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 한국인에서 혈청페리틴 수준과 당뇨와의 관련성

본 연구는 도시에 거주하는 50세 이상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혈중 페리틴 수준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50세 이상 한국인 8,991명(남자: 3,588, 여자: 5,403)을 대상으로 하였다. 공복 시 혈당이 126 mg/dL 이상, 당화혈색소의 농도가 6.5% 이상, 또는 당뇨약 복용 여부를 기준으로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하면 당뇨로 정의하였다. 혈청 페리틴 농도는 화학발광-미세입자-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구학적 요인, 신체계측 요인, 대사요인, 생활습관 요인을 보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 56; no. 4; pp. 321 - 328
Main Authors 이준호, Jun H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0.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3544
2288-166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도시에 거주하는 50세 이상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혈중 페리틴 수준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50세 이상 한국인 8,991명(남자: 3,588, 여자: 5,403)을 대상으로 하였다. 공복 시 혈당이 126 mg/dL 이상, 당화혈색소의 농도가 6.5% 이상, 또는 당뇨약 복용 여부를 기준으로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하면 당뇨로 정의하였다. 혈청 페리틴 농도는 화학발광-미세입자-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구학적 요인, 신체계측 요인, 대사요인, 생활습관 요인을 보정한 후 선형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혈중 페리틴 농도와 공복 시 혈당, 당화혈색소의 농도 및 당뇨 유병률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페리틴 농도와 당뇨와의 관계는 J자형 그래프를 보여주었다. 당뇨의 위험은 혈중 페리틴 중간 분위에 비해 1분위와 4,5분위가 높게 나타났다(각각 odds ratio [OR], 1.21; 95% confidence interval[CI], 1.02∼1.43; OR, 1.36; 95% CI, 1.15∼1.16; OR, 1.77; 95% CI, 1.50∼2.09). 공복 시 혈당은 로그변환 한 5분위 페리틴의 농도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당화혈색소의 농도는 유의한 J자형 그래프 관계를 나타냈다. 대규모 표본집단 연구를 통하여5분위로 구분한 혈중 페리틴 농도는 당뇨 위험도, 당화혈색소의농도와 J자형 관계가 있었고. 공복 시 혈당 농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체내 저장된 철이 당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increased iron storage may promote the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DM).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ferritin levels and DM in a Korean population.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8,991 subjects (3,588 males and 5,403 females) aged 50 years and older in the Gwangju Study. DM was defined by fasting glucose ≥126 mg/dL or HbA1c ≥6.5% or people on blood glucose-lowering medication. The serum ferritin levels were determined using a chemiluminescent microparticle immunoassa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serum ferritin with DM, fasting glucose, and HbA1c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The ferritin levels showed a J-shaped association with the DM risk, with the highest odds in the 5th quintile (odds ratio 1.77, 95% confidence interval 1.50∼2.09). The fasting glucose level showed a positive quadratic relationship with log-transformed ferritin levels, while the HbA1c levels showed a J-shape association. The ferritin levels displayed a J-shape association with the risk of DM and the HbA1c levels and a quadratic association with the fasting glucose levels in a large population-based coh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ody iron loa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diabetes.
Bibliography: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ISTI1.1003/JNL.JAKO202409050403653
ISSN:1738-3544
2288-1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