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실현을 위한 사이버공간상의 3차원 그래픽 공간 구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Ubiquitous has been a new issue in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Some people i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urban and regional planning have maintained that not only building three dimensional graphic environment in cyberspace is the key for ubiquitous, but also planners should plan and...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6(4) Vol. 6; no. 4; pp. 81 - 8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Cover
Abstract | Ubiquitous has been a new issue in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Some people i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urban and regional planning have maintained that not only building three dimensional graphic environment in cyberspace is the key for ubiquitous, but also planners should plan and control the new space. They may believe that ubiquitous would be a mixture or/and combination of real-space and cyberspace. For strengthening their arguments, they should show the character of the space can be related to the three dimensional space and planning the space is possible. This study tried to critically analyze their assertion. After reviewing various articles and studies in multidisciplinary view, this challenging analysis shows those arguments need more sophisticated studies and can limit the character of cyberspace which has made the space prosperous. 유비쿼터스 구현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현실공간에 익숙한 일부 공간계획가들과 GIS 전문가들은 유비쿼터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3차원 그래픽 공간을 구현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근간에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이 어떤 식으로 든 결합 혹은 융합될 것이라는 가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연구를 검토하여 사이버공간 내 3차원 그래픽 공간 구축 논의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공간내 3차원 그래픽 공간 구현을 위한 기존의 주장들을 확인하고, 그에 내재된 문제점들을 규정하였다. 두 번째, 유비쿼터스 구현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이들 중 새로운 공간으로서 유비쿼터스에 접근하는 논리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공간의 자기조직화경향과 비선형적 인간행태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3차원 그래픽 환경이 가져온 단선적 공간에 대한 한계를 명확히 하였다. |
---|---|
AbstractList | 유비쿼터스 구현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현실공간에 익숙한 일부 공간계획가들과 GIS 전문가들은 유비쿼터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3차원 그래픽 공간을 구현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근간에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이 어떤 식으로 든 결합 혹은 융합될 것이라는 가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연구를 검토하여 사이버공간내 3차원 그래픽 공간 구축 논의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공간내 3차원 그래픽 공간 구현을 위한 기존의 주장들을 확인하고, 그에 내재된 문제점들을 규정하였다. 두 번째, 유비쿼터스 구현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이들 중 새로운 공간으로서 유비쿼터스에 접근하는 논리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공간의 자기조직화경향과 비선형적 인간행태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3차원 그래픽 환경이 가져온 단선적 공간에 대한 한계를 명확히 하였다. Ubiquitous has been a new issue in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Some people i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urban and regional planning have maintained that not only building three dimensional graphic environment in cyberspace is the key for ubiquitous, but also planners should plan and control the new space. They may believe that ubiquitous would be a mixture or/and combination of real-space and cyberspace. For strengthening their arguments, they should show the character of the space can be related to the three dimensional space and planning the space is possible. This study tried to critically analyze their assertion. After reviewing various articles and studies in multidisciplinary