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지역별 대중교통 수단 선택 공간상관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교통 분석존(서울시 행정동) 단위별로 대중교통 수단(버스, 도시철도)선택에 있어서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기반으로 제시한다. 분석결과 버스를 탑승한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서로 이웃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은 도시철도 역사의 수가 버스 정류장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버스에 탑승한 비율이 비슷한 그룹 간에는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통계분석결과 나타났으며, 이러한 공간상관성은 향후 대중교통 수단선택 모형 구축에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교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Ŭngyong tʻonggye yŏnʼgu Vol. 26; no. 4; pp. 623 - 634
Main Authors 박만식, Man Sik Park, 엄진기, Jin Ki Eom, 허태영, Tae Young H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통계학회 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066X
2383-5818

Cov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교통 분석존(서울시 행정동) 단위별로 대중교통 수단(버스, 도시철도)선택에 있어서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기반으로 제시한다. 분석결과 버스를 탑승한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서로 이웃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은 도시철도 역사의 수가 버스 정류장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버스에 탑승한 비율이 비슷한 그룹 간에는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통계분석결과 나타났으며, 이러한 공간상관성은 향후 대중교통 수단선택 모형 구축에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교퉁 수단선택에 있어 공간상관성의 존재는 대중교통 운영기관이 향후 대중교통카드를 기반으로 대중교통 노선계획, 운영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whether a spatial correlation among mode choices at the TAZ(Traffic Analysis Zone) level exist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observed in Seoul,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s with a higher probability that passengers choose to take a bus are clustered and that those regions have fewer metro stations than bus stations. We also found that the spatial correlatio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potential use of the spatial correlation in modeling mode choices. A reliable spatial interaction would constitute valuable information for transportation agencies in terms of their route planning and scheduling based on the transit smart card data.
AbstractList 본 연구에서는 교통 분석존(서울시 행정동) 단위별로 대중교통 수단(버스, 도시철도)선택에 있어서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기반으로 제시한다. 분석결과 버스를 탑승한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서로 이웃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은 도시철도 역사의 수가 버스 정류장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버스에 탑승한 비율이 비슷한 그룹 간에는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통계분석결과 나타났으며, 이러한 공간상관성은 향후 대중교통 수단선택 모형 구축에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교퉁 수단선택에 있어 공간상관성의 존재는 대중교통 운영기관이 향후 대중교통카드를 기반으로 대중교통 노선계획, 운영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whether a spatial correlation among mode choices at the TAZ(Traffic Analysis Zone) level exist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observed in Seoul,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s with a higher probability that passengers choose to take a bus are clustered and that those regions have fewer metro stations than bus stations. We also found that the spatial correlatio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potential use of the spatial correlation in modeling mode choices. A reliable spatial interaction would constitute valuable information for transportation agencies in terms of their route planning and scheduling based on the transit smart card data.
In this study,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whether a spatial correlation among mode choices at the TAZ(Traffic Analysis Zone) level exist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observed in Seoul,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s with a higher probability that passengers choose to take a bus are clustered and that those regions have fewer metro stations than bus stations. We also found that the spatial correlatio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potential use of the spatial correlation in modeling mode choices. A reliable spatial interaction would constitute valuable information for transportation agencies in terms of their route planning and scheduling based on the transit smart card data. 본 연구에서는 교통 분석존(서울시 행정동) 단위별로 대중교통 수단(버스, 도시철도)선택에 있어서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기반으로 제시한다. 