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료기관에서 임상병리사의 채혈 업무 현황과 안전 실태 조사
본 연구에서는 진단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채혈 업무에 대한 임상병리사의 현 상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채혈 업무에 대한 행위료의 보험 수가 산정 및 상대 가치점수 부여를 통한 임상병리사의 권익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부산ㆍ울산ㆍ경남 지역의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650명의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1명의 임상병리사가 약 100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채혈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채혈 실패 건수는 하루에 1건 이상 실...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 55; no. 3; pp. 159 - 166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0.09.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진단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채혈 업무에 대한 임상병리사의 현 상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채혈 업무에 대한 행위료의 보험 수가 산정 및 상대 가치점수 부여를 통한 임상병리사의 권익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부산ㆍ울산ㆍ경남 지역의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650명의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1명의 임상병리사가 약 100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채혈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채혈 실패 건수는 하루에 1건 이상 실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증 호소 환자 및 이를 통한 민원 발생은 1년간 1건 이상 발생하여 검사자의 부담감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한 바늘에 채혈자가 찔리는 경우도 1년간 1건 이상 발생되고 있고, 자상으로 인한 감염관리 진료 및 치료를 받은 경우도 약 15%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채혈 업무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발생 및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 비율은 절반 이상의 인원이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같은 주사침을 이용한 정맥 및 근육 주사와는 달리 채혈 업무에 대한 행위료는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채혈 업무에 대한 행위료 산정 및 상대 가치점수 부여를 통해 임상병리사의 안전 및 권익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cal technologists for blood collection,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tep for diagnosis. The survey enrolled 650 medical technologists working in hospitals and medical check center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We found that each medical technologist performed blood collection for about 100 patients. There was more than one blood collection failure per day, with more than one case of pain and filing of civil complaints per year. Hence, there was a high work burden on the medical technologists. Cases where a medical technologist was stabbed with a used needle occurred more than once a year, and about 15% of them received infection control and treatment because of stab wounds. Additionally,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suffered from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mental stress due to blood collection work. Unlike administering intravenous and intramuscular injections using the same needle, no fee is charged for blood coll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and rights of medical technologists by calculating the actual fee for blood collection work and assigning a relative value score.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ISTI1.1003/JNL.JAKO202329362356009 |
ISSN: | 1738-3544 2288-16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