과정이 후자의 방식으로 설계된 결과 도덕과 교육과정은 타당성, 적실성, 연계성 측면에서 문제점을 드러내 왔다. 학문 지식의 변화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학문 지식과 큰 간극이 있고,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절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를 정확히 고찰하기 위해 도덕․윤리 교과지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유용하다. 교과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은 도덕⋅윤리과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의 변천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른 하나로 그동안 도덕⋅윤리 교과의 교과서 내용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는 것도 교과지식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는 방법일 것이다. 이 논문은 도덕과의 내용영역 중 북한·통일교육 분야에서 교과지식의 변화 실태를 파악하고 새로운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통일 교육 분야에서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기 마다 교과서에 실린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북한·통일 교육 분야에서 교과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여 고등학교 윤리·도덕 교과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를 토대로 향후 도덕과의 내용영역 중 북한·통일교육 분야에서 교과지식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였다. Knowledge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 knowledge of disciplinary knowledge, subject knowledge and school knowledge. The disciplinary knowledge is the knowledge of study and educationin in the area of a science to shape a subject. The subject knowledge is knowledge, skill, value and attitude to necessarily teach and learn in a subject. The school knowledge is the contents to teach and learn as regular subject school. The subject knowledge is constructed on disciplinary knowledge in the case of founding on deepening a science.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knowledge is constructed on the consensus of the subject community in the case of founding on the demand of nation and society. The moral subject has had more problems owing to being designed according to the way of the latter. The subject knowledge has not reflected the change of disciplinary knowledge. It has not met the demand of learners. It is useful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in the moral subject in order to investigate such problems.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through studying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curriculum of moral subject. And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through exploring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text book. This paper has the goal to grasp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and grope for a reform measure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The first task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is to examine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The second task is to explore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text book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analysis of high school textbook in the area of morla subject.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paper groped for the development plan on the subject knowledge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3
지식은 학문 지식, 교과 지식, 학교 지식 세 가지 층위의 지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문 지식은 교과를 성립시킨 배경이 되는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거나 교육의 내용이 되는 지식을 말한다. 교과지식은 교과에서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학습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지식, 기능, 가치, 태도를 포괄한다. 학교 지식은 학교에서 정규 수업 단위로 가르쳐지는 교과에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내용이다. 그 중 교과지식은 교과가 특정 학문 지식의 심화를 배경으로 성립한 경우에, 학문 지식을 근거로 구성된다. 반면에 교과가 특정한 국가·사회적 요구를 배경으로 성립한 경우에, 교과 지식은 교과의 성립 이후 교과 공동체 구성원들이 전개하는 교과의 학문적 정당화 과정에서 설정되기도 한다. 도덕과 교육과정이 후자의 방식으로 설계된 결과 도덕과 교육과정은 타당성, 적실성, 연계성 측면에서 문제점을 드러내 왔다. 학문 지식의 변화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학문 지식과 큰 간극이 있고,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절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를 정확히 고찰하기 위해 도덕·윤리 교과지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유용하다. 교과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은 도덕·윤리과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의 변천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른 하나로 그동안 도덕·윤리 교과의 교과서 내용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는 것도 교과지식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는 방법일 것이다. 이 논문은 도덕과의 내용영역 중 북한·통일교육 분야에서 교과지식의 변화 실태를 파악하고 새로운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통일 교육 분야에서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기 마다 교과서에 실린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북한·통일 교육 분야에서 교과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여 고등학교 윤리·도덕 교과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를 토대로 향후 도덕과의 내용영역 중 북한·통일교육 분야에서 교과지식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였다. Knowledge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 knowledge of disciplinary knowledge, subject knowledge and school knowledge. The disciplinary knowledge is the knowledge of study and educationin in the area of a science to shape a subject. The subject knowledge is knowledge, skill, value and attitude to necessarily teach and learn in a subject. The school knowledge is the contents to teach and learn as regular subject school. The subject knowledge is constructed on disciplinary knowledge in the case of founding on deepening a science.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knowledge is constructed on the consensus of the subject community in the case of founding on the demand of nation and society. The moral subject has had more problems owing to being designed according to the way of the latter. The subject knowledge has not reflected the change of disciplinary knowledge. It has not met the demand of learners. It is useful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in the moral subject in order to investigate such problems.