분석결과 버스를 탑승한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서로 이웃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은 도시철도 역사의 수가 버스 정류장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버스에 탑승한 비율이 비슷한 그룹 간에는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통계분석결과 나타났으며, 이러한 공간상관성은 향후 대중교통 수단선택 모형 구축에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교퉁 수단선택에 있어 공간상관성의 존재는 대중교통 운영기관이 향후 대중교통카드를 기반으로 대중교통 노선계획, 운영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 분석존(서울시 행정동) 단위별로 대중교통 수단(버스, 도시철도)선택에 있어서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기반으로 제시한다. 분석결과 버스를 탑승한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서로 이웃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은 도시철도 역사의 수가 버스 정류장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버스에 탑승한 비율이 비슷한 그룹 간에는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통계분석결과 나타났으며, 이러한 공간상관성은 향후 대중교통 수단선택 모형 구축에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교퉁 수단선택에 있어 공간상관성의 존재는 대중교통 운영기관이 향후 대중교통카드를 기반으로 대중교통 노선계획, 운영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whether a spatial correlation among mode choices at the TAZ(Traffic Analysis Zone) level exist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observed in Seoul,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s with a higher probability that passengers choose to take a bus are clustered and that those regions have fewer metro stations than bus stations. We also found that the spatial correlatio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potential use of the spatial correlation in modeling mode choices. A reliable spatial interaction would constitute valuable information for transportation agencies in terms of their route planning and scheduling based on the transit smart card data. KCI Citation Count: 4
Author 허태영
Man Sik Park
Jin Ki Eom
Tae Young Heo
박만식
엄진기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만식
– sequence: 2
  fullname: Man Sik Park
– sequence: 3
  fullname: 엄진기
– sequence: 4
  fullname: Jin Ki Eom
– sequence: 5
  fullname: 허태영
– sequence: 6
  fullname: Tae Young He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0001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Fj89KAlEYxYcwyMwnaDObFi0G7p-ZO_cuxawsSQiDdpfRmYlpbAynFu0Mhwh0YUQUohFUVIugUKOgJ5q5vkNDhp3NOXz8zoFvXkp4Nc-akZIIU6xoFNKElIQIaQogZHdOSvv-PohFIFIpS0p2OOqMz0biaxhd9mRx24nu29Hjtyz6Q9F9GV_Ft6Anup-iFaenhrh-jQaBHLUb4uFiUpXF-U3Ueo65u3GzL4eDUfgWiOZpOGyI4F2OPgIR9BekWduo-lb6z1PSzmqulF1XCsW1fDZTUFwIVaZYukpomZgq0oFRZhWgM2IDXaUUMs3UbERsinXLiP-xEarYpk7LwLAwIqrGGMA4JS1Pdr26zd2Kw2uG8-t7Ne7WeWa7lOcQMBVgFLNLE9Z1_COHe6Zf5RuZzSICECMGCNZ0XcPkn_OO686BZToGP4yDUT_hW8WVHISYMaKymFuc7vlTBEMCIAD4BwLblN8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JDI
ACYCR
DEWEY 519.5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tatistics
Applied Sciences
Mathematics
DocumentTitleAlternate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지역별 대중교통 수단 선택 공간상관성 분석
The Spatial Correlation of Mode Choice Behavior based on Smart Card Transit Data in Seoul
DocumentTitle_FL The Spatial Correlation of Mode Choice Behavior based on Smart Card Transit Data in Seoul
EISSN 2383-5818
EndPage 63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94032
JAKO201329063577536
NODE11399649
3160100
GroupedDBID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JDI
OK1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1149-e7468b6d4270ab9c0796f07488195d5f26f837ea225f22cfd78b0ae3264599033
ISSN 1225-066X
IngestDate Tue Nov 21 21:47:14 EST 2023
Fri Dec 22 12:02:22 EST 2023
Thu Feb 06 13:33:54 EST 2025
Wed Jan 24 03:12:00 EST 2024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4
Keywords 확률지도
mode choice
probability map
공간연관성
Spatial association
공간로지스틱회귀모형
spat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수단선택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1149-e7468b6d4270ab9c0796f07488195d5f26f837ea225f22cfd78b0ae3264599033
Notes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KISTI1.1003/JNL.JAKO201329063577536
G704-000408.2013.26.4.005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32906357753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94032
kisti_ndsl_JAKO201329063577536
nurimedia_primary_NODE11399649
kiss_primary_316010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3
PublicationDateYYYYMMDD 2013-01-01
PublicationDate_xml – year: 2013
  text: 2013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Ŭngyong tʻonggye yŏnʼgu
PublicationTitleAlternate 응용통계연구
PublicationYear 2013
Publisher 한국통계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통계학회
SSID ssj0000612489
ssib053377530
ssib001150021
ssib044750966
ssib022238561
Score 1.8194965
Snippet 본 연구에서는 교통 분석존(서울시 행정동) 단위별로 대중교통 수단(버스, 도시철도)선택에 있어서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기반으로 제시한다. 분석결과 버스를 탑승한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서로 이웃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은 도시철도 역사의 수가...
