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

최근 모바일의 확산과 웹 서비스의 도입으로 온라인 상에 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분야에서 소셜 미디어의 등장은 축적되는 비정형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자원으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의 긍정적인 미래 전망과 함께 데이터의 침해 및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정보처리학회 논문지 (KTSDE) Vol. 6; no. 7; pp. 371 - 378
Main Authors 윤유동, Youdong Yun, 조재춘, Jaechoon Jo, 허윤아, Yuna Hur, 임희석, Heuiseok L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처리학회 31.07.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5905

Cover

Abstract 최근 모바일의 확산과 웹 서비스의 도입으로 온라인 상에 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분야에서 소셜 미디어의 등장은 축적되는 비정형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자원으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의 긍정적인 미래 전망과 함께 데이터의 침해 및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이 공존하는 빅데이터에 대해 사람들의 의견을 분석하는 연구는 현재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수집한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비교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결과, 국내 빅데이터에 대한 연도별 키워드와 함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긍정적인 의견과 증가하는 부정적인 의견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빅데이터에 대한 흐름을 예측할 수 있었다. Recently, with the spread of smart device and the introduction of web services, the data is rapidly increasing online, and it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social media in the big data field has led to a rapid increase in the amount of unstructured data. In order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from such unstructured data, interest in big data technology has increased in various fields. Big data is becoming a key resource in many areas. Big data`s prospects for the future are positive, but concerns about data breaches and privacy are constantly being addressed. On this subject of big data, where positive and negative views coexist, the research of analyzing people`s opinions currently lack.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on big data based on unstructured data collected from the social media using a text mining. As a results, yearly keywords for domestic big data, declining positive opinions, and increasing negative opinions were observed. Based on these results, we could predict the flow of domestic big data.
AbstractList Recently, with the spread of smart device and the introduction of web services, the data is rapidly increasing online, and it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social media in the big data field has led to a rapid increase in the amount of unstructured data. In order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from such unstructured data, interest in big data technology has increased in various fields. Big data is becoming a key resource in many areas. Big data's prospects for the future are positive, but concerns about data breaches and privacy are constantly being addressed. On this subject of big data, where positive and negative views coexist, the research of analyzing people's opinions currently lack.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on big data based on unstructured data collected from the social media using a text mining. As a results, yearly keywords for domestic big data, declining positive opinions, and increasing negative opinions were observed. Based on these results, we could predict the flow of domestic big data. 최근 모바일의 확산과 웹 서비스의 도입으로 온라인 상에 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분야에서 소셜 미디어의 등장은 축적되는 비정형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자원으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의 긍정적인 미래 전망과 함께 데이터의 침해 및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이 공존하는 빅데이터에 대해 사람들의 의견을 분석하는 연구는 현재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수집한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비교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결과, 국내 빅데이터에 대한 연도별 키워드와 함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긍정적인 의견과 증가하는 부정적인 의견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빅데이터에 대한 흐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최근 모바일의 확산과 웹 서비스의 도입으로 온라인 상에 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분야에서 소셜 미디어의 등장은 축적되는 비정형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자원으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의 긍정적인 미래 전망과 함께 데이터의 침해 및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이 공존하는 빅데이터에 대해 사람들의 의견을 분석하는 연구는 현재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수집한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비교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결과, 국내 빅데이터에 대한 연도별 키워드와 함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긍정적인 의견과 증가하는 부정적인 의견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빅데이터에 대한 흐름을 예측할 수 있었다. Recently, with the spread of smart device and the introduction of web services, the data is rapidly increasing online, and it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social media in the big data field has led to a rapid increase in the amount of unstructured data. In order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from such unstructured data, interest in big data technology has increased in various fields. Big data is becoming a key resource in many areas. Big data`s prospects for the future are positive, but concerns about data breaches and privacy are constantly being addressed. On this subject of big data, where positive and negative views coexist, the research of analyzing people`s opinions currently lack.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on big data based on unstructured data collected from the social media using a text mining. As a results, yearly keywords for domestic big data, declining positive opinions, and increasing negative opinions were observed. Based on these results, we could predict the flow of domestic big data.
