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환자에서 노안교정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 수술의 장기적인 임상 결과

목적: 근시 환자에서 노안교정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 수술의 효능과 안정성 및 환자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노안으로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 수술을 받았던 환자 중 근시환자 18명 36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거리, 중간거리와 근거리 시력, 구면렌즈대응치 및 환자 만족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12개월 후 우세안과 양안의 원거리 및 중간거리 나안시력은 모든 환자에서 0.8 이상이었다. 근거리 나안시력은 비우세안의 경우 83%에서 0.5 (J3) 이상이었고 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4; no. 12; pp. 1893 - 1901
Main Authors 강경민, Kyoung Min Kang, 정보영, Bo Young Jung, 조희태, Hee Tae Cho, 이준훈, Jun Hun Lee, 김홍균, Hong Ky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근시 환자에서 노안교정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 수술의 효능과 안정성 및 환자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노안으로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 수술을 받았던 환자 중 근시환자 18명 36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거리, 중간거리와 근거리 시력, 구면렌즈대응치 및 환자 만족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12개월 후 우세안과 양안의 원거리 및 중간거리 나안시력은 모든 환자에서 0.8 이상이었다. 근거리 나안시력은 비우세안의 경우 83%에서 0.5 (J3) 이상이었고 양안의 경우 94%에서 0.5 (J3) 이상이었다. 수술 후 우세안의 평균 구면렌즈대응치는 수술 1, 6, 12개월에 각각 -0.09 ± 0.35D, -0.17 ± 0.42D, -0.17 ± 0.47D였으며 비우세안에서는 각각 -0.94 ± 0.53D, -1.03 ± 0.56D, -1.02 ± 0.50D로 유의한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수술 후 전반적인 환자의 만족도는 좋았다(5점 만점에 4.2점). 결론: 노안교정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 수술은 모든 거리에서의 나안시력을 호전시키고 굴절부등에 대한 환자의 관용도가 높으며 수술 후 퇴행이 거의 없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방법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3;54(12):1893-1901>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safety,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who underwent LASIK for presbyopia correction in myopic patients using aspheric micro-monovision. Methods: LASIK for presbyopic correction using aspheric micro-monovision was performed in 18 patients between December 2010 and December 2011.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visual acuity, refractive change, and patient`s satisfaction were evaluated for at least 12 months after the surgery. Results: Among dominant eyes, 100% achieved uncorrected distance and intermediate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and 100% of the eyes achieved 0.8 or better binocularly. In the non-dominant eyes, 83% achieved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of J3 or better, and 94% of the eyes achieved J3 or better binocularly. Postoperatively, the mean manifest refraction spherical equivalent (MRSE) of the dominant eyes were -0.09 ± 0.35D, -0.17 ± 0.42D, and -0.17 ± 0.47D at 1, 6 and 12 months, respectively. The MRSE of the non-dominant eyes were -0.94 ± 0.53D, -1.03 ± 0.56D, and -1.02 ± 0.50D at postoperative 1, 6, and 12 months, respectively, without significant regression. After surgery, the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score was good (4.2 out of 5). Conclusions: The aspheric micro-monovision protocol showed good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visual outcomes, and was a well-tolerated, stable, and effective procedure for treating patients with myopic presb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12):1893-1901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