In this study,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whether a spatial correlation among mode choices at the TAZ(Traffic Analysis Zone) level exists based on...
SourceID nrf
kisti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623
SubjectTerms mode choice
probability map
Spatial association
spat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공간로지스틱회귀모형
공간연관성
수단선택
통계학
확률지도
Title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지역별 대중교통 수단 선택 공간상관성 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160100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399649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32906357753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00018
Volume 2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응용통계연구, 2013, 26(4), , pp.623-63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1F3sRtYr1owRxTksk2UkmM8d8lVppe2mhtyXZJEtZSaXdPdSDVLqI0B4qIkppRVBRD4LSVhT8i3bT_8E3M8nu1g-oXsLjzct7k_eSnd-bnZmnKLesyAhpSHXNCA2imUkSaVEK3yNghzpNUoOEokzn7ByZXjRnlqylkTP1oVVL7VZ0u_7gj_tK_ieqwIO48l2y_xDZvlJgAA3xhStEGK6nijEKHORaiOko8BElnA485DLkmihwEcOIeRXOYoEQcpGDEfUEYSG3aPOFOBAOchjXxKzyPmoCVbS5VHDcss2x-SoJ3mYjx-c6XVBuVjgFNmSbAwqM37splVPEqJCG7tDSniOloOt-RdyIxWMBofNmLgRmpE6zsAJ81xCGXVIKgWF_GHkjz0KOlzXWeXGlFvLgdhfIxnpSWedtdCoTTK_RLl9CoVDn7uAOs4XnpAf8gYh4fmnTkYRwlasPRHwhQsvnkg6lSBaRKadc5F5Z8Xn0Y1A4jnu3H19HurmUkQFzoG9Dwwv8epa1G2H0FTzATFizaDEKyWGEyD3YBSIhxXTvicPCfxnETxwX3qwv1xorteZqDZKiO3yRgaljjlMAjfJlj7MPgwFkhoxAH0A4fv6jXqbAEs0AAhSVJPudB_QCyc0apHM8x1kGVJatApg7m7V5RQr4WRtCaAvnlXNFaqU68ju5oIw0Vy4qYzybkoeRjytp92jn-PFR_v2w92xPzV_t9N5s9979UPP9w3z34_Fz4HX28t1v-RZQ7zfyF596Bx21t72Rv30qb1XzJy97Wx9A7vXx5r7aPTjqfu7km4-6hxt554va-9rJO_uXlMWpYMGb1opCI1rTMEymJbZJaERis2rrYcTqus1ICtia8j-ZYyutkpRiOwnBAWm1Wk9jm0Z6mEDmY1qA5jC-rIxmK1lyRVGJHYZGbOg4xNi04pixxK7iGMeU2Elq0wllnPuudl-eJVPDBp8R0SeUSeHLWhav3avNOHfn-XvHSzFgy7YtTCaUm-BkEdm_Rxi09GPQtzA37wcG5HmMmOzqabRcU8aqouYLn2e8roy2VtvJDUDerWhSvDo_AY_musc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5%90%ED%86%B5%EC%B9%B4%EB%93%9C+%EC%9E%90%EB%A3%8C%EB%A5%BC+%EC%9D%B4%EC%9A%A9%ED%95%9C+%EC%84%9C%EC%9A%B8%EC%8B%9C+%EC%A7%80%EC%97%AD%EB%B3%84+%EB%8C%80%EC%A4%91%EA%B5%90%ED%86%B5+%EC%88%98%EB%8B%A8+%EC%84%A0%ED%83%9D+%EA%B3%B5%EA%B0%84%EC%83%81%EA%B4%80%EC%84%B1+%EB%B6%84%EC%84%9D&rft.jtitle=%C5%ACngyong+t%CA%BBonggye+y%C5%8Fn%CA%BCgu&rft.au=%EB%B0%95%EB%A7%8C%EC%8B%9D&rft.au=%EC%97%84%EC%A7%84%EA%B8%B0&rft.au=%ED%97%88%ED%83%9C%EC%98%81&rft.date=2013&rft.pub=%ED%95%9C%EA%B5%AD%ED%86%B5%EA%B3%84%ED%95%99%ED%9A%8C&rft.issn=1225-066X&rft.eissn=2383-5818&rft.spage=623&rft.epage=63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9403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066X&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066X&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066X&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