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을 위한 자가 동정맥루 수술에 있어서 조기개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t is very important for hemodialysis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to obtain vascular access that resists repeated punctures and maintains adequate blood flow.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dentify factors that may influence early patency rate of autogenous arteriovenous fistula. Material...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aehan Hyungbu Oekwa Hakhoe chi Vol. 37; no. 4; pp. 342 - 348
Main Authors 민선경, 한재진, 원태희, 안재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2004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01-2859

Cover

Loading…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for hemodialysis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to obtain vascular access that resists repeated punctures and maintains adequate blood flow.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dentify factors that may influence early patency rate of autogenous arteriovenous fistula. Material and Method: 49 cases in 47 patients who underwent radiocephalic fistula formation in our hospital from June 2002 through May 2003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sult: The early patency rate was 79.6%. Age, sex,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for patency. Body mass index and duration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did not influence the early results either. Cephalic vein diameter measured preoperatively and blood flow at radio-cephalic fistula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ve factors. Groups with the vein diameter less than 2.7mm, or with the blood flow less than 100 mL/min had significantly lower early patency rate tha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To improve early patency rate of radiocephalic fistula, large sized cephalic vein should be selected and if the intraoperative flow at radiocephalic fistula is less than 100 mL/min, another arteriovenous fistula formation should be considered. 말기 신부전 환자의 생명 유지를 위한 혈액투석 치료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개존상태가 유지되고 충분한 혈액이 관류되는 투석 경로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동정맥루 조성술 시행 후 조기 폐쇄로 인해 투석을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 환자는 경정맥 또는 대퇴정맥 등의 중심 정맥 삽관을 반복적으로 시행 받아 혈액투석을 유지해야 하며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대상 및 방법: 자가 혈관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에 있어 조기개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2002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1년 간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시행한 총 85예의 동정맥루 수술 중 두부정맥(cephalic vein)과 요골동맥(radial artery)의 단측문합(end-to-side anastomisis)을 시행한 49예를 대상으로 임상분석을 하였다. 걸과: 연구대상 49예에서 조기개존율은 79.6%였다. 환자의 나이나 성별, 고혈압과 당뇨병 유무에 따른 개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환자의 체질량지수 및 고혈압과 당뇨의 유병기간, 술 전 듀플렉스 검사로 측정한 요골동맥의 직경에 따른 조기개존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술 전 듀플렉스 검사로 측정한 두부정맥의 직경과 수술 시 측정한 동정맥루의 혈류량이 조기개존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특히 혈관직경 2.7mm가 초과되는 군에서는 조기 폐쇄 없이 개존율이 100%로 유지되었으며 동정맥루의 혈류량이 100mL/min 이하인 군에서는 조기개존율 33.3%로 100 mL/min초과인 군의 82.2%와 비교할때 유의하게 조기개존율이 낮았다. 결론: 동정맥루에 사용되는 정맥의 직경은 개존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가능한 한 직경이 큰 정맥을 선택해야 하며 연구에 따라 다양한 기준이 보고되어 왔으나 보다 정확한 예후 판단을 위해서는 정맥의 직경뿐 아니라 혈관 유출로의 혈류와 협착상태 등에 대한 파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수술 시 동정맥루의 혈류량을 기준으로 판단할때, 100 mL/min 이하의 혈류량을 나타내는 radiocephalic fistula에서는 혈류량 감소의 원인을 찾아 교정술을 시행하고 그 이후에도 혈류량이 증가하지 않을 경우 다른 부위의 혈관 또는 인조혈관의 사용을 고려하여야만 할 것이다.
