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내 식물체와 순화묘의 Erwinia amylovora 인공접종을 통한 사과 대목별 화상병 저항성 평가

Fire blight, caused by Erwinia amylovora, is a destructive bacterial disease affecting over 200 species in the Rosaceae family, including economically significant crops such as apple, pear, apricot, and plum. It infects leaves, flowers, branches, and fruits, often leading to the complete loss of tr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igmulbyeong yeon'gu Vol. 31; no. 1; pp. 62 - 70
Main Authors 유세은, 권영희, 이민정, 유지윤, 이경희, 김주형, 김대일, Se Eun Yoo, Young Hee Kwon, Min Jeong Lee, Ji Yoon Yoo, Kyeong Hee Lee, Ju-Hyoung Kim, Daeil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물병리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262
2233-9191
DOI10.5423/RPD.2025.31.1.62

Cover

Loading…
Abstract Fire blight, caused by Erwinia amylovora, is a destructive bacterial disease affecting over 200 species in the Rosaceae family, including economically significant crops such as apple, pear, apricot, and plum. It infects leaves, flowers, branches, and fruits, often leading to the complete loss of trees. Since its first outbreak in Korea in 2015, fire blight has spread to 1,044 hectares across 28 cities and counties as of 2022. With no curative treatments, current management in Korea relies on preventative measures, such as antibiotic applications before and after bloom and the removal of cankered tissues in winter. In contrast, the United States uses resistant rootstocks, such as the Geneva series, to control outbreaks. However, widely used Korean rootstocks, including M.9 and M.26, are highly susceptible,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resistant alternatives. This study evaluated fire blight resistance in apple rootstocks under controlled laboratory conditions. In vitro assays identified 106 colony forming unit/ml as the optimal inoculum concentration, allowing significant resistance differentiation by day 28.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acclimated seedlings revealed that resistant rootstocks G.11 and G.30 effectively restricted bacterial spread beyond the inoculation site, while the susceptible M.9 exhibited infection across most tissu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resistant rootstocks to mitigate fire blight and support sustainable apple production. 과수 화상병은 Erwinia amylovora 세균에 의하여 사과, 배, 살구, 자두, 비파, 모과 등 장미과 40속 200여종 식물의 잎,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에서 약한 부분을 통해 감염되어 나무 전체를 고사시키는 병이다. 우리나라는 2015년 경기도 안성에서 첫 발생한 이래로 2022년도 기준으로 면적 1,044 ha, 28개 시군에서 발생되어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과수 화상병은 뚜렷한 치료 약제가 없는 실정으로 국내에서는 전염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개화 전·후 항생제를 이용한 예방, 겨울철 궤양 증상의 사전 제거와 같은 방법으로 방제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과수 화상병 저항성 대목을 이용하여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과수 화상병 저항성 대목으로 미국 코넬대학 제네바 연구소의 Geneva NY Breeding Program을 통하여 육성된 Geneva계 대목이 있다. 반면,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사과 대목은 화상병에 매우 취약한 M.9, M.26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상병 저항성 대목으로의 교체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목별 저항성 차이를 보기 위하여 실험실 내에서 기내 식물체와 순화묘 형태의 과수 화상병 저항성 대목과 감수성 대목에 E. amylovora를 접종하여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내 식물체 저항성 검정 시험에서 접종 농도 109 CFU/ml에서는 21일차에 저항성 대목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모든 대목의 감염 속도가 빨라 차이가 크지 않았다. 