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섭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매체예술의 의미와 특성-아방가르드 예술과 디지털 매체예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매체예술의 의미와 특징을 아방가르드 예술과 관련지어 통섭의 관점에서 연구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디지털 매체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목적의 디지털 매체예술 작품을 통섭의 관점으로 분석하되 아방가르드 예술작품에 나타난 통섭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매체와 매체예술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아방가르드의 예술작품과 디지털 매체예술의 사례를 통섭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 뒤 두 분야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정리...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6; no. 5; pp. 677 - 68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매체예술의 의미와 특징을 아방가르드 예술과 관련지어 통섭의 관점에서 연구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디지털 매체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목적의 디지털 매체예술 작품을 통섭의 관점으로 분석하되 아방가르드 예술작품에 나타난 통섭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매체와 매체예술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아방가르드의 예술작품과 디지털 매체예술의 사례를 통섭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 뒤 두 분야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아방가르드예술은 1)인문학과 시각예술의 통섭, 2)과학기술과 조형예술의 통섭, 3)예술과 반예술의 통섭, 4)복합예술로 인한 예술장르 간 통섭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디지털 매체예술은 1)작품과 관객의 통섭, 2)순수예술과 상업예술의 통섭, 3)다학제, 학문의 통섭, 4)디지털 기술 통섭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두 분야 간 관련성을 끌어내기 위해 본 논문은 객관적분석 틀로 ‘통섭’의 개념을 사용하였고 그 정신이 실천된 대표적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아방가르드 예술정신이 디지털 매체예술의 다양한 실험정신과 맞닿아 계승되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는데, 그 특성은 1)개념의 통섭, 2) 지식의 통섭, 3)형식의 통섭으로 정리되었다. 이로써 시대별로 제시된 두 개의 작품군은 개념과 지식, 형식의 차원에서 그간 이분법적으로 대립되었던 영역 간 경계를 허물어 하나의 큰 줄기로 포섭함으로써 시대가 요구하는 올바른 통섭의 의미를 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매체예술은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다학제 학문이 대등한 위치에서 접속하고 소통함으로써 보다 폭넓고 심층적인 방법으로 통섭의 의미와 개념을 실험하고 있고, 동시에 상호작용과 가상성등 디지털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섭의 가능성과 미래에 도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the direction digital media art should pursue moving forward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t in its relation to the avant-garde art in the consilience perspective. The study subjects were digital media art works for various purposes, and the study analyzed the subjects in comparison with the consilience examples that appear in the avant-garde art works. The study process first looked at the media and their formation processe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xt, the examples of the avant-garde and digital media art were analyzed in the consilience concep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ields was studi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ant-garde ar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1) consilience of humanity studies and visual art, 2) consilience of science technology and sculpture art, 3) consilience of art and anti-art, and 4) consilience among different art genres due to complex art. Digital media ar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1) consilience of the art work and audience, 2) consilience of pure art and commercial art, 3) consilience of multidisciplinary studies, and 4) consilience of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draw out the relevance between the two fields to an ideal level, this study utilized the concept of “consilience” as the objective standard of analysis, and conducted comparison analysis of representative cases in which the mentality was put into practice.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the avant-garde spirit of art has joined various spirits of experimentations of digital media art in its succession,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settled as 1) consilience of concept, 2) consilience of knowledge, 3) consilience of form. Thus, by t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fields of genre suggested for each of the period, which has been in dichotomous opposition up to this point, in the dimensions of concept, knowledge and form, and including them into a single large stem, it was evident that the correct meaning of consilience demanded by the current period is being sought. In particular, digital media art was seen to allow for access and communication of multidisciplinary studies including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al studies, science, and the arts among others at an equal level, thus carrying out experiments of meaning and concept of consilience through a more extensive and in-depth method, while taking on challenges on the possibilities of new consilience and the future with digital technology including interaction and virtuality.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