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기능 연결성 모델링을 위한 통계적 방법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뇌의 신경역학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자료를 뇌활동에 대한 반응 자료의 주요 형태로써 선택하였는데, 이fMRI자료는 높은 해상도 때문에 뇌과학 연구에서 선호되는 자료 형태이다. 뇌활동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해서 자료로 사용한다는 전제하에서 뇌의 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하는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여기서의 전제란 상태공간 및 측정 모형을 다룬다는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상태공간 모형은 뇌신경역학을 표현한다고 가정한다. 뇌기능...
Saved in:
Published in | Ŭngyong tʻonggye yŏnʼgu Vol. 29; no. 6; pp. 1129 - 1145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통계학회
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066X 2383-5818 |
Cover
Abstract |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뇌의 신경역학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자료를 뇌활동에 대한 반응 자료의 주요 형태로써 선택하였는데, 이fMRI자료는 높은 해상도 때문에 뇌과학 연구에서 선호되는 자료 형태이다. 뇌활동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해서 자료로 사용한다는 전제하에서 뇌의 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하는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여기서의 전제란 상태공간 및 측정 모형을 다룬다는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상태공간 모형은 뇌신경역학을 표현한다고 가정한다. 뇌기능영상자료의 분석은 무엇을 측정하였느냐에 따라서 분석방법과 그 해석이 조금씩 달라진다. 실제 fMRI자료를 고차원 자기회귀모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를 논문에 포함하였는데, 이 결과를 통해서 서로 다른 도형문제를 푸는데 서로 다른 뇌신경 역학관계가 요구된다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brain science in the sense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neurodynamics in the brain. In the paper, we choose fMRI as a main form of response data to brain activity due to its high resolution. We review methods for analyzing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assuming that measurements are made on physiological responses to neuron activation. This means that we deal with a state-space and measurement model, where the state-space model is assumed to represent neurodynamics. Analysis methods and their interpretation should vary subject to what was measured. We included analysis results of real fMRI data by applying a high-dimensional autoregressive model, which indicated that different neurodynamics were required for solving different types of geometric problems. |
---|---|
AbstractList |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brain science in the sense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neurodynamics in the brain. In the paper, we choose fMRI as a main form of response data to brain activity due to its high resolution. We review methods for analyzing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assuming that measurements are made on physiological responses to neuron activation. This means that we deal with a state-space and measurement model, where the state-space model is assumed to represent neurodynamics. Analysis methods and their interpretation should vary subject to what was measured. We included analysis results of real fMRI data by applying a high-dimensional autoregressive model, which indicated that different neurodynamics were required for solving different types of geometric problems.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뇌의 신경역학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자료를 뇌활동에 대한 반응 자료의 주요 형태로써 선택하였는데, 이 fMRI자료는 높은 해상도 때문에 뇌과학 연구에서 선호되는 자료 형태이다. 뇌활동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해서 자료로 사용한다는 전제하에서 뇌의 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하는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여기서의 전제란 상태공간 및 측정 모형을 다룬다는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상태공간 모형은 뇌신경역학을 표현한다고 가정한다. 뇌기능 영상자료의 분석은 무엇을 측정하였느냐에 따라서 분석방법과 그 해석이 조금씩 달라진다. 실제 fMRI자료를 고차원 자기회귀모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를 논문에 포함하였는데, 이 결과를 통해서 서로 다른 도형문제를 푸는데 서로 다른 뇌신경 역학관계가 요구된다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뇌의 신경역학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자료를 뇌활동에 대한 반응 자료의 주요 형태로써 선택하였는데, 이 fMRI자료는 높은 해상도 때문에 뇌과학 연구에서 선호되는 자료 형태이다. 뇌활동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해서 자료로 사용한다는 전제하에서 뇌의 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하는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여기서의 전제란 상태공간 및 측정 모형을 다룬다는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상태공간 모형은 뇌신경역학을 표현한다고 가정한다. 