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발전의 신재생에너지 전환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본 연구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중 하나인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경우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A로 설정하고, 60%로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B로 설정한다. 또한 이렇게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때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현행과 동일한 비용인 경우를 시나리오 1, 현행보다 비용이 120% 증가한 경우를 시나리오 2로 설정한다. 따라서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때 시나리오는 크게 이와 같이 4가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자원·환경경제연구 Vol. 32; no. 2; pp. 127 - 147
Main Authors 임상수, Sangsoo L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30.06.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9146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중 하나인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경우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A로 설정하고, 60%로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B로 설정한다. 또한 이렇게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때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현행과 동일한 비용인 경우를 시나리오 1, 현행보다 비용이 120% 증가한 경우를 시나리오 2로 설정한다. 따라서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때 시나리오는 크게 이와 같이 4가지 경우로 정리된다.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경우, 화력발전의 생산유발계수는 시나리오와 관계없이 현행 수준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는 경우 부가가치유발계수와 온실가스배출량 유발계수는 현행 수준보다 감소한 반면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60% 대체하는 경우 부가가치유발계수와 온실가스배출량 유발계수는 현행 수준보다 증가했다. 또한 대부분의 업종의 온실가스배출량 유발계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생산유발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정책의 목적은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시켜 온실가스배출량을 축소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시나리오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는 경우가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로 인해 일부 업종의 생산유발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가 감소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one of the government's carbon-neutral policies,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For this analysis, scenario A is set to replace 100% of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scenario B is set to replace 60% of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costs are incurred when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scenario 1 is the same cost as the current cost, and scenario 2 is120% higher than the current cost. Therefore, when converting thermal power generation to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scenarios are largely organized into four cases. In the case of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rmal power generation decreased from the current level regardless of the scenario. However, the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nducement coefficient are lower than the current level when thermal power is converted to renewable energy by 100%, while the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nducement coefficient are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 In additi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nduction coefficient of most industries was found to decrease, while the production induction coefficient and the value-added induction coefficient increased. Scenario A seems appropriate because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s policy i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converting thermal power into new and renewable energy. However, as a result of this,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and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of some industries decrease, so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is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AbstractList 본 연구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중 하나인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경우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A로 설정하고, 60%로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B로 설정한다. 또한 이렇게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때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현행과 동일한 비용인 경우를 시나리오 1, 현행보다 비용이 120% 증가한 경우를 시나리오 2로 설정한다. 따라서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때 시나리오는 크게 이와 같이 4가지 경우로 정리된다.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경우, 화력발전의 생산유발계수는 시나리오와 관계없이 현행 수준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는 경우 부가가치유발계수와 온실가스배출량 유발계수는 현행 수준보다 감소한 반면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60% 대체하는 경우 부가가치유발계수와 온실가스배출량 유발계수는 현행 수준보다 증가했다. 또한 대부분의 업종의 온실가스배출량 유발계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생산유발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정책의 목적은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시켜 온실가스배출량을 축소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시나리오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는 경우가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로 인해 일부 업종의 생산유발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가 감소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one of the government's carbon-neutral policies,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For this analysis, scenario A is set to replace 100% of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scenario B is set to replace 60% of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costs are incurred when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scenario 1 is the same cost as the current cost, and scenario 2 is120% higher than the current cost. Therefore, when converting thermal power generation to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scenarios are largely organized into four cases. In the case of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rmal power generation decreased from the current level regardless of the scenario. However, the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nducement coefficient are lower than the current level when thermal power is converted to renewable energy by 100%, while the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nducement coefficient are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 In additi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nduction coefficient of most industries was found to decrease, while the production induction coefficient and the value-added induction coefficient increased. Scenario A seems appropriate because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s policy i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converting thermal power into new and renewable energy. However, as a result of this,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and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of some industries decrease, so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is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one of the government's carbon-neutral policies,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For this analysis, scenario A is set to replace 100% of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scenario B is set to replace 