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호크니의 <더 큰 그림> 연구-회화의 시각과 시점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근작 <더 큰 그림>에 관계된 ‘시점’에 대한 문제를 호크니의 회화론과 동시대적 입장을 통해분석하는 것을 논점으로 한다. 호크니는 회화, 판화, 사진, 무대미술, 일러스트 디자인, 그리고 ‘아이폰 드로잉’이라고 불리는 미디어통신 매체를 활용한 작품 등, 기법의 한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미술가이다. 호크니는 리처드 해밀턴, R.B. 키타이 등과 함께 영국 팝아트의 핵심인물이자 <결합(joiner)> 과 같은 독창적 포토 콜라주 작품을 고안한 사진가이며, 오페라 무대공간을 연출하는 무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6; no. 5; pp. 605 - 617
Main Authors 정영한, Young Han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Loading…
Abstract 이 논문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근작 <더 큰 그림>에 관계된 ‘시점’에 대한 문제를 호크니의 회화론과 동시대적 입장을 통해분석하는 것을 논점으로 한다. 호크니는 회화, 판화, 사진, 무대미술, 일러스트 디자인, 그리고 ‘아이폰 드로잉’이라고 불리는 미디어통신 매체를 활용한 작품 등, 기법의 한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미술가이다. 호크니는 리처드 해밀턴, R.B. 키타이 등과 함께 영국 팝아트의 핵심인물이자 <결합(joiner)> 과 같은 독창적 포토 콜라주 작품을 고안한 사진가이며, 오페라 무대공간을 연출하는 무대미술가로서 활약했고, 2001 년에는 "Secret Knowledge"라는 저서를 통해 르네상스 거장들의 그림을 광학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면서 미술이론가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이른바 호크니-팔코 이론이라고 명명되는 그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은 논란 속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언급되고 있으며, 2000 년 이후부터 영국 요크셔 지방을 배경으로 마치 외광파의 방식과 유사한 풍경화, 즉 <더 큰 그림>을 통해 그의 이론을 시점에 관한 담론과 함께 전개시키고 있다. 따라서 호크니의 <더 큰 그림>은 회화를 보는 눈, 즉 시점에 관한 동시대적 담론을 가장 전통적 매체를 통해 구현해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회화를 여전히 실험 가능한 매체로 제시하는 등 이미지 제작에 대한 폭넓은 감각적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비평적 관점에서 재고해 볼 필요성이 있다. 결국 <더 큰 그림>은 ‘회화에 있어서 시점의 문제’에 대한 호크니의 회화론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실천적인 실험과정이 집약된 결과이며, 사진-이후 시대의 회화에서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주요 과제이다. This study deals with ‘perspective’ issues of David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by analyzing his optical theory an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Hokney is well known for the artist who is without technical limits for example he makes painting, engraving, photography, stage design, illustration, and he uses ‘I-phone’ for drawings. Actually Hockney emerged core of British Pop artist in the early stage, then he made creative photographic collage under the name of , he designed opera stage for Stravinsky`s Rake`s Progress, and in 2001 he expanded his career as an art theorist. In his book 『Secret Knowledge』, Hockney argues that optical devices were used by European painters from the early 15th century. Usually called ‘Hockney-Falco thesis’, Hcokney`s highly controversial theory has been marked upon today`s art. It is important connecting with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which is en plein air landscape painting of Yorkshire having the implications for vision and perspective issues of painting. In this sense, <A Bigger Picture> means that Hockney embodied the discourse of the eyes or the perspective in contemporary painting with the most traditional medium of art, and it is important that he presents the latent possibility of painting as still experimental media in today`s art field. At this poin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Hockney`s wide spectrum of image making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And <A Bigger Picture> is a result of the essence of Hockney`s practical experiments progress using his own theory and multiple media so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Post-Photographic era.
