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가치관과 직무성과의 관계
The work-related values a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al members' behavior. Because they lay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f attitudes and motivation.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d empirically testing a comprehensive model of work-related values. The study seeks to underst...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3) Vol. 13; no. 3; pp. 330 - 33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3.13.03.330 |
Cover
Loading…
Summary: | The work-related values a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al members' behavior. Because they lay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f attitudes and motivation.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d empirically testing a comprehensive model of work-related values.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related values and job performance.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s adopte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tudy. Correlation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verify the proposed hypotheses. Pride in work, job involvement, and activity preference a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 attitude toward earnings and social status of job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But upward striving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 commit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 구성원들이 지니고 있는 직무관련 가치관과 직무성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직무특성에 따라 직무관련 성과가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내적 가치관의 차원 가운데 일에 대한 자부심, 조직에 대한 관심, 행동선호성 등의 차원들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이 밝혀졌다. 외적 가치관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모두 부(負)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직무만족에는 내적 가치관에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가 외적 가치관의 경우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특성은 내적인 가치관과 관련하여 조직몰입에 더욱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일에 대한 내적 가치관을 강하게 보유한 기업 구성원을 조직에 참여시키고 성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기적 관점에서 경영자는 내재적 가치중심 기업문화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외적 가치관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310837321416 G704-001475.2013.13.3.035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3.13.03.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