60% of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costs are incurred when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scenario 1 is the same cost as the current cost, and scenario 2 is120% higher than the current cost. Therefore, when converting thermal power generation to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scenarios are largely organized into four cases. In the case of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with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rmal power generation decreased from the current level regardless of the scenario. However, the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nducement coefficient are lower than the current level when thermal power is converted to renewable energy by 100%, while the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nducement coefficient are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 In additi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nduction coefficient of most industries was found to decrease, while the production induction coefficient and the value-added induction coefficient increased. Scenario A seems appropriate because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s policy i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converting thermal power into new and renewable energy. However, as a result of this,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and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of some industries decrease, so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is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본 연구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중 하나인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경우 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A로 설정하고, 60%로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B로 설정한다. 또한 이렇게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때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현행과 동일한 비용인 경우를 시나리오 1, 현행보다 비용이 120% 증가한 경우를 시나리오 2로 설정한다. 따라서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때 시나리오는 크게 이와 같이 4가지 경우로 정리된다.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경우, 화력발전의 생산유발계수는 시나리오와 관계없이 현행 수준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는 경우 부가가치유발계수와 온실가스배출량 유발계수는 현행 수준보다 감소한 반면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60% 대체하는 경우 부가가치유발계수와 온실가스배출량 유발계수는 현행 수준보다 증가했다. 또한 대부분의 업종의 온실가스배출량 유발계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생산유발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정책의 목적은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시켜 온실가스배출량을 축소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시나리오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는 경우가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로 인해 일부 업종의 생산유발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가 감소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Author Sangsoo Lim
임상수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임상수
– sequence: 2
  fullname: Sangsoo Lim
BookMark eNo9jz1Lw0Acxm-oYI39BC5ZHAP__C-59MZSfC8UoXvIywVCa5TGxU0xg2IHh4KtGMlSdHAoCtJBv1By-Q4eKE4PP54XeDZIIzlNRIM0TURucNNi66SVprEPwLGNDuVNclzPp1WxqJZPsshkPtPlXSGf3-R1Lh_uq-xGvlzqyqnnM8V6NV1Wi5Vevn_LQhWu9HoyKVe39eNr-fGlV5-ZzPJNshZ5o1S0_lQjg92dQXff6PX3DrqdnjG0wTTQQ9OPOGW-F9jgBSygnrBYwEMhBDd9EYJAHyIUlg2KQ-pHaFIMELDNHKAa2f6dHcbpeewmYTpyDztHfeVTBMdBAGaphka2_nOpezaOT7zxhWuBus8Y_QFDtG0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DEWEY 333.7
DatabaseNam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Law
Environmental Sciences
DocumentTitleAlternate 화력발전의 신재생에너지 전환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ndPage 147
ExternalDocumentID JAKO202320772006421
4027366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JDI
ID FETCH-LOGICAL-k501-2a21bf936bac50ac6c3ae46c9deee91bed0e2b0f2e45091bd3bf2132c20286703
ISSN 1229-9146
IngestDate Fri Dec 22 11:59:36 EST 2023
Wed Jun 11 02:10:2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01-2a21bf936bac50ac6c3ae46c9deee91bed0e2b0f2e45091bd3bf2132c20286703
Notes The Korea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KISTI1.1003/JNL.JAKO202320772006421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2077200642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21
ParticipantIDs kisti_ndsl_JAKO202320772006421
kiss_primary_402736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3
  text: 2023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자원·환경경제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자원·환경경제연구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SSID ssib009282739
ssib053377400
ssib016108118
ssib044742686
Score 1.8354868
Snippet 본 연구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중 하나인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경우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화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A로 설정하고, 60%로 대체하는 경우를 시나리오 B로 설정한다....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replacing thermal power generation, one of the government's carbon-neutral policies, with new and...
SourceID kisti
kiss
SourceTyp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27
SubjectTerms Greenhouse gas emission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Thermal power generationl
Value inducement effect
부가가치유발계수
생산유발계수
신재생에너지
온실가스배출량
화력발전
Title 화력발전의 신재생에너지 전환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02736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2077200642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Volume 3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Nj25EW0tVg_Sg7OaYkkk0kyc0yykVKtIq7Q2zL5WJHKrrhbBA-iuAfFHjwUbMWVvRQ9eCgK0oP-F8-b7H_wTZImQRb8gN3h7Zs3773MC2_eG-bNInRFN2CNNEOu0ii2VGp1A1VEMVdJKCI7Moygy2S98-ZNa_0u3dgytxqNn7VTSzvD4Gr4ZG5dyf9YFXBgV1kl-w-WLZkCAmCwL7RgYWj_ysbYb2HOMafYd7GjYceUgKth7mHfkxhGJcCBjDUlxDI6ifKxkxExQ3ZLjI25JsfDGMay8TZmWrPGKZfGSuqmJAfpbjYOpLtSioNdgt1WMa5SRW9KDsyTH0nEMOMZTwc7LMMY2PUynq5VaA4tb9UD6EJ3nj-EKwEPpNk15Ur58xQBvaW20GXi6trJgmsh0wBdM4BhXp70vSN69wb9vqwIq--UEOPkWF_p3Anh4NyLLc_C-1e7q2USnrtyPb-zoIgKdGpXK-bJKYHfFtLyeOOGc_2WVIBokLtoWS3xAlowdOmHN5_6pb_jkO_a1a2sEHxDgFbFCpTaED9V1_tBZA7BelZVVT4KRBKQaAwgtZL5xv1abNQ-g04XSY3i5G_oWdTY7i-hFb-qoYTOYhEZLKGFG-LxMro9O9hLJofJ0ft0MkrH-0r6epJ--Jy-GKdv3ySjl-nHZwr0zA724beS7B0lh8fK9MuPdAIDniuz3d3p8avZu0_Tr9-V5NsoHY3PofY1v-2tq8X_e6jbpqarRBA96HLDCkRoaiK0QkPE1Ap5FMcx14M40mISaF0SUxnVBhE4DqIbJISpZRasVCtosdfvxeeREkahSYUl4MupMLoiYkTEkEmHNKQkslfRspylzsP8BpcOlbc4WdYqWstmrdOLBg86c6x24U8EF9Gp6k27hBaHj3biyxClDoO1zNS_AFo4ej4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9%94%EB%A0%A5%EB%B0%9C%EC%A0%84%EC%9D%98+%EC%8B%A0%EC%9E%AC%EC%83%9D%EC%97%90%EB%84%88%EC%A7%80+%EC%A0%84%ED%99%98%EC%97%90+%EB%94%B0%EB%A5%B8+%EA%B2%BD%EC%A0%9C%EC%A0%81+%ED%8C%8C%EA%B8%89%ED%9A%A8%EA%B3%BC+%EB%B6%84%EC%84%9D&rft.jtitle=%EC%9E%90%EC%9B%90%C2%B7%ED%99%98%EA%B2%BD%EA%B2%BD%EC%A0%9C%EC%97%B0%EA%B5%AC&rft.au=%EC%9E%84%EC%83%81%EC%88%98&rft.au=Sangsoo+Lim&rft.date=2023-06-30&rft.issn=1229-9146&rft.volume=32&rft.issue=2&rft.spage=127&rft.epage=14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32077200642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91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91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91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