Author 임희석
Heuiseok Lim
허윤아
조재춘
윤유동
Yuna Hur
Jaechoon Jo
Youdong Yu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윤유동
– sequence: 2
  fullname: Youdong Yun
– sequence: 3
  fullname: 조재춘
– sequence: 4
  fullname: Jaechoon Jo
– sequence: 5
  fullname: 허윤아
– sequence: 6
  fullname: Yuna Hur
– sequence: 7
  fullname: 임희석
– sequence: 8
  fullname: Heuiseok Lim
BookMark eNo9zD9PwkAYBvAbMBGRT-DSxbFJe--9vbuREP-TsLA31_ZIGrAa6uLGUFzEhAExGPoBnCQRDX4le_0OYiRMT_Lk9zwHpJLcJLpCqpQKbqN0cJ_U0zQOHATgnCFUiTIPYzNaWMX7uphOzWxlFU9Lk6_KbGkVX5nJcpNnVjlfmNe38nnjvkc7YF4mVjEe_tUmX5vH3Co-huV8ukHZz-dkuz8ke13VT3V9mzXSOT3pNM_tVvvsotlo2T100JYylFJQVEGkELQXeEEXtItR13Eo10pQ4KHHtXAFhOBqpqKQCckYiySFUEKNHP_f9uL0LvaTKO37l42rNnVcTj3XA0AUHm7c0c6l_u0gvlaDex-QcgYMfgH4J3Vp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DEWEY 004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소셜 미디어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
EndPage 378
ExternalDocumentID JAKO201726163355865
352743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UV
JDI
ID FETCH-LOGICAL-k505-99c99825abda53e6b6bf3e15df0027ea8237c67e8183c31e4adc489444d923c93
ISSN 2287-5905
IngestDate Fri Dec 22 12:03:55 EST 2023
Sat Feb 15 02:11:14 ES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7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05-99c99825abda53e6b6bf3e15df0027ea8237c67e8183c31e4adc489444d923c93
Notes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KISTI1.1003/JNL.JAKO201726163355865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2616335586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8
ParticipantIDs kisti_ndsl_JAKO201726163355865
kiss_primary_352743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07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7-07-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7
  year: 2017
  text: 201707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KTSDE)
PublicationTitleAlternate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KTSDE)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한국정보처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정보처리학회
SSID ssib053377453
ssib013223549
ssib044742768
ssib058467650
ssib014210003
ssib012446219
Score 1.6286905
Snippet 최근 모바일의 확산과 웹 서비스의 도입으로 온라인 상에 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분야에서 소셜 미디어의 등장은 축적되는 비정형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Recently, with the spread of smart device and the introduction of web services, the data is rapidly increasing online, and it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SourceID kisti
kiss
SourceTyp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71
SubjectTerms Annual Key-Words
Big Data
Opinion Mining
Social Media
Word Cloud
빅데이터
소셜 미디어
연도별 키워드
오피니언 마이닝
워드 클라우드
Title 소셜 미디어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27434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2616335586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Volume 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ahRBcEhy8uIris8wB_u0TNiZ7p7tPvbsg5gQFYyQ2zKPDkgkEZMgeJAcNl6MkENUItkP8GTAKPGX3Nk_8GBVz2NnQyQqLENPdU1VddXOVFX3TLVl3dPM03HIGw5kFysOAzQn0pw6gvo0EtrlifnKdfGBP_eEzS_z5YnJX5W3lrY2o9n41ZnflfyPVQEGdsWvZP_BsiVRAEAb7AtHsDAc_8rGpN0kwieiaRqcyGaNtAOiOiQQ2JAMf9AnfRIw0ydaJKgbEDSgr0UEA4jpC3w8QVIMuzMkgde1iJRA3YAUUdJASn6BROZ_Jm4gDSIzLiCtqFcJZOjCMAaZWxlNWmABY1ayAaKKBLygNS5xNdBGoKojj4xYYNACj0ijGeUT1SyEyIajjB4DHEpgGoCQSaUaIMtsbeH-o8e4pUaxv7pZaNkAN_YyzBdh8HXbmh5VeJytVSzUQluITCsqpyyBixg3EKhLdM4xlTIj4qX8xV1jkEFeVjTqhk7nFIpyC8Jto4Um6lGKEUoLzSXEODlOBBtj1M5HA-JlVEZGyKeR3HJ-uvA2HqTODpd1XnWNfuUJ0Ki4OZptm5NHTDTbhGm8mPmpIKN89XNeLTxE_pC5-xRr-_t80pqkLvqoxdftwhdg2Ol7o1KDOGlCKyvSLvNwZar0LYw1mFdJnSGLgcTGFKEtRwZRFyRlG5CGYm72tBJHLl22LuYJoK2yu_mKNbG6ftW6VGyuYue-dtoK0ze76c6hPfhyMtjfTz8c24N3R2n_eNg7sgffe2mvn_Z79vDgMP30efge8H7slAjpxz17sLuN4LR_kr7t24Ov28ODfUDq_fy2l19_zVrqtJeac06-H4qzCnmKI2UspfB4GCUhp9qP_GiF4tN0BeeWdIhlp2K_oSEEpzF1NQuTmAnJGEsgi4slvW5Nra2v6RuW7Sbacxs6kpEfMi214CF1Q1eHPMFyTuymNY2a6j7PKt50IUuDTAPAM0Zz3bVk41n3DEveOg_htnVh9Oe7Y01tvtjSdyGq34xmjPl_A4QwxeE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6%8C%EC%85%9C+%EB%AF%B8%EB%94%94%EC%96%B4+%EB%8D%B0%EC%9D%B4%ED%84%B0+%EB%B6%84%EC%84%9D%EC%9D%84+%ED%99%9C%EC%9A%A9%ED%95%9C+%EB%B9%85%EB%8D%B0%EC%9D%B4%ED%84%B0%EC%97%90+%EB%8C%80%ED%95%9C+%EC%9D%B8%EC%8B%9D+%EB%B3%80%ED%99%94+%EB%B9%84%EA%B5%90+%EB%B6%84%EC%84%9D&rft.jtitle=%EC%A0%95%EB%B3%B4%EC%B2%98%EB%A6%AC%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KIPS+transactions+on+software+and+data+engineering.+%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EB%B0%8F+%EB%8D%B0%EC%9D%B4%ED%84%B0+%EA%B3%B5%ED%95%99&rft.au=%EC%9C%A4%EC%9C%A0%EB%8F%99&rft.au=%EC%A1%B0%EC%9E%AC%EC%B6%98&rft.au=%ED%97%88%EC%9C%A4%EC%95%84&rft.au=%EC%9E%84%ED%9D%AC%EC%84%9D&rft.date=2017-07-31&rft.issn=2287-5905&rft.volume=6&rft.issue=7&rft.spage=371&rft.epage=37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72616335586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7-590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7-590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7-590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