뇌기능 영상자료의 분석은 무엇을 측정하였느냐에 따라서 분석방법과 그 해석이 조금씩 달라진다. 실제 fMRI자료를 고차원 자기회귀모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를 논문에 포함하였는데, 이 결과를 통해서 서로 다른 도형문제를 푸는데 서로 다른 뇌신경 역학관계가 요구된다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brain science in the sense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neurodynamics in the brain. In the paper, we choose fMRI as a main form of response data to brain activity due to its high resolution. We review methods for analyzing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assuming that measurements are made on physiological responses to neuron activation. This means that we deal with a state-space and measurement model, where the state-space model is assumed to represent neurodynamics. Analysis methods and their interpretation should vary subject to what was measured. We included analysis results of real fMRI data by applying a high-dimensional autoregressive model, which indicated that different neurodynamics were required for solving different types of geometric problems. KCI Citation Count: 0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뇌의 신경역학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자료를 뇌활동에 대한 반응 자료의 주요 형태로써 선택하였는데, 이fMRI자료는 높은 해상도 때문에 뇌과학 연구에서 선호되는 자료 형태이다. 뇌활동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해서 자료로 사용한다는 전제하에서 뇌의 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하는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여기서의 전제란 상태공간 및 측정 모형을 다룬다는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상태공간 모형은 뇌신경역학을 표현한다고 가정한다. 뇌기능영상자료의 분석은 무엇을 측정하였느냐에 따라서 분석방법과 그 해석이 조금씩 달라진다. 실제 fMRI자료를 고차원 자기회귀모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를 논문에 포함하였는데, 이 결과를 통해서 서로 다른 도형문제를 푸는데 서로 다른 뇌신경 역학관계가 요구된다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brain science in the sense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neurodynamics in the brain. In the paper, we choose fMRI as a main form of response data to brain activity due to its high resolution. We review methods for analyzing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assuming that measurements are made on physiological responses to neuron activation. This means that we deal with a state-space and measurement model, where the state-space model is assumed to represent neurodynamics. Analysis methods and their interpretation should vary subject to what was measured. We included analysis results of real fMRI data by applying a high-dimensional autoregressive model, which indicated that different neurodynamics were required for solving different types of geometric problems. |
Author | Chang-hyun Park 김성호 Sung-ho Kim 박창현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성호 – sequence: 2 fullname: Sung-ho Kim – sequence: 3 fullname: 박창현 – sequence: 4 fullname: Chang-hyun Park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6300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pFjj9Lw0AYxg9RsNZ-ApcsDg6Be-8ul8tYatVqsSAV3I78uUhMTSXRwbEQFETH4lLBRfwzxYrQz9Sk38FgpT7D-7zDjx_PGlqO-pFaQhVCBdUNAWIZVYAQQ8ecn6yiWpKc4TIcCBNWBYn89n46yfK7F614zKbjrEg_tfzjLX-Y5K-D4inVilE6G4602c339Cstngdanr3n4-E6WvHtXqJqf11FxzvNbmNPb3d2W416Ww8BGNcBg6d82-LcJwYBrFyHgmdypTyLCWG61FGG79o2YOZyEJh4nDqOi0V5OAFaRVtzbxT7MnQD2beD3z7tyzCW9aNuSwIxjdJWsptzNgySy0BGXtKT-_WDDsHAsUm5YeJyD_nnoqs4OFdeYMuL8rHja3nY2W4CUMuyTF5yGwtfskAoE4RhRn8AMVR39w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DBRKI TDB JDI ACYCR |
DEWEY | 519.5 |
DatabaseName |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Statistics Applied Sciences Mathematics |
DocumentTitleAlternate | 뇌기능 연결성 모델링을 위한 통계적 방법 Statistical methods for modelling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
DocumentTitle_FL | Statistical methods for modelling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
EISSN | 2383-5818 |
EndPage | 1145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275948 JAKO201607365701012 NODE11399976 3482404 |
GroupedDBID |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JDI OK1 Q5X DBRKI TDB ACYCR |
ID | FETCH-LOGICAL-k1146-101defa966f25210ecb31d76eed94887c3be5fcaa104c61802d63bbc08bbc6213 |
ISSN | 1225-066X |
IngestDate | Tue Nov 21 21:30:34 EST 2023 Fri Dec 22 11:59:19 EST 2023 Thu Feb 06 13:36:00 EST 2025 Wed Jan 24 03:12:00 EST 2024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true |
Issue | 6 |