반면 106 CFU/ml에서는 28일차에 유의한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기내 식물체는 자연 상태의 식물체보다 더 민감하고 연약한 조직을 가지고 있어, 과도한 접종 농도는 병변을 심화시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106 CFU/ml가 적절한 접종 농도이며 접종 28일 후에 저항성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순화묘의 저항성 검정 결과, 발병엽률 조사 방법은 육안으로 갈변된 잎을 관찰하여 평가하였으나, 화상병균에 의한 병징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비해, PCR 분석을 통해 조직 내 병원균의 확산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이 보다 정확한 평가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줄기의 구간별 PCR 분석 결과, M.9 대목은 대부분 감염된 반면, G.11 및 G.30 대목에서는 접종 부위를 제외하고 화상병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G.11 등 저항성 대목은 감수성 대목인 M.9에 비해 화상병 저항성 효과가 높아, 화상병 확산 방지를 위한 저항성 대목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List 과수 화상병은 Erwinia amylovora 세균에 의하여 사과, 배, 살구, 자두, 비파, 모과 등 장미과 40속 200여종 식물의 잎,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에서 약한 부분을 통해 감염되어 나무 전체를 고사시키는 병이다. 우리나라는 2015년 경기도 안성에서 첫발생한 이래로 2022년도 기준으로 면적 1,044 ha, 28개 시군에서 발생되어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과수 화상병은 뚜렷한 치료 약제가 없는 실정으로 국내에서는 전염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개화 전·후 항생제를 이용한 예방, 겨울철 궤양 증상의 사전 제거와 같은 방법으로 방제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과수 화상병 저항성 대목을 이용하여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과수 화상병 저항성 대목으로 미국 코넬대학 제네바 연구소의Geneva NY Breeding Program을 통하여 육성된 Geneva계 대목이 있다. 반면,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사과 대목은 화상병에 매우 취약한 M.9, M.26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상병 저항성 대목으로의 교체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목별 저항성 차이를 보기 위하여 실험실 내에서 기내 식물체와순화묘 형태의 과수 화상병 저항성 대목과 감수성 대목에 E. amylovora를 접종하여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고자하였다. 먼저 기내 식물체 저항성 검정 시험에서 접종 농도 109 CFU/ml에서는 21일차에 저항성 대목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모든 대목의 감염 속도가 빨라 차이가 크지 않았다. 반면106 CFU/ml에서는 28일차에 유의한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기내 식물체는 자연 상태의 식물체보다 더 민감하고 연약한조직을 가지고 있어, 과도한 접종 농도는 병변을 심화시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106 CFU/ml가 적절한 접종 농도이며 접종 28일 후에 저항성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적합하다고판단하였다. 순화묘의 저항성 검정 결과, 발병엽률 조사 방법은육안으로 갈변된 잎을 관찰하여 평가하였으나, 화상병균에 의한 병징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비해, PCR 분석을 통해 조직 내 병원균의 확산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이 보다 정확한 평가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줄기의 구간별 PCR 분석 결과, M.9 대목은 대부분 감염된 반면, G.11 및G.30 대목에서는 접종 부위를 제외하고 화상병균이 검출되지않았다. 이와 같이 G.11 등 저항성 대목은 감수성 대목인 M.9에비해 화상병 저항성 효과가 높아, 화상병 확산 방지를 위한 저항성 대목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Fire blight, caused by Erwinia amylovora, is a destructive bacterial disease affecting over 200 species in the Rosaceae family, including economically significant crops such as apple, pear, apricot, and plum. It infects leaves, flowers, branches, and fruits, often leading to the complete loss of trees. Since its first outbreak in Korea in 2015, fire blight has spread to 1,044 hectares across 28 cities and counties as of 2022. With no curative treatments, current management in Korea relies on preventative measures, such as antibiotic applications before and after bloom and the removal of cankered tissues in winter. In contrast, the United States uses resistant rootstocks, such as the Geneva series, to control outbreaks. However, widely used Korean rootstocks, including M.9 and M.26, are highly susceptible,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resistant alternatives. This study evaluated fire blight resistance in apple rootstocks under controlled laboratory conditions. In vitro assays identified 106 colony forming unit/ml as the optimal inoculum concentration, allowing significant resistance differentiation by day 28.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acclimated seedlings revealed that resistant rootstocks G.11 and G.30 effectively restricted bacterial spread beyond the inoculation site, while the susceptible M.9 exhibited infection across most tissu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resistant rootstocks to mitigate fire blight and support sustainable apple production. KCI Citation Count: 0