view, this challenging analysis shows those arguments need more sophisticated studies and can limit the character of cyberspace which has made the space prosperous. KCI Citation Count: 0 Ubiquitous has been a new issue in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Some people i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urban and regional planning have maintained that not only building three dimensional graphic environment in cyberspace is the key for ubiquitous, but also planners should plan and control the new space. They may believe that ubiquitous would be a mixture or/and combination of real-space and cyberspace. For strengthening their arguments, they should show the character of the space can be related to the three dimensional space and planning the space is possible. This study tried to critically analyze their assertion. After reviewing various articles and studies in multidisciplinary view, this challenging analysis shows those arguments need more sophisticated studies and can limit the character of cyberspace which has made the space prosperous. 유비쿼터스 구현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현실공간에 익숙한 일부 공간계획가들과 GIS 전문가들은 유비쿼터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3차원 그래픽 공간을 구현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근간에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이 어떤 식으로 든 결합 혹은 융합될 것이라는 가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연구를 검토하여 사이버공간 내 3차원 그래픽 공간 구축 논의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공간내 3차원 그래픽 공간 구현을 위한 기존의 주장들을 확인하고, 그에 내재된 문제점들을 규정하였다. 두 번째, 유비쿼터스 구현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이들 중 새로운 공간으로서 유비쿼터스에 접근하는 논리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이버공간의 자기조직화경향과 비선형적 인간행태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3차원 그래픽 환경이 가져온 단선적 공간에 대한 한계를 명확히 하였다. |
Author | 최창규(Chang-Gyu Choi)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최창규(Chang-Gyu Choi)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7360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pFkD9Lw0AAxYMoWGu_QxbBJXCXu8tdxlKrVosFqfNxTRoJrak0dXCzmkk7dLBYsJUKHRw6BLX-AcXv01y-g9EKTu_B-_EevBVl0Wt41QUlpRPANIPqaFFJQWIyDTNKl5WM77sVAAgCBjT0lNKSg1H0HsivjzgI5eVYlVfjuB_IYaDKQRD3Bqo8n8jhc_QYzJ6mszCQF2057KtIhg_ytqvOXt-iu358_anOY3U2nciXXnQ_kjddNeqc_VQkA3GnK0ftBBrJMFxVlhxR96uZP00rB5v5cm5bK5a2CrlsUatBSAzNNoBuUywIdUAFmDrG1IDIFsxkkNEKEYzownEoNCsWoMJCENsWhsxBTOgWQSitrM97vabDa5bLG8L91cMGrzV5dr9c4CYyCMYJujZHa67fcrln-3W-k90t6SA5ilHIAIaYgH_OO2m6R1XbFfw4MaJ5yvdKG3kAKESIGugb6nOV2Q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DBRKI TDB JDI ACYCR |
DEWEY | 005.7 |
DatabaseName |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Computer Science |
DocumentTitleAlternate | Critical Review on the Arguments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Cyberspace to Realize Ubiquitous |
DocumentTitle_FL | Critical Review on the Arguments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Cyberspace to Realize Ubiquitous |
EISSN | 2508-6723 |
EndPage | 88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36544 JAKO200618718041450 NODE00713376 |
GroupedDBID | .UV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TDB JDI ACYCR M~E |
ID | FETCH-LOGICAL-k1156-d602d74a57f0b092447613da898187b5a852aff719bc07ac314dc418f38a2c533 |
ISSN | 1598-4877 |
IngestDate | Tue Nov 21 21:45:24 EST 2023 Fri Dec 22 11:58:39 EST 2023 Thu Feb 06 13:29:55 EST 2025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4 |
Keywords | 유비쿼터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yberspace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사이버공간 Ubiquitous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1156-d602d74a57f0b092447613da898187b5a852aff719bc07ac314dc418f38a2c533 |