AbstractList 이 논문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근작 <더 큰 그림>에 관계된 ‘시점’에 대한 문제를 호크니의 회화론과 동시대적 입장을 통해분석하는 것을 논점으로 한다. 호크니는 회화, 판화, 사진, 무대미술, 일러스트 디자인, 그리고 ‘아이폰 드로잉’이라고 불리는 미디어통신 매체를 활용한 작품 등, 기법의 한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미술가이다. 호크니는 리처드 해밀턴, R.B. 키타이 등과 함께 영국 팝아트의 핵심인물이자 <결합(joiner)> 과 같은 독창적 포토 콜라주 작품을 고안한 사진가이며, 오페라 무대공간을 연출하는 무대미술가로서 활약했고, 2001 년에는 "Secret Knowledge"라는 저서를 통해 르네상스 거장들의 그림을 광학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면서 미술이론가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이른바 호크니-팔코 이론이라고 명명되는 그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은 논란 속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언급되고 있으며, 2000 년 이후부터 영국 요크셔 지방을 배경으로 마치 외광파의 방식과 유사한 풍경화, 즉 <더 큰 그림>을 통해 그의 이론을 시점에 관한 담론과 함께 전개시키고 있다. 따라서 호크니의 <더 큰 그림>은 회화를 보는 눈, 즉 시점에 관한 동시대적 담론을 가장 전통적 매체를 통해 구현해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회화를 여전히 실험 가능한 매체로 제시하는 등 이미지 제작에 대한 폭넓은 감각적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비평적 관점에서 재고해 볼 필요성이 있다. 결국 <더 큰 그림>은 ‘회화에 있어서 시점의 문제’에 대한 호크니의 회화론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실천적인 실험과정이 집약된 결과이며, 사진-이후 시대의 회화에서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주요 과제이다. This study deals with ‘perspective’ issues of David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by analyzing his optical theory an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Hokney is well known for the artist who is without technical limits for example he makes painting, engraving, photography, stage design, illustration, and he uses ‘I-phone’ for drawings. Actually Hockney emerged core of British Pop artist in the early stage, then he made creative photographic collage under the name of , he designed opera stage for Stravinsky`s Rake`s Progress, and in 2001 he expanded his career as an art theorist. In his book 『Secret Knowledge』, Hockney argues that optical devices were used by European painters from the early 15th century. Usually called ‘Hockney-Falco thesis’, Hcokney`s highly controversial theory has been marked upon today`s art. It is important connecting with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which is en plein air landscape painting of Yorkshire having the implications for vision and perspective issues of painting. In this sense, <A Bigger Picture> means that Hockney embodied the discourse of the eyes or the perspective in contemporary painting with the most traditional medium of art, and it is important that he presents the latent possibility of painting as still experimental media in today`s art field. At this poin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Hockney`s wide spectrum of image making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And <A Bigger Picture> is a result of the essence of Hockney`s practical experiments progress using his own theory and multiple media so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Post-Photographic era.
Author Young Han Chung
정영한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영한
– sequence: 2
  fullname: Young Han Chung
BookMark eNo9zE9LAkEABfAhDDLzE3TZS8eFWWfnH0QQZn9A8uJddnZ3YDEtXDp0S-gQmGBkaLGCQXXaw0JGBn6indnvkGF0eg_ej7cJcu3ztr8G8iVqIRNzjnIgb2HOTEYQ3gDFMAwEtG2KKLV5HrRUP9GTmfq-UQ-RkY3nWTdWvVs9GRu7qj80sm5ipF9z9b7YM_QoST9jM3u-y56Gv0L3ojTpph-L36anAz0aGOnsOnuMDBXP9TRSb8vp9V73Yh0t1Eu0Bdalcxb6xb8sgPphpV4-Nqu1o5PyftVsYkhMx4cUEkikEDaTzPUZgZgQyhxPSgaxzyWxmKDCd4nHPRcLxAV3SxhLiKUnUQHsrG7bl52g5XuB07hYFqdz1TitHVQsi6ESJWTptleuGYThP0GIUIwt9APh8IH4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데이비드 호크니의 <더 큰 그림> 연구-회화의 시각과 시점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DocumentTitle_FL Analysis of David Hockney`s <A Bigger Picture>-focusing on the subject of vision and perspective in painting
EISSN 2713-5993
EndPage 617
ExternalDocumentID NODE11832766
3367551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ID FETCH-LOGICAL-k506-ae070606fbb48f8ce86056678adff805e9f618b7bec6d9dc5b39b9c255f05fdf3
ISSN 1598-8635
IngestDate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5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5
Keywords 포토 콜라주
hockney-falco thesis
multiple imagery
더 큰 그림
호크니-팔코 이론
원근법
perspective
photographic collage
a bigger picture
다중 이미지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06-ae070606fbb48f8ce86056678adff805e9f618b7bec6d9dc5b39b9c255f05fdf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urimedia_primary_NODE11832766
kiss_primary_336755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5-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15
  text: 2015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5757501
Snippet 이 논문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근작 <더 큰 그림>에 관계된 ‘시점’에 대한 문제를 호크니의 회화론과 동시대적 입장을 통해분석하는 것을 논점으로 한다. 호크니는 회화, 판화, 사진, 무대미술, 일러스트 디자인, 그리고 ‘아이폰 드로잉’이라고 불리는 미디어통신 매체를 활용한 작품 등,...