Fire blight, caused by Erwinia amylovora, is a destructive bacterial disease affecting over 200 species in the Rosaceae family, including economically significant crops such as apple, pear, apricot, and plum. It infects leaves, flowers, branches, and fruits, often leading to the complete loss of trees. Since its first outbreak in Korea in 2015, fire blight has spread to 1,044 hectares across 28 cities and counties as of 2022. With no curative treatments, current management in Korea relies on preventative measures, such as antibiotic applications before and after bloom and the removal of cankered tissues in winter. In contrast, the United States uses resistant rootstocks, such as the Geneva series, to control outbreaks. However, widely used Korean rootstocks, including M.9 and M.26, are highly susceptible,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resistant alternatives. This study evaluated fire blight resistance in apple rootstocks under controlled laboratory conditions. In vitro assays identified 106 colony forming unit/ml as the optimal inoculum concentration, allowing significant resistance differentiation by day 28.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acclimated seedlings revealed that resistant rootstocks G.11 and G.30 effectively restricted bacterial spread beyond the inoculation site, while the susceptible M.9 exhibited infection across most tissu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resistant rootstocks to mitigate fire blight and support sustainable apple production. 과수 화상병은 Erwinia amylovora 세균에 의하여 사과, 배, 살구, 자두, 비파, 모과 등 장미과 40속 200여종 식물의 잎,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에서 약한 부분을 통해 감염되어 나무 전체를 고사시키는 병이다. 우리나라는 2015년 경기도 안성에서 첫 발생한 이래로 2022년도 기준으로 면적 1,044 ha, 28개 시군에서 발생되어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과수 화상병은 뚜렷한 치료 약제가 없는 실정으로 국내에서는 전염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개화 전·후 항생제를 이용한 예방, 겨울철 궤양 증상의 사전 제거와 같은 방법으로 방제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과수 화상병 저항성 대목을 이용하여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과수 화상병 저항성 대목으로 미국 코넬대학 제네바 연구소의 Geneva NY Breeding Program을 통하여 육성된 Geneva계 대목이 있다. 반면,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사과 대목은 화상병에 매우 취약한 M.9, M.26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상병 저항성 대목으로의 교체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목별 저항성 차이를 보기 위하여 실험실 내에서 기내 식물체와 순화묘 형태의 과수 화상병 저항성 대목과 감수성 대목에 E. amylovora를 접종하여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내 식물체 저항성 검정 시험에서 접종 농도 109 CFU/ml에서는 21일차에 저항성 대목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모든 대목의 감염 속도가 빨라 차이가 크지 않았다. 반면 106 CFU/ml에서는 28일차에 유의한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기내 식물체는 자연 상태의 식물체보다 더 민감하고 연약한 조직을 가지고 있어, 과도한 접종 농도는 병변을 심화시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106 CFU/ml가 적절한 접종 농도이며 접종 28일 후에 저항성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순화묘의 저항성 검정 결과, 발병엽률 조사 방법은 육안으로 갈변된 잎을 관찰하여 평가하였으나, 화상병균에 의한 병징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비해, PCR 분석을 통해 조직 내 병원균의 확산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이 보다 정확한 평가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줄기의 구간별 PCR 분석 결과, M.9 대목은 대부분 감염된 반면, G.11 및 G.30 대목에서는 접종 부위를 제외하고 화상병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G.11 등 저항성 대목은 감수성 대목인 M.9에 비해 화상병 저항성 효과가 높아, 화상병 확산 방지를 위한 저항성 대목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uthor 유지윤
