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의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표현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의 표현에 관한 것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구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진행은 바흐친의 저서와 다른 문헌들을 통하여 카니발과 카니발 그로데스크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카니발 그로데스크의 모순의 특성과 구조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 표현의 특성을 조사 연구하고 그 역할을 조명하였다. 하이브리드텍스트는 기호의 양가적 모순, 감정의 모순 그리고 총체적 유희의 모순 등으로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성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0; no. 1; pp. 72 - 83
Main Authors 김영호, Kim Young 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Abstract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의 표현에 관한 것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구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진행은 바흐친의 저서와 다른 문헌들을 통하여 카니발과 카니발 그로데스크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카니발 그로데스크의 모순의 특성과 구조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 표현의 특성을 조사 연구하고 그 역할을 조명하였다. 하이브리드텍스트는 기호의 양가적 모순, 감정의 모순 그리고 총체적 유희의 모순 등으로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성을 포함하고 있다.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기호의 양가적 모순성은 서로 다른 복합적 기호와 매체들의 상치된 이중적 해석에서 오는 불확정된 결론으로 해석주체의 자유의지를 강화하고, 감정의 모순은 전위적인 당혹스러움과 낯설은 감정에서 오는 이중 감정으로 즐거움을 제공한다. 그리고 모순된 시점으로 총체적 유희성을 제공하여 자유로운 열린 공간으로 해석주체의 감성을 풍요롭게 하고 총체적 난장속에 카니발적 웃음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성은 특정 구역이나 단계에서 나타나는 부분적 특성이 아닌 하이브리드텍스트 전체를 구성하는 원리로 커뮤니케이션에서 공통감 형성을 위한 과정에 관여한다.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은 개별성을 유지한 기호들와 매체들의 결합의 관행을 파괴하고 간격을 벌려놓아 각각의 독립성을 유지시켜 생산주체와 해석주체와의 관계를 수평화 하는데 일조한다. 그리고 정보의 과잉상태로 엔트로피에 순응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하이브리드텍스트를 더욱 하이브리드 텍스트답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arnival Grotesque that appears in the Hybrid Text and it is a study on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for communication. The proceedings of the study were based on the idea of carnival and carnival grotesque through the work of Bakhtin and other literature, which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carnival grotesque. Then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nival grotesque in the hybrid text and illuminated its role. Hybrid Texts include carnival grotesque, such as ambivalent symbols, contradictory symbols and total play-ability. Strengthening the free will of the interpretative subject, the contradiction of emotion provides pleasure with double emotion coming from an avaricious embarrassment and strange feeling. So, it provides a total playfulness to the contradictory point, thereby enriching the sensibility of the subject and providing a carnival laughter in the overall disarray. The carnival grotesque in the hybrid tex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forming common emotions in communication as a principle constituting the entire hybrid text, not the partial character appearing in a specific section or step. Carnival grotesque serves to medi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interpretive subject by maintaining the independence of each individual by breaking the practice of combining the symbols and mediums that maintain their individuality and spacing them apart.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hybrid texts as more hybrid texts, such as allowing them to adapt to entropy with excessive information.
AbstractList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의 표현에 관한 것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구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진행은 바흐친의 저서와 다른 문헌들을 통하여 카니발과 카니발 그로데스크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카니발 그로데스크의 모순의 특성과 구조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 표현의 특성을 조사 연구하고 그 역할을 조명하였다. 하이브리드텍스트는 기호의 양가적 모순, 감정의 모순 그리고 총체적 유희의 모순 등으로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성을 포함하고 있다.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기호의 양가적 모순성은 서로 다른 복합적 기호와 매체들의 상치된 이중적 해석에서 오는 불확정된 결론으로 해석주체의 자유의지를 강화하고, 감정의 모순은 전위적인 당혹스러움과 낯설은 감정에서 오는 이중 감정으로 즐거움을 제공한다. 그리고 모순된 시점으로 총체적 유희성을 제공하여 자유로운 열린 공간으로 해석주체의 감성을 풍요롭게 하고 총체적 난장속에 카니발적 웃음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성은 특정 구역이나 단계에서 나타나는 부분적 특성이 아닌 하이브리드텍스트 전체를 구성하는 원리로 커뮤니케이션에서 공통감 형성을 위한 과정에 관여한다.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은 개별성을 유지한 기호들와 매체들의 결합의 관행을 파괴하고 간격을 벌려놓아 각각의 독립성을 유지시켜 생산주체와 해석주체와의 관계를 수평화 하는데 일조한다. 그리고 정보의 과잉상태로 엔트로피에 순응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하이브리드텍스트를 더욱 하이브리드 텍스트답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arnival Grotesque that appears in the Hybrid Text and it is a study on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for communication. The proceedings of the study were based on the idea of carnival and carnival grotesque through the work of Bakhtin and other literature, which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carnival grotesque. Then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nival grotesque in the hybrid text and illuminated its role. Hybrid Texts include carnival grotesque, such as ambivalent symbols, contradictory symbols and total play-ability. Strengthening the free will of the interpretative subject, the contradiction of emotion provides pleasure with double emotion coming from an avaricious embarrassment and strange feeling. So, it provides a total playfulness to the contradictory point, thereby enriching the sensibility of the subject and providing a carnival laughter in the overall disarray. The carnival grotesque in the hybrid tex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forming common emotions in communication as a principle constituting the entire hybrid text, not the partial character appearing in a specific section or step. Carnival grotesque serves to medi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interpretive subject by maintaining the independence of each individual by breaking the practice of combining the symbols and mediums that maintain their individuality and spacing them apart.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hybrid texts as more hybrid texts, such as allowing them to adapt to entropy with excessive information.
