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사근 기능의 정량적 측정
목적 : 정확한 사근의 기능 저하 및 항진의 측정을 위해 최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방식의 컴퓨터와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확한 측정을 시도하여 검사의 효율성과 신뢰성 및 검사의 재현성 을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 하사근 기능 항진증 환자 15명과 상사근 기능 저하증 환자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하사근과 상사근의 기능 이상에 따른 안구의 편위 정도를 육안적 방법과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육안적 검사법과 디지털 방식의 검사법 간의 측정치 차이는 평균 0.49이었고,최소...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2; no. 6; pp. 840 - 844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01.06.200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 정확한 사근의 기능 저하 및 항진의 측정을 위해 최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방식의 컴퓨터와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확한 측정을 시도하여 검사의 효율성과 신뢰성 및 검사의 재현성 을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 하사근 기능 항진증 환자 15명과 상사근 기능 저하증 환자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하사근과 상사근의 기능 이상에 따른 안구의 편위 정도를 육안적 방법과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육안적 검사법과 디지털 방식의 검사법 간의 측정치 차이는 평균 0.49이었고,최소 0.01, 최대 1.18이었다. 0.5 미만의 차이를 보인 경우가 12명이었고, 1.0 이상의 차이를 보인 경우는 2명이었으며, 디지털 방식의 검사치와 육안적 검사의 측정치 간의 선형 추세 방정식은 Y=0.93 ×-0.10(X=육안적 검사 의 측정치,Y=디지털 방식의 검사치)이었고,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구한 변이 계수에서 육안적 검사 법은 19.66%, 디지털 방식의 검사법은 6.93%였다. 결론 : 육안적 검사법과 디지털 방식의 검사법의 측정치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지만 검사의 재현성이 더 뛰어나서,디지털 방식의 검사법을 더욱 표준화, 정밀화하여 객관적인 검사법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한안지 42(6):840-844, 2001>
Purpose : The overaction or underaction of oblique muscle is generally evaluated by grossly observing maximal ductional eye movements, therefore, leading to various results among practioners. This study is to attain objective and accurate muscle function tests by digital videographic method and to verify its accuracy. Methods : 15 patients with inferior oblique overaction and 7 patients with superior oblique underaction were involved. The subjects were examed by both the gross and digital metho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ss and videographic analysis was ranging from 0.01 to 1.18. A difference of less than 0.5 was found in 12 patients and 2 patients showed a difference of greater than 1.0. The linear regression curve between digital and gross analysis methods was y=0.93 ×-0.10(x=gross method, y=videographic method). The coefficiency of variation to verify its reproducibility for measurements of total variability in 22 patients was 19.66% in gross method and 6.93% in videographic method. Conclusions : There didn`t appear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by gross and digital method of analysis but, appeare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efficiency of variation by gross and digital method of analysis. Digital videographic measurement, therefore, may be an objective method of examining supraduction and infraduction in oblique muscle which requires further effort in its standardization and precision. J Korean Ophthalmol Soc 42(6):840-844, 2001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1.42.6.002 |
ISSN: | 0378-6471 2092-9374 |