SourceID nurimedia
kiss
SourceType Publisher
StartPage 605
SubjectTerms a bigger picture
hockney-falco thesis
multiple imagery
perspective
photographic collage
다중 이미지
더 큰 그림
원근법
포토 콜라주
호크니-팔코 이론
Title 데이비드 호크니의 <더 큰 그림> 연구-회화의 시각과 시점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367551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2766
Volume 1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axQxFA_dXtSDKFWsf8oczGmZMtmZZBIQYWZ2ZBFaLyv0VnZmdhCKbdHdiwex4EGohYqVVtlCBfW0hwUrVugn2pn9Dr5ksruDClphGd4kL7-X5E1eXpbkBaHbwolFJK9vJ0lUMx0ewZACL8OsxY4NtrCWWup8xdIyazx07q_QlZlKUtq11O1Ei_GzP54r-R-tQhroVZ6SPYNmJ6CQADToF56gYXj-k45x6GNex76FwwALIByZ4gvMFSFsLIIqDutYcOxzSXCCvUAVgx_XxQSvYjvQYMKpakbfAsrDvqvK-thj2A-wHVZVMVeJhWwKiKYS4mEeKEIASgkbKBAnAsVuSWhJ2IBWzguwJzddaHChhTtyK4bEpEVbfFl_n4_ZVa09OobyHCyIxvQUJnD4BRMBuuyKK3iuO0_KKUCJSlFdBjK1ZPF7k8df6rgmVLFw1TpdXXDelTGtNsCIBo-UWRXlv1kILc1PcmBMi2ox9TPWUmuhPNUIbnJWBGtZbKu0mktsk4rizsjJ_MRK45CWJhtm0ZLfwoozsL9ED19-UA-JNNsuYxVUsYm8X2LpeTh1mYmKuTh5F_Iw89RGO45rw9gVKuywrjB4L7C4eXoBnVvvyjsowJCVfLLmJXRRL6YMrxgZl9HM2sYcepztDPLD4-zHy-xtzxgdnIy2-tn2q_zwwLiT7ewZo62BMfx-kn05vWvk-4Pht745-vB69H5PcuTbveFga_j1VFL50W6-v2sMj1-M3vWMrH-SH_Wyz5D16U2-3c97p9nH3hXUvBc2g4apLxUx16jFzFbbkvGiWBpFDk953ObQiww8tlaSptyibZEywiMXTBtLRBLTyAZbFsPCO7VomqT2VTS7vrHevoYMESewGEriOIpg2Z84nAoZXZTwJG4RN6HzaE520-pmETZm1bZhcU7JPFqYdNskr6ym639juIHOT7_Qm2i286TbvgWucSdaULr9Cfbfm6c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D%B0%EC%9D%B4%EB%B9%84%EB%93%9C+%ED%98%B8%ED%81%AC%EB%8B%88%EC%9D%98+%3C%EB%8D%94+%ED%81%B0+%EA%B7%B8%EB%A6%BC%3E+%EC%97%B0%EA%B5%AC-%ED%9A%8C%ED%99%94%EC%9D%98+%EC%8B%9C%EA%B0%81%EA%B3%BC+%EC%8B%9C%EC%A0%90%EC%97%90+%EA%B4%80%ED%95%9C+%EB%AC%B8%EC%A0%9C%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C%A0%95%EC%98%81%ED%95%9C%28Young+Han+Chung%29&rft.date=2015-10-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16&rft.issue=5&rft.spage=605&rft.epage=617&rft.externalDocID=NODE1183276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