이경희
Se Eun Yoo
Ji Yoon Yoo
이민정
유세은
Ju-Hyoung Kim
Young Hee Kwon
Min Jeong Lee
권영희
김대일
Kyeong Hee Lee
Daeil Kim
김주형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유세은
– sequence: 2
  fullname: 권영희
– sequence: 3
  fullname: 이민정
– sequence: 4
  fullname: 유지윤
– sequence: 5
  fullname: 이경희
– sequence: 6
  fullname: 김주형
– sequence: 7
  fullname: 김대일
– sequence: 8
  fullname: Se Eun Yoo
– sequence: 9
  fullname: Young Hee Kwon
– sequence: 10
  fullname: Min Jeong Lee
– sequence: 11
  fullname: Ji Yoon Yoo
– sequence: 12
  fullname: Kyeong Hee Lee
– sequence: 13
  fullname: Ju-Hyoung Kim
– sequence: 14
  fullname: Daeil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8876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M1LAkEchocoyMp7x7l0CXab34yzu3OUPi3BCDsvo6uxaLvg9kG3zT4oCiJISEiIboWBpYIH_yJ39n_IrNMLLw8PL-8cmvZ8r4TQIhCdpyhb2dtd0ymhXGegg27QKZSglDFNgIBplAAuLI1Sg86iZBC4BcKJySyTWAl0PBp0onoPq7tW1B6q755qhljdvMTNp6j9rFrPeL126nquxPLwrOqf-DWJVWsw6vbV66N6u1KtSxxf9-PGC1b19qg7xNF9GH28R91x33xSF-dR9xGr1zBufKrLLxw_3I464QKaKctqUEr-5zza31jPr25p2dxmZjWd1SrAzCONmYJw4A6bLC6DIYV0SMqRhAuzCAWLyIIDRDBuARjgWBalgpZAWowZjiPZPFr-83q1sl0purYv3Uke-HalZqf38hkbiCFMU4gxvPQHV9zgyLU9J6ja2-md3O-xAGMjIdwwKfsBOJGKT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JDI
ACYCR
DEWEY 632
DOI 10.5423/RPD.2025.31.1.62
DatabaseNam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Architecture
Agriculture
DocumentTitleAlternate Evaluation of Fire Blight Resistance in Apple Rootstocks Using Artificial Inoculation of Erwinia amylovora in In Vitro Cultured Plantlets and Acclimatized Seedlings
EISSN 2233-9191
EndPage 7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97799
JAKO202511336005672
GroupedDBID 5VS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GROUPED_DOAJ
IPNFZ
JDI
OK1
RIG
RNS
ACYCR
ID FETCH-LOGICAL-k137t-3790515d3b0507f16a9ad04da0597c1b80abd1093581161d882292e1a8336dda3
ISSN 1598-2262
IngestDate Wed Jun 25 03:33:40 EDT 2025
Wed Apr 30 02:13:4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1
Keywords Resistance
Rootstock
Fire blight
In vitro plantlets
Erwinia amylovora
Acclimatized seedling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137t-3790515d3b0507f16a9ad04da0597c1b80abd1093581161d882292e1a8336dda3
Notes KISTI1.1003/JNL.JAKO202511336005672
OpenAccessLink http://dx.doi.org/10.5423/RPD.2025.31.1.62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97799
kisti_ndsl_JAKO20251133600567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3-01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3-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3
  year: 2025
  text: 2025-03-01
  day: 0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Sigmulbyeong yeon'gu
PublicationTitleAlternate 식물병연구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식물병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식물병리학회
SSID ssib050738708
ssib036466708
ssib038074770
ssib053377311
ssib013223516
ssib001106841
ssj0000818561
Score 2.287694
Snippet Fire blight, caused by Erwinia amylovora, is a destructive bacterial disease affecting over 200 species in the Rosaceae family, including economically...
과수 화상병은 Erwinia amylovora 세균에 의하여 사과, 배, 살구, 자두, 비파, 모과 등 장미과 40속 200여종 식물의 잎,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에서 약한 부분을 통해 감염되어 나무 전체를 고사시키는 병이다. 우리나라는 2015년 경기도 안성에서 첫발생한 이래로...