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through studying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curriculum of moral subject. And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through exploring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text book. This paper has the goal to grasp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and grope for a reform measure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The first task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is to examine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The second task is to explore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text book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analysis of high school textbook in the area of morla subject.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paper groped for the development plan on the subject knowledge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Author 이범웅
Beom Ung L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범웅
– sequence: 2
  fullname: Beom Ung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3893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1kD9Lw0AAxQ9RsNZ-gi4ZXRLvb-4yluKfQkGQzobzkkqMtpJMbgpBBBELEmyhhW7STSmtSyc_TnP5DqZWp997j8cb3g7Y7HQ7PgBVBC3EBET7l76FLAEtDBGCxEIO3wAl7AhsMkLo5r9GGG2DShwH55AhKGzOaAmc5Q8zPVp8f2Xz-zwd5unAyOaJThf6raeTobGcjrPXzyJeznpG9pJkz-lyujAKt4J-v9NPIz3qG3k_yQeTVZZ9DPU4KTDR6eMu2GrLq9iv_LEMWocHrfqx2Tw5atRrTTNkBJqI2UI5HmFtz7eVYzvUw5ISjwth2xwT5HMqlVCcC6kg9aSiBHMoOeMK-h4lZbC3nu1EbTdUgduVwS8vum4YubXTVsN1ILOLe8qguq6GQRy7N1FwLaNbFzsECcHID9PWf3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15801/je.1.80.201103.197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통일·북한학 분야에서 고등학교 도덕과 교과 지식의 현황과 발전 방안
The Present State and Development Plan on the Subject Knowledge of High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Area of Unification and North Koreanology
EISSN 2982-5334
EndPage 22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05610
2931885
GroupedDBID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30-1568c9d35fde6c9694d2a43d788667231e74ac8c778ac04dac43270a757c0ed43
ISSN 2982-5121
IngestDate Tue Nov 21 21:36:15 EST 2023
Thu Jan 09 02:14:04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30-1568c9d35fde6c9694d2a43d788667231e74ac8c778ac04dac43270a757c0ed43
Notes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G704-000880.2011.1.80.002
PageCount 3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05610
kiss_primary_293188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103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1-03-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3
  year: 2011
  text: 201103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윤리연구, 1(80)
PublicationTitleAlternate 倫理硏究
PublicationYear 2011
Publisher 한국윤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윤리학회
SSID ssib051086754
ssib051086568
Score 1.4552181
Snippet 지식은 학문 지식, 교과 지식, 학교 지식 세 가지 층위의 지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문 지식은 교과를 성립시킨 배경이 되는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거나 교육의 내용이 되는 지식을 말한다. 교과지식은 교과에서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학습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지식, 기능, 가치, 태도를...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97
SubjectTerms disciplinary knowledge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school knowledge
subject knowledge
the curriculum of moral subject
unification environment
universal ethics
교과 내용
교과 지식
도덕
도덕과 교육과정
보편 윤리
북한
윤리과
통일교육
통일환경
학교 지식
학문 지식
학제간연구
Title 통일·북한학 분야에서 고등학교 도덕과 교과 지식의 현황과 발전 방안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93188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38937
Volume 8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윤리연구, 2011, 1(80), , pp.197-22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xNBdGjrxYsoVaxfrOCcSuJkd2ZnBk-7m5Qq1FOFXiRsZjcigaTE9OJBFIIIIhYk2EICvUlvSqmn_KJk8x98M7vZrLZC9bL79s3M2_fmDW_em307g9CDqBGJUMWqRCIBAQpT2g6GbklK7kQxTPmqqX9O3nrqbj6jT3bYztLyo0LW0l6vUVavz_2v5H-0CjjQq_5L9h80mxMFBMCgX7iChuF6IR3jWhULF_sM1wIsq9gP1nHNx74L_qEukwzLYA7IvIya6gyqG4BjSTQAeKkJeNh3sEd0belgP6ckTREAxFASG4YSAKY4beZnBJihuUAF2OM6qUK_xtespgxLsW6oC0Oqqt_hyWI7YJgYGQLNkaBzlK5lZEhP65u71wYJVQ1fnou9uYQ-ydgCDAwqMN9CJz3mqyDzDjQNfRvLtI9AOFZcF6mYxLDsE48eyYVeTslXz2Mh7z8APCyChfW1JYQe4A2lAz8u4Jxs9TW1-JU0vThzHuyU8TPzEhPpgQhxuVIWxOwcS5xy3ra4C_gfs_Nv-4C31Mv6i0691a1DtPO4LnX4R5bRJZtzk6Ow9aY2N6ZMH6HFFrGkeebmVMBctGwXLs3cw7OsgZMCMcwrcLra3WbB6dq-iq5k0ZLlpUP_GlpqdVbR89n702Q0tqY_380Gw9ngEKB-MhgnX_eT_tCanBxNv_wA9OR035p-7k8_DSYnYwue9C359jb5OEpGB9bsoD87PNa46fdhctSH23Ey-HAdbW_UtoPNUnZKSKnFHFKqgIxKRg5rRrGrpCtpZIfUibgQrssheok5DZVQnINNIjQKFXVsTkLOuCJxRJ0baKXdacc3kQWRd0gpiZymsCl3Y8EkiSquHTqSNlSo1tCq7pD6broPTB085YoQbA3dhw4yuvmrjm5doM5tdHkxju-glV53L74LHm-vcc9o9heWhY5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86%B5%EC%9D%BC+%EB%B6%81%ED%95%9C%ED%95%99+%EB%B6%84%EC%95%BC%EC%97%90%EC%84%9C+%EA%B3%A0%EB%93%B1%ED%95%99%EA%B5%90+%EB%8F%84%EB%8D%95%EA%B3%BC+%EA%B5%90%EA%B3%BC+%EC%A7%80%EC%8B%9D%EC%9D%98+%ED%98%84%ED%99%A9%EA%B3%BC+%EB%B0%9C%EC%A0%84+%EB%B0%A9%EC%95%88&rft.jtitle=%EC%9C%A4%EB%A6%AC%EC%97%B0%EA%B5%AC%2C+1%2880%29&rft.au=%EC%9D%B4%EB%B2%94%EC%9B%85&rft.date=2011-03-30&rft.pub=%ED%95%9C%EA%B5%AD%EC%9C%A4%EB%A6%AC%ED%95%99%ED%9A%8C&rft.issn=2982-5121&rft.eissn=2982-5334&rft.spage=197&rft.epage=229&rft_id=info:doi/10.15801%2Fje.1.80.201103.19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0561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982-5121&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982-5121&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982-5121&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