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분취, 취나물속의 일신종
경상남도 남해도에서 발견된 취나물속의 신종을 남해분취(Saussurea namhaedoana)로 기재했다. 이 종은 우리나라 특산으로 근생엽이 화기까지 숙존하며, 잎은 극형, 전형또는 드물게 심장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중열 또는 큰 거치가 발달하고, 아랫면에 조락하는 회백색 거미줄 털이 밀생하며, 총포는 통형으로 회백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다. 자생 취나물속 식물 중에 잎 아랫면에 회백색 또는 흰색 털이 밀생하는 종으로는 은분취(S. gracilis), 함백취(S. albifolia), 서울분취(S. seoulensis), 백운취(S...
Saved in:
Published in | Sigmul bunryu hag-hoej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52; no. 2; pp. 97 - 101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물분류학회
30.06.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8318 |
Cover
Summary: | 경상남도 남해도에서 발견된 취나물속의 신종을 남해분취(Saussurea namhaedoana)로 기재했다. 이 종은 우리나라 특산으로 근생엽이 화기까지 숙존하며, 잎은 극형, 전형또는 드물게 심장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중열 또는 큰 거치가 발달하고, 아랫면에 조락하는 회백색 거미줄 털이 밀생하며, 총포는 통형으로 회백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다. 자생 취나물속 식물 중에 잎 아랫면에 회백색 또는 흰색 털이 밀생하는 종으로는 은분취(S. gracilis), 함백취(S. albifolia), 서울분취(S. seoulensis), 백운취(S. insularis)가 있으나, 극형, 전형의 잎은 남해분취만의 특징이다.
Saussurea namhaedoana, a new endemic species narrowly restricted to Namhaedo Island of Korea, is reported in this study.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ongeneric species of Saussurea in Korea by having persistent radical leaves until flowering, hastate or sagittate leaves with mucronate toothed to undulate-lobulate margins, grayish cobwebby hairs on abaxial leaf surfaces when young, and tubular involucre with grayish cobwebby hairs. Morphologically, S. namhaedoana is closely related to other species in Korea, such as S. gracilis Maxim., S. insularis Kitam., S. seoulensis Nakai and S. albifolia M. J. Nam and H. T. Im, sharing grayish or white hairs on the abaxial leaf surfaces. It, however, can be distinguished from its close relatives by having a distinct leaf shape, i.e., sagittate or hastate leaves.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relative to congeners in East Asia is yet to be determined. |
---|---|
Bibliography: |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219559510581 |
ISSN: | 1225-8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