Author Kim Young Ho
김영호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영호
– sequence: 2
  fullname: Kim Young Ho
BookMark eNo9jE1LAkEcxocwyMxP0GUvHRdm_c_MzhzD7AUkLx4DmdkXWCoLlw7dEgzEEooQPYxQEBHhwYORfSVn9jtkGF2e33P4Pc8myjUvmtEaypd8D1wqBORQ3qOCu5wB3UDFNE0UJsQH3ycij06ywciOZ2Z-b94m5klnt33be816czt8sB1txyPHfs_MXddMtbP4mpsXbfrTX6U9sc9tx3y8267OHnU26iwnzmJ2kw20Y4fTxedkC63H8iyNin8soPp-pV4-dKu1g6PybtU9pZi7gZSgwpBFQRATJTBjMWZCcI-WAqxoFHPCAg_HWAkfuASgFKQQEiKiSmGsoIB2VrfNq1ZyHoWJbFwui2xdN45rexXP4wD-Mgpoe-WdJmn6rwBjgAWBH-sEeT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의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표현에 관한 연구
DocumentTitle_FL Inconsistency to Carnival Grotesque in Hybrid Text
EISSN 2713-5993
EndPage 83
ExternalDocumentID NODE11833718
366309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ID FETCH-LOGICAL-k508-caa3bdd6eccf4b9066f06998152c0b5ef846c10f0b9738a33553a99a3e4b2dfb3
ISSN 1598-8635
IngestDate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6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Design
Inconsistency
하이브리드텍스트
커뮤니케이션
모순성
디자인
바흐친
Carnival Grotesque
카니발 그로데스크
Communication
Hybrid Text
Mikhail Bakhtin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08-caa3bdd6eccf4b9066f06998152c0b5ef846c10f0b9738a33553a99a3e4b2dfb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urimedia_primary_NODE11833718
kiss_primary_366309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90228
PublicationDateYYYYMMDD 2019-02-28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19
  text: 20190228
  day: 28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9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6801767
Snippet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의 표현에 관한 것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구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진행은 바흐친의 저서와 다른 문헌들을 통하여 카니발과 카니발 그로데스크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카니발 그로데스크의 모순의...
SourceID nurimedia
kiss
SourceType Publisher
StartPage 72
SubjectTerms Carnival Grotesque
Communication
Design
Hybrid Text
Inconsistency
Mikhail Bakhtin
디자인
모순성
바흐친
카니발 그로데스크
커뮤니케이션
하이브리드텍스트
Title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의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표현에 관한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66309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3718
Volume 2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xNBdGh6UQ-iRLF-lD04p7Aym5ndzBx3N5GgWC8RehDKzmYXtJgUbS8exEKFUi0oUtrDFhRERHLIoWL9S9nNf_DN7GYTtYIVwvIy73PnTd68CTNvELopI9uOupKYjboTwwKF2mYg67YZ8m5EKYslifUG2SWn_YDdWbaX5yrVmV1LG-vyVvj8xHMl_-NVaAO_qlOyp_BsKRQaAAb_whM8DM9_8jFuNbGwseC45WPRxB7DLQ97HHNfAa6DXQ0IioWviLmNeVMRcxe7TLe4il6xN7AgGsU0sRYoeE1BnihEc_hwrYMAEeCAu6EFgDZL83lKg0d-VWJpQ3zsEoBrmhpwWi_Iy20T1gTgyoaJSbkSpnZkFG_r1wqk0gI4Gxf1Ix9PekW_U26D4tR6wDyPFOJBSiFL_EUUDEHdILReX9tkFdxeufv37qMnNR0ua-3-7N8n6sRWeRxdDfjS9ImW5imNBMAFr85OIYKb3MmLsEzmmDr547eUTxj5vUW_lfymkAbCsruCKtRSsfvei9Y0xbV0jcTyu1CHj6cxlbEGhYxe6DLBhSGQbcBi5Nk5dKa3oe6MgMAzk0N1LqDzxeLHcPORfBHNrfar6OF47yA7PEqP36SfB-n7ZPxqN9v5NN45zvbfZltJdnhgZD-O0tfb6TAxRt-P049JujtUJJuD7MOmkX79km0n43fJ-GALWIzR0cvxXmJk-8PRt8El1Lnd6vhts7jzw1yFpYIZBgGV3a4DgSVmUkA-HBNHCA5ZZkikHcWQLocWiYkUDcoDCtkyDYQIaMRkvRtLehnN9_q96AoyIOTUo4ZDAjsgLAhCHgrObLXvIA4tGbIFVFW9srKWV3VZKTp9AS2WvVTilu43W7ASpxQyuasn811DZ6fD6zqaX3-6Ed2AfHVdLmoH_gSZuHz2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98%EC%9D%B4%EB%B8%8C%EB%A6%AC%EB%93%9C%ED%85%8D%EC%8A%A4%ED%8A%B8%EC%97%90%EC%84%9C%EC%9D%98+%EC%B9%B4%EB%8B%88%EB%B0%9C+%EA%B7%B8%EB%A1%9C%EB%8D%B0%EC%8A%A4%ED%81%AC%EC%A0%81+%EB%AA%A8%EC%88%9C%ED%91%9C%ED%98%84%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A%B9%80%EC%98%81%ED%98%B8&rft.au=Kim+Young+Ho&rft.date=2019-02-28&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volume=20&rft.issue=1&rft.spage=72&rft.externalDocID=366309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