Notes | KISTI1.1003/JNL.JAKO200618718041450 G704-001475.2006.6.4.008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61871804145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8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36544 kisti_ndsl_JAKO200618718041450 nurimedia_primary_NODE00713376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06 |
PublicationDateYYYYMMDD | 2006-01-01 |
PublicationDate_xml | – year: 2006 text: 2006 |
PublicationDecade | 2000 |
PublicationTitle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6(4)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PublicationYear | 2006 |
Publisher | 한국콘텐츠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콘텐츠학회 |
SSID | ssib005306162 ssib036279156 ssib001107260 ssib053377518 ssib030194663 ssib044738273 |
Score | 1.3526852 |
Snippet | Ubiquitous has been a new issue in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Some people i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urban and regional planning have... 유비쿼터스 구현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현실공간에 익숙한 일부 공간계획가들과 GIS 전문가들은 유비쿼터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3차원 그래픽 공간을 구현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근간에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이 어떤... |
SourceID | nrf kisti nurimedia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81 |
SubjectTerms | 학제간연구 |
Title | 유비쿼터스 실현을 위한 사이버공간상의 3차원 그래픽 공간 구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URI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71337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61871804145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73609 |
Volume | 6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06, 6(4), , pp.81-88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V3Nb9MwFI_GLnBBIECMjylI-FQVOYkT28e46TSGtl02abcoTVo0FXVodBcOiEG5wA47MDGJDRVpBw47VMD4kED8P637P_DspGnGh8THJXLt19979kvi37OcZ8O4bjskspnHy7juOmXCiFNmLIYL9hqO1Ui4pVPmzy94s8tkbsVdmTjxpLBraaNduxHf_-V3Jf_iVagDv6qvZP_CszkoVEAZ_AtX8DBc_8jHqFpBvIJ8jKoCCY4YUTViBokKqgbqp8CqhvnIJyVdElBSbZxl0lzJlTIklra5UE7FbeRXMilBtBZbC_lIOEi4uoAzJOYALc2EOSs52haMfKbrBOK4pOUpEkxB8aqyQukDO4PSz6BplZuZIDxlGPzPt3SPAZOmmAKxitqxUTA9H45AtXEtDn9i1khNigBqBC7y8xxjpDrQYkFmKXMzLOiBnyvkuuCDptQYV4-_UHYL3XmfKvPgZvaAz5PC4ouGStWlxgTZCPHK8eWY_NH5TwOLcxBXa7zZ6TZ1XQdElZU9ajuFuSY96mbEWth4Qh9tYvhhnj-WUbwZr4a318Lmeghx082QO55LVFZd4KtqY-T8g-qYVFuY2oUg2oUo0xonmYQZQp1RkL_lgRFRbo0zNBFCHWbrrR55zyASVOHRKhC61jrwwJOtDXWYBbwRC-Ru6YxxOovKTD99xM4aE821c0Zb7nUHnzvy25dhpyefHpjy2cFwtyP3O6bc6wx39kz56FDuvx-87fTfHfV7Hfl4U-7vmo7svZEvt83-x0-DV7vD51_NtNnsHx3KDzuD1135YtscbD1UEKBguLUtu5sg1JW93nljeaa6VJktZ4eUlJsQTHnlxMN2Qknk0gauYQ5smQJDTiLGgQrTmhsx144aDWrxWoxpFDsWSWJisYbDIjuGYOuCMdlaa9UvGmYSM1d901xLKFOJMoHJ88hTi1e4pubJKWNaj1rYSu7dCef8W4vqBgQtlkoiRlw8ZVyD4dS-_a2PASQf7PBumtEmXFgMqul6FfUu_QHIZePUeCnyijHZXt-oXwVy3q5N63vnO7xKveA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C%A0%EB%B9%84%EC%BF%BC%ED%84%B0%EC%8A%A4+%EC%8B%A4%ED%98%84%EC%9D%84+%EC%9C%84%ED%95%9C+%EC%82%AC%EC%9D%B4%EB%B2%84%EA%B3%B5%EA%B0%84%EC%83%81%EC%9D%98+3%EC%B0%A8%EC%9B%90+%EA%B7%B8%EB%9E%98%ED%94%BD+%EA%B3%B5%EA%B0%84+%EA%B5%AC%EC%B6%95%EB%A1%A0%EC%97%90+%EB%8C%80%ED%95%9C+%EB%B9%84%ED%8C%90%EC%A0%81+%EA%B3%A0%EC%B0%B0&rft.jtitle=%ED%95%9C%EA%B5%AD%EC%BD%98%ED%85%90%EC%B8%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6%284%29&rft.au=%EC%B5%9C%EC%B0%BD%EA%B7%9C&rft.date=2006&rft.pub=%ED%95%9C%EA%B5%AD%EC%BD%98%ED%85%90%EC%B8%A0%ED%95%99%ED%9A%8C&rft.issn=1598-4877&rft.eissn=2508-6723&rft.spage=81&rft.epage=8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36544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4877&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4877&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4877&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