AbstractList It is very important for hemodialysis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to obtain vascular access that resists repeated punctures and maintains adequate blood flow.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dentify factors that may influence early patency rate of autogenous arteriovenous fistula. Material and Method: 49 cases in 47 patients who underwent radiocephalic fistula formation in our hospital from June 2002 through May 2003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sult: The early patency rate was 79.6%. Age, sex,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for patency. Body mass index and duration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did not influence the early results either. Cephalic vein diameter measured preoperatively and blood flow at radio-cephalic fistula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ve factors. Groups with the vein diameter less than 2.7mm, or with the blood flow less than 100 mL/min had significantly lower early patency rate tha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To improve early patency rate of radiocephalic fistula, large sized cephalic vein should be selected and if the intraoperative flow at radiocephalic fistula is less than 100 mL/min, another arteriovenous fistula formation should be considered. 말기 신부전 환자의 생명 유지를 위한 혈액투석 치료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개존상태가 유지되고 충분한 혈액이 관류되는 투석 경로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동정맥루 조성술 시행 후 조기 폐쇄로 인해 투석을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 환자는 경정맥 또는 대퇴정맥 등의 중심 정맥 삽관을 반복적으로 시행 받아 혈액투석을 유지해야 하며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대상 및 방법: 자가 혈관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에 있어 조기개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2002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1년 간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시행한 총 85예의 동정맥루 수술 중 두부정맥(cephalic vein)과 요골동맥(radial artery)의 단측문합(end-to-side anastomisis)을 시행한 49예를 대상으로 임상분석을 하였다. 걸과: 연구대상 49예에서 조기개존율은 79.6%였다. 환자의 나이나 성별, 고혈압과 당뇨병 유무에 따른 개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환자의 체질량지수 및 고혈압과 당뇨의 유병기간, 술 전 듀플렉스 검사로 측정한 요골동맥의 직경에 따른 조기개존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술 전 듀플렉스 검사로 측정한 두부정맥의 직경과 수술 시 측정한 동정맥루의 혈류량이 조기개존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특히 혈관직경 2.7mm가 초과되는 군에서는 조기 폐쇄 없이 개존율이 100%로 유지되었으며 동정맥루의 혈류량이 100mL/min 이하인 군에서는 조기개존율 33.3%로 100 mL/min초과인 군의 82.2%와 비교할때 유의하게 조기개존율이 낮았다. 결론: 동정맥루에 사용되는 정맥의 직경은 개존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가능한 한 직경이 큰 정맥을 선택해야 하며 연구에 따라 다양한 기준이 보고되어 왔으나 보다 정확한 예후 판단을 위해서는 정맥의 직경뿐 아니라 혈관 유출로의 혈류와 협착상태 등에 대한 파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수술 시 동정맥루의 혈류량을 기준으로 판단할때, 100 mL/min 이하의 혈류량을 나타내는 radiocephalic fistula에서는 혈류량 감소의 원인을 찾아 교정술을 시행하고 그 이후에도 혈류량이 증가하지 않을 경우 다른 부위의 혈관 또는 인조혈관의 사용을 고려하여야만 할 것이다.
Author 민선경
안재호
원태희
한재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민선경
– sequence: 2
  fullname: 한재진
– sequence: 3
  fullname: 원태희
– sequence: 4
  fullname: 안재호
BookMark eNotjr1qwlAYhs9godZ6D1k6Bk7Od05yMor0X3Bxl5M_EMUO6QW0kCF0qYPatMRiKFKHQjM42FtKvtxD05_pHZ6Xh-eINKY3U79BmhSooTMp7EPSDsORQ8FklhQCmmRSJTEusir-wGiFq0jDNKoWqYavsyK_08rHZ1wvyvdN-bbVME4wXuPTrKYxLncY1b8sL_Z5kaeY7TDd_sLkvlpuflzl5x6_kvJhruHLHFf7Y3IQqEnot_-3RQZnp4Puhd7rn192Oz19LBjVvbqNKwUysMBT4JnKMakfMNuRLqe-5ZvSEGC4vuU64AAPmGFLz7QUldRTlEGLnPxpx6PwdjSceuFkeNW57jNKuWHYjAEVHDh8A9-LdT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JDI
DEWEY 617.54
DatabaseName KoreaScience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Medicine
EndPage 348
ExternalDocumentID JAKO200411922305434
GroupedDBID 5-W
8JR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OK1
ID FETCH-LOGICAL-k520-d2784aa38f73da3d6ab60ef29b8c40e7e681531ce7cb3b34f2198d67a080da023
ISSN 0301-2859
IngestDate Fri Dec 22 12:03:22 EST 2023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20-d2784aa38f73da3d6ab60ef29b8c40e7e681531ce7cb3b34f2198d67a080da023
Notes KISTI1.1003/JNL.JAKO200411922305434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41192230543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7
ParticipantIDs kisti_ndsl_JAKO20041192230543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4
PublicationDateYYYYMMDD 2004-01-01
PublicationDate_xml – year: 2004
  text: 2004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Taehan Hyungbu Oekwa Hakhoe chi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PublicationYear 2004
SSID ssib036278553
ssj0000942076
ssib012146147
ssib047997644
Score 1.3225867
Snippet It is very important for hemodialysis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to obtain vascular access that resists repeated punctures and maintains adequate...