Keywords | 상태공간 및 측정 모형 dynamic causal model state space and measurement model time series model 실질적 연결 functional MRI 구조방정식 모형 functional connectivity effective connectivity 시계열 모형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실용적 연결 역학인과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1146-101defa966f25210ecb31d76eed94887c3be5fcaa104c61802d63bbc08bbc6213 |
Notes |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KISTI1.1003/JNL.JAKO201607365701012 G704-000408.2016.29.6.003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736570101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17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75948 kisti_ndsl_JAKO201607365701012 nurimedia_primary_NODE11399976 kiss_primary_3482404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6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6-01-01 |
PublicationDate_xml | – year: 2016 text: 2016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Ŭngyong tʻonggye yŏnʼgu |
PublicationTitleAlternate | 응용통계연구 |
PublicationYear | 2016 |
Publisher | 한국통계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통계학회 |
SSID | ssj0000612489 ssib053377530 ssib001150021 ssib044750966 ssib022238561 |
Score | 1.9329913 |
Snippet |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뇌의 신경역학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자료를 뇌활동에 대한 반응 자료의 주요 형태로써 선택하였는데, 이fMRI자료는 높은 해상도 때문에 뇌과학 연구에서 선호되는 자료...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brain science in the sense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neurodynamics in the brain. In the paper,...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뇌의 신경역학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자료를 뇌활동에 대한 반응 자료의 주요 형태로써 선택하였는데, 이 fMRI자료는 높은 해상도 때문에 뇌과학 연구에서 선호되는 자료... |
SourceID | nrf kisti nurimedia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129 |
SubjectTerms | dynamic causal model effective connectivity functional connectivity functional MRI state space and measurement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 time series model 구조방정식 모형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상태공간 및 측정 모형 시계열 모형 실용적 연결 실질적 연결 역학인과모형 통계학 |
Title | 뇌기능 연결성 모델링을 위한 통계적 방법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48240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39997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736570101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63000 |
Volume | 29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응용통계연구, 2016, 29(6), , pp.1129-1145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a9tAEF5CLk0PfSQtTR9BlO7JqEiyHqujJCu4KUkOTSA3oZeNcZFLYh_cQyFgWijtMfSSQi-lj5ObUshvipz_0G9XsmzaQB8XeT2anV3tiJ1vVrszhDxgzDYsmEnZTuJU1tOWKkcsMeTYNOzQUFqKFvEF_c0ts7mrb-wZewsL47ldS4N-9DB-fuG5kv_RKmjQKz8l-w-arYSCgDL0iys0jOtf6Zj6LoUzzzzqO9Rl1FUExaGOUaO-R21LkHBPEwWPMp26ao1zOeBigr3Bq3IKJKmiWgN8hQBRw29Q20C5xkvMpK4hZNbFPY86CuoJmWjDsUVBo0VSyynupZ5BHS9rD3lqoz71UN1FsT1Ma0N-j61ngui1B9NXQLRh850Y036LjuAp2YxFtInOgQUFt1GysNmRniJb9BPMaXKzN_tgVuwQF2cr5OZwkM2vfhTHMsupGjPRNA9iNZeXqyed3yZmDivnjDy8QGNmAadf_X8xjNV2xQ3n8bYmQvHV-U4hHhINRh_Qju8h3Hzhz_An4LUyw0M8mKIy508CWltwD5VqEZDjS12kaayeBtAAnsMBfCXuQHQAebJ9IKVL2YCne8CcMQd_dq6RK6XfIjnFS3idLHR7y-Rq6cNIpYU4WCaXN6s4wPi3xH2ZIhT4CmH5qzdnp-P89Udp8m58djKejL5J-dfP-dvT_NPh5P1ImhyPzo-OpfOXP86-jyYfDqV8_CU_ObpBdtf9Ha8pl4k75C4_5A7TriZpK8STtzTAQyWNo7qaWCbwmA2DYcX1KDVacRiqih6bPAZhYtajKFYYLqam1m-SxayXpbeIBEhpJZYRxlYc6qkWMdtOzBCibB2KUOurZIUPV_CsiM0S8FhNuqKvkjUxfEGWHDwNLtDfKrmPcQ26cSfgAdb5b7sXdPcDuJGPAp71AD2FlGrYqxa2ths-GoZjZZm3_9TMHbLEKcWa3V2y2N8fpPeAYvvRmnhzfgL6xoZf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7%8C%EA%B8%B0%EB%8A%A5+%EC%97%B0%EA%B2%B0%EC%84%B1+%EB%AA%A8%EB%8D%B8%EB%A7%81%EC%9D%84+%EC%9C%84%ED%95%9C+%ED%86%B5%EA%B3%84%EC%A0%81+%EB%B0%A9%EB%B2%95&rft.jtitle=%C5%ACngyong+t%CA%BBonggye+y%C5%8Fn%CA%BCgu&rft.au=%EA%B9%80%EC%84%B1%ED%98%B8&rft.au=%EB%B0%95%EC%B0%BD%ED%98%84&rft.au=Kim%2C+Sung-Ho&rft.au=Park%2C+Chang-Hyun&rft.date=2016&rft.issn=1225-066X&rft.volume=29&rft.issue=6&rft.spage=1129&rft.epage=114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607365701012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066X&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066X&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066X&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