SourceID nrf
kisti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StartPage 62
SubjectTerms 농학
Title 기내 식물체와 순화묘의 Erwinia amylovora 인공접종을 통한 사과 대목별 화상병 저항성 평가
URI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1133600567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88765
Volume 3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식물병 연구, 2025, 31(1), , pp.62-7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daxNB8Kj1RR_ET6wf5UD3qSTe9-0-3iUptVIVbaFv4S53CSFtCjFR9EFiraIoSKGFFhoovikVqmmhD_1FyeU_OLO3ycVQpPpy3c7OzczO7GZnlr0ZSbprBpoZFIvFlOf5WsoIDS_la6GPVVONomkGpu_jecfcQ2tmwZhdNBfHzhwP3Vpq1P104dWJ35X8j1UBBnbFr2T_wbIDogCANtgXnmBheJ7KxiTnEJcSVyE5l1CNuMYUyWUIdQnLIsjJEDeDEBf7sMEYoUqMRAmDviyCmCGwGeVIAKTwC_mizD_ZWoaY_jnMlCnRBxyRr05cEyGOQpjKGxqhpsChKAn8sTgS0DOBW8xXQ0aCAIJA8gzet0AJHOIwbECfoCCkAwwAqaKPqVOCM77HqTtZjmQQV405TxPKOBtEGnbBn5ZLy40l_2WIVZbwSTS71OhPPC4_Jy3I9TVClQQFqFoodY5rDMXKIkqSxrKvqViv08IKqCnzREaOzUcSQ4zhkxjNTK6i8bUz0CYXYzDwEZMLNXGIxRUev8V4wwHhh3cjBhNeE9tVyGHgzuF1ibjEmdh1-gj8n7gOy-jOaBo8Q8eTx9k0ip7W1bSa7r83nIR8xDn4Iw15pVDOl1bylVoegq37eVWxIHpg7Ix0VoMgDeuHzL3OJc449NPE2cZjD91MghHdMizLTjJLYeUDw052DwhUdDrUD3GJbetiN-J-FvqaIiGy0FN8DwHHem90pBB8YkRWBh-yWisO-ZDzF6ULIviTnXglX5LGKiuXpfNOqSYS4IRXpEbnaL-7eiBHn1rdvePo10G03ZSjDzu97Y3u3lbU2pLFupQH61KOWked9mG0ux59fRe11uTe-8Pe5o4cre512sdy93Oz-_1btw3w7Y3o7Ztue12Odpu9zR_R2k-59-VjZ795VVqYzs1nZlKiNEqqoup2HdwCzKtnBjrXU1G1POYFihF4EC3ZBdWniucHKr_koEJMF1Cs66CFqkd13QoCT78mjVdXquF1TNqg2YwqQQG2YiNQqW8oXtH2Q0srhtQzvQlpkisuXw2eLeVnnQePNH4uAYQwj7CtTUh3QKN8cvxlktw4FdZN6Vyysm5J4_VaI7wNXn_dn-SnZZN8iv0GPTjZT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8%B0%EB%82%B4+%EC%8B%9D%EB%AC%BC%EC%B2%B4%EC%99%80+%EC%88%9C%ED%99%94%EB%AC%98%EC%9D%98+Erwinia+amylovora+%EC%9D%B8%EA%B3%B5%EC%A0%91%EC%A2%85%EC%9D%84+%ED%86%B5%ED%95%9C+%EC%82%AC%EA%B3%BC+%EB%8C%80%EB%AA%A9%EB%B3%84+%ED%99%94%EC%83%81%EB%B3%91+%EC%A0%80%ED%95%AD%EC%84%B1+%ED%8F%89%EA%B0%80&rft.jtitle=Sigmulbyeong+yeon%27gu&rft.au=%EC%9C%A0%EC%84%B8%EC%9D%80&rft.au=%EA%B6%8C%EC%98%81%ED%9D%AC&rft.au=%EC%9D%B4%EB%AF%BC%EC%A0%95&rft.au=%EC%9C%A0%EC%A7%80%EC%9C%A4&rft.date=2025-03-01&rft.pub=%ED%95%9C%EA%B5%AD%EC%8B%9D%EB%AC%BC%EB%B3%91%EB%A6%AC%ED%95%99%ED%9A%8C&rft.issn=1598-2262&rft.eissn=2233-9191&rft.spage=62&rft.epage=70&rft_id=info:doi/10.5423%2FRPD.2025.31.1.6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69779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226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226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226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