SourceID kisti
SourceType Open Access Repository
StartPage 342
Title 혈액투석을 위한 자가 동정맥루 수술에 있어서 조기개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URI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41192230543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Volume 3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LZKD4gL4ikoUPnAniIjO17b66Odh6JC6SWI3qr1IyqkSiRIhOAEUg4RF3poSkAJaoQqekAihx7CX2o2_4HZh5tQVeJxscaz49nZGXv3G3t3rWn3XQJZRWLZBvHT2MAASQy4b2IjqtE4sdzYoYQvTl5_7Fae4LVNZ3PpwqOFWUvtVvQgfnPuupL_iSrwIK58lew_RPZUKTCAhvjCESIMx7-KMSoVkU8QIahUQL6DAotz4DQocA7ByC-KImDinKAEl1_mAC1ZJeSbqBSg0ETEBFaISBn5Pi8LTC4InMBDgSRsFBBxHVTjE0WAHNfkgaZMpzLKRSHObJH1gZGhrI9khMntUkVYmRmQMyqhnaJ5oJKbMm8VGFXmyoAV-sImaEGAfNViTinxkCxi8SpNt6F3q7yG_i5q5zbS-iuaq9D6djPla9yzWzGrIHNpIG3Oo7A4F1EOVW2X7gefETwXgZJQeBrMtoVskds03_tSBVE5TmoR8VVmZ-9m8ELnDR2nwTcHXBxp5PY26onCC8OGLXcYUwjElnuP_r45-JlB-3Qq5VrwcINXbQFUh3SSrxQGQAKwk89vdIynWedqiT-4z3NHAC4eceZYDXs-IFOF9Z7LKad505Pf-lVbIIHjWc2zBQRWvaJdVqmTHsjn4Kq2VG9e0y6uq8kh17WdWb_LeqNZ9zvrDNmwo7NBZ9Yb6OzL7sn4rT798Ikd9KbfDqdfj3TW7bPuAfu4C6Vdtn_MOiA3Gp9MxifjARsds8GRKOy_m-0fcl3THxP2sz99v6ezz3tsOLmhVculaqFiqJ-JGHUnbxoJ_8BOqU1qnp1QO3Fp5JppLe9HJMZm6qUugbHfilMvjuzIxjUYyUniehQyqoQCsL2pLTeajfSWpptm4rm1FFMA_5hQKwIMncRmwtf381-g3tZWhZe2GsnLna1z4rPyJ4E72iU5QYy_6burLbdetNN7gH1b0aqI6S_JRJSH
linkProvider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8%88%EC%95%A1%ED%88%AC%EC%84%9D%EC%9D%84+%EC%9C%84%ED%95%9C+%EC%9E%90%EA%B0%80+%EB%8F%99%EC%A0%95%EB%A7%A5%EB%A3%A8+%EC%88%98%EC%88%A0%EC%97%90+%EC%9E%88%EC%96%B4%EC%84%9C+%EC%A1%B0%EA%B8%B0%EA%B0%9C%EC%A1%B4%EC%9C%A8%EC%97%90+%EC%98%81%ED%96%A5%EC%9D%84+%EB%AF%B8%EC%B9%98%EB%8A%94+%EC%9A%94%EC%9D%B8&rft.jtitle=Taehan+Hyungbu+Oekwa+Hakhoe+chi&rft.au=%EB%AF%BC%EC%84%A0%EA%B2%BD&rft.au=%ED%95%9C%EC%9E%AC%EC%A7%84&rft.au=%EC%9B%90%ED%83%9C%ED%9D%AC&rft.au=%EC%95%88%EC%9E%AC%ED%98%B8&rft.date=2004&rft.issn=0301-2859&rft.volume=37&rft.issue=4&rft.spage=342&rft.epage=34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041192230543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0301-2859&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0301-2859&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0301-2859&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